$\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iO2:TiCl4 전자수송층을 도입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 향상
Improved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of Perovskite Solar Cells with TiO2:TiCl4 Electron Transfer Layer 원문보기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 학회지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v.24 no.4, 2017년, pp.85 - 90  

안준섭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부) ,  강승구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부) ,  송재관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부) ,  김진봉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부) ,  한은미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전자수송층(ETL)인 다공성 $TiO_2$$TiCl_4$를 흡착시켜 FTO 전극과 광활성층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고,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과 $TiO_2:TiCl_4$ 전자수송층 간의 전자 이동을 쉽게 함으로써 소자의 광전변환 효율을 높이고자 했다. 제작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구조는 FTO/$TiO_2:TiCl_4$/Perovskite($CH_3NH_3PbI_3$)/spiro-OMeTAD/Ag이다. $TiCl_4$ 수용액에 다공성 $TiO_2$를 침지하는 시간을 변화시켜 제작한 소자의 광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평가하였다. $TiO_2:TiCl_4$ 전자수송층을 갖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은 $TiCl_4$ 수용액에 $TiO_2$ 전자수송층을 30분 동안 침지하여 제작한 소자에서 가장 높은 10.46%를 얻었으며, 이는 $TiO_2$만의 전자수송층을 갖는 소자에 비해 27% 향상되었다. SEM, EDS, XPS 측정으로 $TiCl_4$ 흡착으로 인한 $TiO_2$ 층의 다공성 감소와 Cl 성분의 검출,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의 큐브형 모폴로지와 $PbI_2$ 피크의 이동을 관찰하였으며, $TiO_2:TiCl_4$ 층과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iCl_4$ as a blocking material is adsorbed in the mesoporous $TiO_2$ electron transfer layer(ETL) of the Perovskite solar cell to prevent the direct contact between the FTO electrode and the photoactive layer(AL), and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electrons betwee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저가이면서 친환경적인 태양전지의 개발을 요구로 하는 실정이다.1-2) 본 연구에서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전자수송층을 다공성 TiO2 박막으로 적용하고 그 내부에 TiCl4를 흡착함으로서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과 전극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고 소자의 광전변환효율을 증가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현재 태양전지 연구계에서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가 기대되고 있다.2,5-8) 본 연구에서는 페로브스카이트의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TiO2:TiCl4 전자수송층을 갖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제작하고 그 특성을 평가한다.
  • 24)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TiO2에 TiCl4를 흡착시킨 차단층(blocking layer)을 형성함으로써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과 전극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고 흡착 정도에 따른 소자의 광전변환효율 상관관계를 비교하는 것이 목적이다.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전자수송층인 다공성 TiO2내에 TiCl4를 흡착시켜 광활성층과 전극의 직접접촉을 방지함으로서 소자의 광전변환 효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제작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구조는 FTO/TiO2:TiCl4/Perovskite(CH3NH3PbI3)/spiro-OMeTAD/Ag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9-11) 하지만 태양전지의 고효율과 낮은 생산단가에도 불구하고 상용화되기 위해 해결되어야 할 문제들이 많다. 특히 수분에 의해 급격한 열화가 진행되는 점, 전류전압 곡선에서 스캔방향 및 속도에 따라 히스테리시스 현상이 나타나는 점, 그리고 인체에 매우 치명적인 납을 사용한다는 점 등이 있다. 현재 연구계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FF 및 광전변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험이 많이 진행 중이며12-17), 실리콘 또는 CIGS 박막 태양전지와의 직렬연결 소자 연구를 통해 이론상으로 30%의 효율 달성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태양전지의 충진율이란 무엇인가? 태양전지는 PN 접합으로 구성된 반도체 소자이며 반도체의 밴드갭보다 큰 에너지의 빛이 조사되면 반도체 내부에 전자정공쌍이 형성되어 있는 전기장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외부에 연결된 도선에 전류가 흐르게 되는 원리다. 태양전지의 충진율(Fill Factor, FF)는 전류가 0일 때 태양전지 양단에 나타나는 개방전압(open circuit potential, VOC)과 태양전지의 양단에 전압이 0일 때 흐르는 단락전류(short circuit current, ISC)의 곱에 대한 출력비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상적인 충진율은 VOC에 대한함수로 다음과 같이 표현이 가능하다.
태양전지의 작동 원리는 어떠한가? 태양전지는 PN 접합으로 구성된 반도체 소자이며 반도체의 밴드갭보다 큰 에너지의 빛이 조사되면 반도체 내부에 전자정공쌍이 형성되어 있는 전기장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외부에 연결된 도선에 전류가 흐르게 되는 원리다. 태양전지의 충진율(Fill Factor, FF)는 전류가 0일 때 태양전지 양단에 나타나는 개방전압(open circuit potential, VOC)과 태양전지의 양단에 전압이 0일 때 흐르는 단락전류(short circuit current, ISC)의 곱에 대한 출력비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상적인 충진율은 VOC에 대한함수로 다음과 같이 표현이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E. C. LEE, "Review on the Progress in Developing Perovskite Solar Cells(in Korea)", Physics & High Technology, 29(9), 23 (2016). 

