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자해 행동 예방을 위한 마음챙김 기반 정서 관리 훈련 효과
Effects of Mindfulness-based Emotion Management Training on Preventing Self-harming Behaviors in Adolescent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0 no.3, 2017년, pp.295 - 305  

이우경 (서울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Mindfulness-based Emotion Management Training for adolescents immersed in self-harm behavio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61 middle school students located in Seoul. Thirty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Mindfulness-based Emotion Manag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해 행동을 하는 청소년들은 정서조절 문제, 대인관계 문제, 가족 문제 등 복합적인 문제를 보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들을 다룰 수 있는 복합적인 치료 모델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자해와 관련된 위험요인 연구와 기존의 치료적 개입 효과 연구를 토대로 자해 청소년들의 개인내적 정서적 문제와 대인 문제 등을 잘 다룰 수 있도록 하는 복합적인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연구하고자 한다.
  • 마음챙김 집단은 표준적인 DBT 마음챙김 모듈의 확장으로 정좌 명상 등을 보완하였고 신체지향 치료는 정신운동 상호작용과 연습을 통해 “신체 개념”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본 연구는 자해 행동을 하는 청소년의 감정 및 행동 조절을 위해 마음챙김 기반 정서관리 훈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해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인지행동치료의 제 3 동향인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와 변증법적 행동 치료 요소를 결합하여 만든 마음챙김 기반 정서 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한 뒤, 비교 집단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 청소년 자해 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본 치료 프로그램은 전통적인 인지행동치료, 사회기술 훈련, 대인관계 심리치료, 집단 치료 그리고 최근 들어 각광을 받고 있는 마음챙김 훈련, 변증법적 행동 치료 이론 등에서 핵심적인 요소들을 통합하여 절충적인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반복적인 자해 행동을 줄이기 위한 집단 행동치료의 일환으로 이들 청소년들에게 문제 해결 기술과 인지 전략을 가르치고 정서적 고통 상황에서 고통을 견딜 수 있는 행동 치료 전략, 감정과 사고에 대한 마음챙김 훈련을 실시한 뒤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자해 청소년들이 많이 보이는 관계 문제, 학업, 교우 관계 등 학교 관련 문제, 가족 문제, 분노 관리, 우울 및 자해, 절망감, 불안 등의 감정적 고통을 다루는 것에 초점이 주어지고 신체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신체 작업과 같은 내용들이포함되었다.
  • 본 연구의 의의는 청소년의 비자살성 자해 행동에 초점을 두고 정서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살펴봤다는 데 있다. 그러나 프로그램에서 얻어진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지에 대해 추후 연구를 하지 않아 연구의 한계점이 있다.
  • 핵심 신념은 대개 소크라테스식 질문이나 행동 실험으로 변화시킨다. 이 치료는 자해의 유지 요인에 대한 인지 모델을 바탕으로 자해 행동을 유발하는 상황에서 인지 행동 대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자살 및 부정적인 사고를 바꾸기 위한 개입방법으로 고안되었다. 치료 회기는 자해를 유지시키는 기제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살 사고 및 행동과 비자살성 자해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자살 사고 및 행동(Suicidal Thoughts and Behaviors, STB)과 비자살성 자해(NSSI)는 비슷한 개념이지만 빈도, 치명성, 의도에 있어서 다르다. 이 두 현상은 일반적으로 죽을 의도가 있는가 여부에 따라 구분이 된다. 자살 행동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는 분명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몇 몇 연구에 따르면 자살 생각과 행동의 강력한 예측인자 중의 하나가 비자살적 자해라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4,5,7,10].
자해 행동의 원인은 크게 어떻게 나누어 지는가? 자해 행동의 원인은 크게 대인관계요인과 개인내적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자해 행동의 개인내적 요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해 행동은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내면화된 심리적인 문제나 고통[11,12] 혹은 분노 표출과 품행장애와 같은 외현화 문제[13,14]에 스스로 대처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청소년들의 자살률을 높이는 요인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청소년 자살률은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고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대학 입시 경쟁률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가운데 청소년들은 학업부담, 또래 관계에서 왕따나 폭력 문제, 가정 문제 등 많은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고 이로 인한 우울, 강박장애, 불안 등의 심리장애가 청소년들의 자살률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2016 Suicide ideation of Korean adolescents [Internet]. Seoul: Author; [cited 2016 June 8].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402&tblIdDT_ES2016_008&vw_cdMT_OTITLE&list_id402_siew6548_A1_F1_F02&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E1 

  2. Nock MK. Self-injury.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2010;6:339-363. https://doi.org/10.1146/annurev.clinpsy.121208.131258 

  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ition. Arlington: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13. p. 803-805. 

  4. Cassels M, Wilkinson P. Non-suicidal self-injury in adolescence. Paediatrics and Child Health. 2016;26(12):554-558. https://doi.org/10.1016/j.paed.2016.08.006 

  5. Madge N, Hewitt A, Hawton K, de Wilde EJ, Corcoran P, Fekete S, et al. Deliberate self-harm within an international community sample of young people: Comparative findings from the Child & Adolescent Self-harm in Europe (CASE) Stud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2008;49(6):667-677. https://doi.org/10.1111/j.1469-7610.2008.01879.x 

  6. Laurence C, Koen L, Patricia B. Non-suicidal self-injury in adolescents: Prevalence and associations with identity formation above and beyond depress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14;61:101-104. https://doi.org/10.1016/j.paid.2013.12.019. 

