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음질이 말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oice quality on speech intelligibility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9 no.4, 2017년, pp.129 - 136  

정필연 (이화여자대학교 언어병리학과) ,  심현섭 (이화여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voice quality on speech intelligibi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oice quality and intelligibility for children with spastic CP. We recruited 36 children with spastic CP (mean age 10.43 year, 17 girls, 19 boys, spastic type 34, mixed 2) from a special scho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음질 중증도에 따라 말명료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생활연령 평균 10.43세의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음질 저하의 중증도 수준에 따라 말명료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음질의 세부항목과 말명료도와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둘째,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음질의 세부 평정척도와 말명료도 간에 상관이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성마비 아동이 성문하압을 적절하게 생성, 유지할 수 없는 이유는? 뇌성마비 아동은 말산출 시 호흡기능의 약화와 근육조절의결함으로 인해 후두 기류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지 못하기 때문에(Ansel & Kent, 1992; Solomon & Charron, 1998; 박지은 외, 2004; Workinger, 2005; Kim et al., 2015), 성문하압을 적절하게 생성하고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뇌성마비 아동의 음질평가을 위해 사용한 방법은? 음질평가를 하기 위해 모음연장발성을 사용하였다(표화영 외, 1999; 김재옥 & 최홍식, 2009; Tanaka et al., 2015).
모음연장발성을 음질평가에 사용한 이유는? , 2015). /아/ 연장발성을 통한 음질 평가는 공명과 자음산출 능력에 따른 영향을 통제할 수 있어 개인 간 차이를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손진호, 2008). 연구자가 아동에게 연장발성의 시범을 보여준 후 평상시의 음도와 소리크기로 3초간 /아/를 발성하도록 지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nsel, B., & Kent, R. (1992). Acoustic-phonetic contrasts and intelligibility in the dysarthria associated with mixed cerebral pals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5, 296-308. 

  2. Cockerill, H., Elbourne, D., Allen, E., Scrutton, D., Will, E., McNee, A., Fairhurst, C., & Baird, G. (2013). Speech, communication and use of augmentative communication in young people with cerebral palsy: The SH & PE population study.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40(2), 149-157. 

  3. De Bodt, M., Huici, M., & Van De Heyning, P. (2002). Intelligibility as a linear combination of dimensions in dysarthric speech.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5(3), 283-292. 

  4. Fox, C., & Boliek, C. (2012). Intensive voice treatment (LSVT LOUD) for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nd dysarthria.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5(3), 930-945. 

  5. Hardy, J. (1983). Cerebral Pals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6. Jeong, P., Sim, H., Jeong, S., & Yim, D. (2016). Relationship among articulation rate, intelligibility, and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spastic and flaccid dysarthria.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8(2), 41-48. (정필연.심현섭.정숙회.임동선 (2016). 경직형과 이완형 마비말장애아동에서 조음속도와 말명료도 및 작업기억 간의 관계. 말소리와 음성과학, 8(2), 41-48.) 

  7. Kim, J., & Choi, H. (2009). Comparison of clinicians' perceptual evaluations and patients' subjective evaluations of voice disorder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4, 223-235. (김재옥.최홍식 (2009). 평가자의 청지각적 음성평가와 대상자의 주관적 음성평가 비교. 언어청각장애연구, 14, 223-235.) 

  8. Kim, J., Kumar, N., Tsiartas, A., Li, M., & Narayanan, S. (2015). Automatic intelligibility classification of sentence-level pathological speech. Computer Speech & Language, 29(1), 132-144. 

  9. Kim, M., Pae, S., & Park, C. (2007). Assessment of Phonology & Articulation for Children (APAC). Inchon: Human Brain Research & Counseling. (김민정.배소영.박창일 (2007). 아동용 발음평가 (APAC). 인천: 휴브알엔씨.) 

  10. Kim, S. (2002). The role of speech factors in speech intelligibility. Malsori, 43, 25-44. (김수진 (2002). 언어장애인의 명료도에 영향을 미치는 말요인: 문헌연구. 말소리, 43, 25-44.) 

  11. Kim, S., & Kim, H. (2013). Acou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lveolar sibilant 's', 's'' according to phonetic context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5(2), 3-10. (김숙희.김현기 (2013). 뇌성마비 아동의 음성 환경에 따른 치경마찰음 'ㅅ', 'ㅆ'의 음향적 특성. 말소리와 음성과학, 5(2), 3-10.) 

  12. Lee, G., & Yoo, J. (2008). The effect of respiration and articulator training programs on basic ability of speech production in cerebral palsy children. Speech Sciences, 15(3), 103-116. (이금숙.유재연 (2008). 호흡 및 조음기관 훈련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말산출 기초능력에 미치는 효과. 음성과학, 15(3), 103-116.) 

  13. Lee, O., Park, S., & Nam, H. (2012). Correlation between the parameters of speech intelligibility by speakers with cerebral palsy: A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1(3), 115-126. (이옥분.박상희.남현욱 (2012). 뇌성마비 화자의 말명료도 매개변수 간의 상관성 연구. 언어치료연구, 21(3), 115-126.) 

  14. Miller, N., Pennington, L., Robson, S., Roelant, E., Steen, N., & Lombardo, E. (2013). Changes in voice quality after speech-language therapy intervention in olde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65(4), 200-207. 

