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와 산촌 학령기아동의 정신건강 비교 및 주관적 정신건강 지표와 심박변이도(HRV)의 상관관계 분석
A Comparison of Mental Health of School Age Childre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and a Correlation Analysis of Subjective Mental Health Indicators and Heart Rate Variability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0 no.3, 2017년, pp.266 - 273  

방경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이인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김성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윤재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원.신목초등학교) ,  이준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mental health of school age children residing in urban and rural areas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ubjective mental health indicators such as depression and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behavior and heart rate variability (HRV) i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와 산촌 지역 학령기아동을 대상으로 아동기 주요 정신건강문제인 우울 및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에 대한 주관적 정신건강 지표와 심박변이도의 차이를 파악하여 그 특성을 비교한 뒤, 이들 측정방법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아동의 생리적 상태 측정방법으로서의 심박변이도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도시와 산촌 학령기아동의 정신건강을 비교하고 정신건강에 대한 주관적 측정방법인 우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점수와 심박변이도 파라미터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조사 및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역 특성에 따른 학령기아동의 정신건강을 비교하고, 주관적 설문을 통해 확인한 우울,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점수와 생리적 측정방법인 심박변이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심박변이도의 파라미터 중 어떤 지표가 주관적인 평가와 상관성이 높은가를 확인함으로써 학교와 지역사회 실무에서 활용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지역특성에 따른 정신건강을 비교하고 우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에 대한 주관적 정신건강 척도와 객관적 측정 방법인 심박변이도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아동 연구에서 심박변이도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와 산촌 학령기아동의 정신건강을 비교하고 주관적 정신건강 척도(우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와 심박변이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아동 대상 연구에서 심박변이도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박변이도는 어떠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는가? 심박변이도는 자율신경계인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균형 및 교감, 부교감 신경의 활성화 정도에 따라 심신의 상태나 스트레스 정도 등을 나타내는 다양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는데, 이는 심박동에서 특정 주파수대의 변이가 부교감신경계와 교감신경계를 포함한 자율신경계와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심박변이도는 신뢰성과 재현성이 있고 감정 상태와 스트레스 상황을 짧은 시간에 나타내는 비침습적인 방법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유용하며[3] 유럽과 미국의 심장학 관련 협회들에서는 이미 1990년대 중반에 심박변이도의 표준측정법과 생리적 해석 및 임상 응용에 관한 가이드라인이 제시되고[4] 활발하게 연구되어 왔으나 아직 간호연구에서는 많이 활용되지 못하였다.
심박변이도란 무엇인가? 최근 인체의 자율신경계 통제 하에 자발적으로 유발되는 전기적 생체신호 중 하나인 심박 신호는 인간의 감성 상태를 생리학적 응답으로 나타내 줄 뿐만 아니라 신체의 건강상태를 추정할 수 있는 도구로서 의료보건이나 인간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점차 활용사례가 증가하고 있다[2]. 심장의 리듬은 내 ․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하는 자율신경계의 영향을 받는데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는 시간에 따른 심박의 주기적인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하나의 심박 주기로부터 다음 심박 주기 사이의 미세한 변이를 보여주는 것이다[3].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 거주 아동들의 환경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타당한 이유는 무엇인가? 한편, 도시 지역의 아동들과 산촌 등의 비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아동들은 그들이 노출되어있는 사회적 자원과 지역사회 유해환경, 문화적 배경이 다르다는 점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 유형이나 정신건강문제가 다를 수 있다[16]. 이 점을 고려할 때에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문제를 주관적 정신건강지표와 심박변이도 분석을 통해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처한 환경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third national health promotion plan (2011-2020)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cited 2017 September 28].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 

  2. Lee CK, Yoo SK.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elf-reported anxiety, depressiveness and parameters of heart rate variability based on photoplethysmograph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2012;15(3):345-354. 

  3. Han DS, Jeong NR, Kim DW, Kim YE, Lee CH. Analysis of stress level of Korean by heart rate variability measurement.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7;15(3):163-69. 

  4. Camm A, Malik M, Bigger J, Breithardt G, Cerutti S, Cohen R, et al. Heart rate variability: Standards of measurement, physiological interpretation, and clinical use. Task Force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and the North American Society of Pacing and Electrophysiology. Circulation. 1996;93:1043-1065. 

  5. Michels N, Sioen I, Clays E, De Buyzere M, Ahrens W, Huybrechts I, et al. Children's heart rate variability as stress indicator: Association with reported stress and cortisol. Biological Psychology. 2013;94(2):433-440. https://doi.org/10.1016/j.biopsycho.2013.08.005 

  6. Kim W. Heart rate variability in stressful events and mental disorder.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08;16(2):161-165. 