  2. J. M. Shin, and M. K. Song, "Recent Progress and Challenges of Pb-free Perovskite Materials(in Korea)",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28(1), 22 (2017). 

  3. C. Honsberg, and S. Bowden, "PV CDROM EDUCATIONS", (2016) from http://www.pveducation.org/pvcdrom. 

  4. J. C. Song, "2016 NEW & RENEWABLE ENERGY WHITE PAPER(in Korea)", Korea Energy Agency, 1, 329, (2016). 

  5. S. H. Lim, "Perovskite solar cell research trend(in Korea)", Bulletin of the Korea Photovoltaic Society, 1(1), 34 (2015). 

  6. J. H. Im, C. R. Lee, J. W. Lee, S. W. Park, and N. G. Park, "6.5% efficient perovskite quantum-dot-sensitized solar cell", Nanoscale, 3(10), 4088 (2011). 

  7. W. S. Yang, J. H. Noh, N. J. Jeon, Y. C. Kim, S. Ryu, J. Seo, and S. I. Seok, "High-performance photovoltaic perovskite layers fabricated through intramolecular exchange", Science 348, 1234 (2015). 

  8. M. Peplow, "Henry Snaith: Sun Worshipper", Nature, 504 (7480), 364 (2013). 

  9. J. H. Im, C. R. Lee, J. W. Lee, S. W. Park and N. G. Park, Nanoscale, 3, 4088 

  10. B. Maynard, Q. Long, E. A. Schiff, M. Yang, K. Zhu, R. Kottokkaran, H. Abbas, and V. L. Dalal, "Electron and hole drift mobility measurements on methylammonium lead iodide perovskite solar cells", Appl. Phys. Lett., 108(17), 173505 (2016). 

  11. Z. Liu, S. Seo, and E. C. Lee, "Improvement of power conversion efficiencies in $Cr_2O_3$ -nanoparticle-embedded polymer solar cells", Appl. Phys. Lett., 103(13), 133306 (2013). 

  12. J. Burschka, N. Pellet, S. J. Moon, R. Humphry Baker, P. Gao, M. K. Nazeeruddin, and M. Gratzel, "Sequential deposition as a route to high-performance perovskite-sensitized solar cells", Nature, 499(7458), 316 (2013). 

  13. S. N. Habisreutinger, T. Leijtens, G. E. Eperon, S. D. Stranks, R. J. Nicholas, and H. J. Sniath, "Carbon nanotube/polymer composites as a highly stable hole collection layer in perovskite solar cells", Nano Lett., 14(10), 5561 (2014). 

  14. T. Leijtens, G. E. Eperon, S. Pathak, A. Abate, M. M. Lee, and H. J. Snaith, "Overcoming ultraviolet light instability of sensitized $TiO_2$ with meso-superstructured organometal trihalide perovskite solar cells", Nat. Commun., 4, 2885 (2013). 