  15. Nordberg, A., Miniscalco, C., & Lohmander, A. (2014). Consonant production and overall speech characteristics in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speech impair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6, 386-395. 

  16. Palisano, R., Rosenbaum, P., Walter, S., Russell, D., Wood, E., & Galuppi, B. (1997).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a system to classify gross motor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39, 214-223. 

  17. Park, J., Kim, H., Shin, J., Choi, H., Sim, H., & Park, E. (2010). Speech evaluation variables related to speech intelligibility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2(4), 193-212. (박지은.김향희.신지철.최홍식.심현섭.박은숙 (2010). 경직형 뇌성마비아동의 말명료도와 관련된 말평가변인. 말소리와 음성과학, 2(4), 193-212.) 

  18. Park, J., Park, E., & Kim, H. (2004). A study of acoustic characteristics of vowels in preschool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9(2), 116-128. (박지은.박은숙.김향희 (2004). 학령전기 경직형 하지마비 아동이 산출한 모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징. 언어청각장애연구, 9(2), 116-128.) 

  19. Pennington, L., Miller, N., Robson, S., & Steen, N. (2010). Intensive speech and language therapy for olde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systems approach.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52, 337-344. 

  20. Pennington, L., Roelant, E., Thompson, V., Robson, S., Steen, N., & Miller, N. (2013). Intensive dysarthria therapy for younge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55, 464-471. 

  21. Preminger, J., & Van Tasell, D. (1995). Quantifying the relation between speech quality and speech intelligibili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8(3), 714-725. 

  22. Pyo, H. (2008). A study on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voice disordered patients according to the severity and utterance level. Speech Sciences, 15(2), 101-110. (표화영 (2008). 음성장애의 중증도와 발화수준에 따른 말명료도의 변화. 음성과학, 15(2), 101-110.) 

  23. Pyo, H., & Sim, H. (2005). The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intelligibility for the patients with dysarthria: Literature review. Special Education Research, 4(1), 31-56. (표화영.심현섭 (2005). 마비성 말장애(dysarthria)의 명료도 향상을 위한 연구 동향 :문헌적 고찰. 특수교육, 4(1), 31-56.) 

  24. Pyo, H., & Sim, H. (2007). A study of speech intelligibility affected by voice quality degradation.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2(2), 256-278. (표화영.심현섭 (2007). 음질저하의 정도에 따른 말명료도 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12(2), 256-278.) 

  25. Pyo, H., Choi, S., Lim, S., Sim, H., Choi, H., & Kim, K. (1999). The correlation between GRBAS scale and MDVP parameters on the pathologic voices of the patients with vocal polyp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10(2), 154-163. (표화영.최성희.임성은.심현섭.최홍식.김광문 (1999). 성대 폴립 환자를 대상으로 한 GRBAS 척도와 MDVP 측정치 간의 상관관계 연구. 대한음성언어의학회지, 10(2), 154-163.) 

  26. Scholderle, T., Staiger, A., Lampe, R., Strecker, K., & Ziegler, W. (2016). Dysarthria in adults with cerebral palsy: Clinical presentation and impacts on communicatio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9, 216-229. 

  27. Seo, I. (2014). Acoustic measure of voice quality and phonation types across speech condition in dysarthria. Ph.D.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서인효 (2014). 마비말장애의 발화조건에 따른 음질 및 발성유형의 음향음성학적 관점.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Seo, I., & Seong, C. (2013). Voice quality of dysarthric speakers in connected speech.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5(4), 33-41. (서인효.성철재 (2013). 연결발화에서 마비말화자의 음질 특성. 말소리와 음성과학, 5(4), 33-41.) 

  29. Shriberg, L., & Kwiatkowski, J. (1982). Phonological disorders III: A procedure for assessing severity of involvement.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7(3), 256-270. 

  30. Sohn, J. (2008). GRBAS and voice handicap index.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19(2), 79-95. (손진호 (2008). GRBAS 음성평가와 음성장애지수. 대한음성언어의학회지, 19(2), 79-95.) 

  31. Solomon, N., & Charron, S. (1998). Speech breathing in able-bodied children an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mplication for clinical interven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7(2), 61-78. 

  32. Tanaka, Y., Tsuboi, T., Watanabe, H., Kajita, Y., Fujimoto, Y., Ohdake, R., Yoneyama, N., Masuda, M., Hara, K., Senda, J., Ito, M., Atsuta, N., Horiguchi, S., Yamamoto, M., Wakabayashi, T., & Sobue, G. (2015). Voice features of Parkinson's disease patients with subthalamic nucleus deep brain stimulation. Journal of Neurology, 262, 1173-1181. 

  33. Workinger, M. (2005). Cerebral Palsy Resource Guide for Speech-Language Pathologists. Clifton Park, NY: Thomson Delmar Learning. 

  34. Workinger, M., & Kent, R. (1991). Perceptual analysis of the dysarthria in children with athetoid and spastic cerebral palsy. In C. Moore, K. Yorkston, & D. Beukelman (Eds.), Dysarthria and apraxia of speech: Perspectives on management (pp. 109-126). Baltimore: Paul H. Brooke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