  7. Kim JA, Kang SW. Relationship among sleep quality, heart rate variability, fatigue, depression, and anxiety in adul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7;29(1):87-97. https://doi.org/10.7475/kjan.2017.29.1.87 

  8. Choi KM, Shin WS, Yeoun PS, Cho YM. The influence of forest walking exercise on human, stress and fatigu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011;15(1):61-66. 

  9. Hwang SH, Oh WS, Kim BR, Chung JH, Lee KR. The review on application of heart rate variability in sport psycholog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16;55(6):195-206. 

  10. Agelink MW, Boz C, Ullrich H, Andrich J. Relationship between major depression and heart rate variability: Clinical consequences and implications for antidepressive treatment. Psychiatry Research. 2002;113(1):139-149. https://doi.org/10.1016/s0165-1781(02)00225-1 

  11. Kim HJ, Yang J, Lee MS. Changes of heart rate variability during methylphenidate treatment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ldren: A 12-week prospective study. Yonsei Medical Journal. 2015;56(5):1365-1371. https://doi.org/10.3349/ymj.2015.56.5.1365 

  12. Jarrin DC, McGrath JJ, Poirier P, Seguin L, Tremblay RE, Montplaisir JY, et al. Short-term heart rate variability in a populationbased sample of 10-year-old children. Pediatric Cardiology. 2015;36(1):41-48. https://doi.org/10.1007/s00246-014-0962-y 

  13. Kim SY, Lee MS, Yang JW, Jung IK. Heart rate variability and parenting stress index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Korean Psychosomatic Society. 2011;19(2):78-82. 

  14. Koenig J, Kemp AH, Beauchaine TP, Thayer JF, Kaess M. Depression and resting state heart rate variabil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16;46:136-150. https://doi.org/10.1016/j.cpr.2016.04.013 

  15. Kim W, Ma YN, Shin HG. Effectiveness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 program on depression, anxiety, anger of primary school upper grader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013;29(4):245-271. 

  16. Jang YA.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tress and coping behavior in urban and rural Areas.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006;17(1):39-53. 

  17. Jo SC, Lee YS.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the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Journal of Psychiatry Investigation. 1990;29(4):934-956. 

  18. Bahn GH, Shin MS, Cho SC, Hong KE.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scale for ADHD in adolescents: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CASS(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001;12(2):218-224. 

  19. Xhyheri B, Manfrini O, Mazzolini M, Pizzi C, Bugiardini R. Heart rate variability today. Progress in Cardiovascular Diseases. 2012;55(3):321-331. https://doi.org/10.1016/j.pcad.2012.09.001 

  20. Woo JM, Kim ES, Yoon HY, Choi YH. The relation between heart rate variability and pharmacotherapy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5;44(3):342-349. 

  21. Oh SH. Correlation between mental health, depression level, and internet addic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 rural a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2;25(1):31-38. 

  22. Lim KH, Cho BW. The prevalence of ADHD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004;17(1):235-260. 

  23. Parker James DA, Bond BJ, Reker DL, Wood LM. Use of the conners-wells adolescent self-report scale (Short Form) with children. Journal of Attention Disorders 8.4. 2005;8(4):188-94. https://doi.org/10.1177/108705470527875 

  24. Rash J, Aguirre-Camacho A.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cardiac vagal control: A systematic review.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s. 2012;4(4):67-177. https://doi.org/10.1007/s12402-012-0087-1 

  25. Woo JM. The concept and clinical application for the measurement of heart rate variability.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2004;12(1):3-14. 

  26. Tonhajzerova I, Ondrejka I, Turianikova Z, Chladekova L, Javorka K, Farsky I, et al. P01-359 - Heart rate variability in adolescent major depression. European Psychiatry. 2011;26:361. https://doi.org/10.1016/S0924-9338(11)72070-3 

  27. Vazquez L, Blood JD, Wu J, Chaplin TM, Hommer RE, Rutherford HJV, et al. High frequency heart-rate variability predicts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s, particularly anhedonia, across one year.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6;96:243-247. https://doi.org/10.1016/j.jad.2016.02.040 

  28. Ahn JW, Han CW, Choi BY, Kim YM, Nam JH, Choi JH,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a rural area.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08;16(3):191-197. 

  29. Griffiths KR, Quintana DS, Hermens DF, Spooner C, Tsang TW, Clarke S, et al. Sustained attention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Biological Psychology. 2017;124:11-20. https://doi.org/10.1016/j.biopsycho.2017.01.004 

  30. Koenig J, Rash JA, Kemp AH, Buchhorn R, Thayer JF, Kaess M. Resting state vagal tone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meta-analysis. World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2016;18(4):1-15. https://doi.org/10.3109/15622975.2016.11743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