  7. Chapman AL, Gratz KL, Brown MZ. Solving the puzzle of deliberate self-harm: The experiential avoidance model.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2006;44:371-394. https://doi.org/10.1016/j.brat.2005.03.005. 

  8. Muehlenkamp JJ, Gutierrez PM. Risk for suicide attempts among adolescents who engage in non-suicidal self-injury. Archive Suicide Research. 2007;11:69-82. https://doi.org/10.1080/13811110600992902 

  9. Muehlenkamp JJ, Swenson LP, Batejan KL, Jarvi SM. Emotional and behavioural effects of participating in an online study of non-suicidal self-injury: An experimental analysis. Clinical Psychology Science. 2015;3:26-37. https://doi.org/10.1177/2167702614531579 

  10. Nock MK, Favazza AR. Nonsuicidal self-injury: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In: Nock, M.K. (Ed.), Understanding nonsuicidal self-injury: Origins, assessment, and treatment.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ashington; 2009. p. 9-18. 

  11. Cuneyt E, Ozgul C, Bilge E, Selime C. Relationship of self-mutilative behaviour with severity of borderline personality, childhood trauma and impulsivity in male substance-dependent inpatients. Psychiatry Research. 2012;200(1):20-25. https://doi.org/10.1016/j.psychres.2012.03.017 

  12. Edmondson AJ, Brennan CA, House, AO. Non-suicidal reasons for self-harm: A systematic review of self-reported account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6;191:109-117. https://doi.org/10.1016/j.jad.2015.11.043 

  13. Baetens I, Claes L, Muehlenkamp JJ, Grietens H, Onghena P.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symptoms and self-competencies in non-suicidal self-injurious flemish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ce. 2012;35:753-759. https://doi.org/10.1080/13811118.2011.540467. 

  14. Chapman AL, Gratz KL, Brown MZ. Solving the puzzle of deliberate self-harm: The experiential avoidance model.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2006;44:371-394. https://doi.org/10.1016/j.brat.2005.03.005 

  15. Jacobson CM, Gould M. The epidemiology and phenomenology of non-suicidal self-injurious behavior among adolescents: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rchive Suicide Research. 2007;11:129-147. https://doi.org/10.1080/13811110701247602. 

  16. Ougrin D, Tranah T, Stahl D, Moran P, Asarnow JR.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suicide attempts and self-harm in adolescen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Child Adolescent Psychiatry. 2015;54:97-107. https://doi.org/10. 1016/j.jaac.2014.10.009. e2 

  17. Baetens I, Claes L, Onghena P, Grietens H, Leeuwen KV, Ciska P, et al. Non-suicidal self-injury in adolescence: A longitudin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SSI, psychological distress and perceived parenting. Journal of Adolescence. 2014;37:817-826. https://doi.org/10.1016/j.adolescence.2014.05.010 

  18. Welch SS, Linehan MM, Sylvers P, Chittams J, Rizvi SL. Emotional responses to self-injury imagery among adul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2008;76:45-51. https://doi.org/10.1037/0022-006X.76.1.45 

  19. Jacobson CM, Muehlenkamp JJ, Miller AL, Turner JB. Psychiatric impairment among adolescents engaging in different types of deliberate self-harm.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2008;37:363-375. https://doi.org/10.1080/15374410801955771 

  20. Nock MK, Joiner TE, Gordon KH, Lloyd-Richardson E, Prinstein MJ. Non-suicidal self-injury among adolescents: Diagnostic correlates and relation to suicide attempts. Psychiatry Research. 2006;144:65-72. https://doi.org/10.1016/j.psychres.2006.05.010 

  21. Klein DA, Miller AL.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for suicidal adolesc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Child Adolescent Psychiatric Clinic North America. 2011;20:205-216. https://doi.org/10.1016/j.chc.2011.01.001 

  22. Linehan MM. Skills training manual for treating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New York: Guilford Press; 1993. p. 15-19. 

  23. Chanen AM, Jackson HJ, McCutcheon LK, Jovev M, Dudgeon P, Yuen HP, et al. Early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using cognitive analytic therap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008;193:477-484. https://doi.org/10.1192/bjp.bp.107.048934 

  24. Simons JS, Gaher RM. The distress tolerance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Motivation and Emotion. 2005;29(2):83-102. https://doi.org/10.1007/s11031-005-7955-3 

  25. Park SA. Fear of emotions and distress tolerance in young adul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features.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21 p. 

  26. Gratz KL. Measurement of deliberate self-harm: Preliminary data on the Deliberate Self-Harm Inventory.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001;23(4):253-263. 

  27. Anestis MD, Kleiman EM, Lavender JM, Tull MT, Gratz KL. The pursuit of death versus escape from negative affect: An examination of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dysregulation and both suicidal behavior and non-suicidal self-injury. Comprehensive Psychiatry. 2014;55(8);1820-1830. https://doi.org/10.1016/j.comppsych.2014.07.007 

  28. Kim SH.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the stressful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2008;26:5-29. 

  29. Beck AT, Kovacs M, Weissman A.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979;47:343-352. 

  30. Park KB, Shin MS. Perceived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Psychology. 1991;10(1):298-3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