  15. H. J. Snaith, A. Abate, J. M. Ball, G. E. Eperon, T. Leijtens, N. K. Noel, S. D. Stranks, J. T. W. Wang, K. Wojciechowski, and W. Zhang, "Anomalous hysteresis in perovskite solar cells", J. Phys. Chem. Lett., 5(9), 1511 (2014). 

  16. D. Yang, X. Zhou, R. Yang, Z. Yang, W. Yu, X. Wang, C. Li, S. Liu, and R. P. H. Chang, "Surface optimization to eliminate hysteresis for record efficiency planar perovskite solar cells", Energy Environ. Sci., 9(10), 3071 (2016). 

  17. N. K. Noel, S. D. Stranks, A. Abate, C. Wehrenfennig, S. Guarnera, A. A. Haghighirad, A. Sadhanala, G. E. Eperon, S. K. Pathak, M. B. Johnston, A. Petrozza, L. M. Herza, and H. J. Snaith, "Lead-free organic-inorganic tin halide perovskites for photovoltaic applications", Energy Environ. Sci., 7(9), 3061 (2014). 

  18. C. D. B, M. G. Christoforo, J. P. M, A. R. Bowring, E. L. Unger, W. H. Nguyen, J. Burschka, N. Pellet, J. Z. Lee, M. Gratzel, R. Noufi, T. Buonassisi, A. Salleoa, and M. D. McGehee, "Semi-transparent perovskite solar cells for tandems with silicon and CIGS", Energy Environ. Sci., 8(3), 956 (2015). 

  19. S. K. Jang, S. C. Gong, and H. J. Chang, "The Post Annealing Effect of Organic Thin Film Solar Cells with P3HT: PCBM Active Layer", J. Microelectron. Packag. Soc., 17(2,) 63 (2010). 

  20. J. H. Lee, T. K. Lee, and C. J. Kim, "Fabrication of $TiO_2$ Electrode Containing Scattering Particles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J. Microelectron. Packag. Soc., 18(2), 57 (2011). 

  21. A. Kojima, K. Teshima, Y. Shirai, and T. Miyasake, "Organometal halide perovskites as visible-light sensitizers for photovoltaic cells", J. Am. Chem. Soc., 131(17), 6050 (2009). 

  22. M. M. Lee, J. Teuscher, T. Miyasaka, T. N. Murakami, and H. J. Snaith, "Efficient hybrid solar cells based on meso-superstructured organometal halide perovskites", Science, 338(6107), 643 (2012). 

  23. H. S. Kim, C. R. Lee, J. H. Im, K. B. Lee, T. Moehl, A.Marchioro, S. J. Moon, R. Humphry Baker, J. H. Yum, J. E. Moser, M. Gratzel, and N. G. Park, "Lead iodide perovskite sensitized all-solid-state submicron thin film mesoscopic solar cell with efficiency exceeding 9%", Sci. Rep., 2, 591 (2012). 

  24. S. Ito, S. Tanaka, K. Manabe, and H. Nishino, "Effects of surface blocking layer of $Sb_2S_3$ on nanocrystalline $TiO_2$ for $CH_3NH_3PbI_3$ perovskite solar cells", J. Phys. Chem. C., 118(30), 16995 (2014). 

  25. P. Yang, D. Zhao, D. I. Margolese, B. F. Chmelka, and G. D. Stucky, "Generalized syntheses of large-pore mesoporous metal oxides with semicrystalline frameworks", Nature, 396(6707), 152 (1998). 

  26. M. B. Smith, K. Page, T. Siegrist, P. L. Redmond, E. C. Walter, R. Seshadri, L. E. Brus, and M. L. Steigerwald, "Crystal structure and the paraelectric-to-ferroelectric phase transition of nanoscale $BaTiO_3$ ", J. Am. Chem. Soc., 130(22), 6955 (20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