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청탁의 음성학적 의미
Phonetic meaning of clarity and turbidity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9 no.4, 2017년, pp.77 - 89  

박한상 (홍익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honetic meaning of clarity and turbidity(淸濁) that has been used in psychoacoustics, musicology, and linguistics in both the East and the West. With a view to clarifying the phonetic meaning of clarity and turbidity, this study conducts three perception test...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극도는 무엇과 관계가 있는가? 간극도는 공명도(sonority) 또는 채도(saturation)와 관계가 있다. 간극도는 각각 공명도와 채도를 의미하는 “Schallfülle” 또는“Sättigung”으로 기술하였다.
본 논문에서 실시한, 세 가지 자극 세트를 이용하여 실험의 결과는 무엇인가? 1) 맑은 소리로 인식하는 기본주파수 영역이 있다. 2) 기본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청도가 증가한다. 3) 단순음이 복합음보다 청도가 높다. 4) 성도 공명이 있을 때 청도가 증가한다. 5) 저모음일수록 청도가 증가한다. 6) F1 과 F2 차이가 작을수록 청도가 증가한다.
청탁을 구성하는 한자의 원초적 의미가 '물'이라는 시각적 대상과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는 증거는 무엇인가? 한자어에서도 (2A)에서처럼‘맑은’을 나타내는 ‘청(淸)’과 ‘흐린’을 나타내는 ‘탁(濁)’이 ‘주(酒)’와 같은 시각적인 낱말과 함께 쓰이기도 하고 (2B)에서처럼‘음(音)’과 같은 청각적인 낱말과 함께 쓰이기도 한다. 사실 ‘청탁(淸濁)’을 구성하는 한자는 두 글자 모두 부수가 삼수(氵) 변인데 이는 두 글자의 원초적 의미가 ‘물’이라는 시각적 대상과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ates, D., Machler, M., Bolker, B., & Walker, S. (2015). Fitting Linear Mixed-Effects Models Using lme4.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67(1), 1-48. Retrieved from https://www.jstatsoft.org/article/view/v067i01 on November 1, 2017. 

  2. Boersma, P., & Weenink, D. (2017). Praat: doing phonetics by computer [Computer program]. Version 6.0.35. Retrieved from http://www.praat.org/ on 16 October 2017. 

  3. Chomsky, N., & Halle, M. (1968).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4. Fischer-Jorgensen, E. (1975). Trends in Phonological Theory: A Historical Introduction. Copenhagen: Akademisk Forlag. 

  5. Helmholtz, H. (1954). On the sensations of tone as a physiological basis for the theory of music (2nd English edition). New York: Dover Publications. 

  6. Jakobson, R., & Halle, M. (2002). Fundamentals of Language (2nd edition). New York: Walter de Gruyter. 

  7. Jakobson, R., Fant, G., & Halle, M. (1951). Preliminaries to Speech Analysis: The Distinctive Features and their Correlates. Cambridge: MIT Press. 

  8. Kamei, T., Kono, R., & Chino, E. (1989). The Sanseido Encyclopedia of Linguistics, Vol. 2, Languages of the World, Part Two. Tokyo: Sanseido Co. Ltd. (龜井孝, 河野六郞, 千野榮一 (1989). 言語學大辭典, 第 2 卷, 世界言語編(中). 東京: 三省堂.) 

  9. Kamei, T., Kono, R., & Chino, E. (1996). The Sanseido Encyclopedia of Linguistics, Vol. 6, Terms. Tokyo: Sanseido Co. Ltd. (龜井孝, 河野六郞, 千野榮一 (1996). 言語學大辭典, 第 6 卷, 術語編. 東京: 三省堂.) 

  10. Kim, Y. (2014). Twelve tones. Dictionary of Korean Music. Retrieved from https://www.gugak.go.kr/site/program/board/basicboard/view?menuid001003001002&boardtypeid6&boardid1210 on October 31, 2017. (김영운 (2014). 12 율. 국악사전, https://www.gugak.go.kr/site/program/board/basicboard/view?menuid001003001002&boardtypeid6&boardid1210). 

  11. Lee, H., & Shim, S. (1999). Chinese Phonetics. Seoul: Kyoyukgwahaksa. (이현복.심소희 (1999). 중국어음성학. 서울: 교육과학사.) 

  12. National Gugak Center (2008). 2007 Report on the Study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Seoul: National Gugak Center. (국립국악원 (2008). 국악기연구보고서, 2007. 서울: 국립국악원.) 

  13. Pratt, R., & Doak, P. (1976). A Subjective Rating Scale for Timbre. Journal of Sound and Vibration, 45(3), 317-328. 

  14. Trubetzkoy, N. (1939). Principles of Phonology. (Translated by Christiane Baltaxe). Berkely: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5. Uchanski, R. (2005). Clear speech. In D. Pisoni, & R. Remez (Eds.), The Handbook of Speech Perception (pp. 207-235). Malden: Blackwell Publishing. 

  16. von Bismarck, G. (1974). Timbre of Steady Sounds: A Factorial Investigation of Its Verbal Attributes. Acustica, 30, 146-159. 

  17. Wayland, R., & Jongman, A. (1989). Acoustic correlates of breathy and clear vowels: the case of Khmer. Journal of Phonetics, 31(2), 181-2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