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의식적 부정정서가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Self-conscious Negative Emotions on the Non-suicidal Self-injur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3, 2019년, pp.385 - 395  

백보겸 (광주정신재활병원) ,  김지인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권호인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죄책감, 수치심, 수줍음, 내부 적대감을 포함하는 자의식적 부정정서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기제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J지역 3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652명으로, 이들에게 비자살적 자해, 자의식적 부정정서, 정서조절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Process macro의 model 4를 사용한 매개분석 결과, 자의식적 부정정서는 자해행동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부정적 반추의 정서조절이 그 관련성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의식적 부정정서가 높을수록 비자살적 자해 행동이 증가하며, 부정적 반추가 부정정서를 더욱 강화시켜 자해 행동을 증폭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pathways of emotional regulators in relation to self-conscious negative emotions, including non-suicidal self-harm, guilt, shame, shyness, and internal hostility, further examining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mechanisms. The study subjects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내부 적대감과 죄책감 등의 자의식적 정서를 경험한 후 부정적 반추를 하는 경우 자해행동을 증폭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관심을 제기하였다. 차후 개입방향 중 하나로 자의식적 부정정서를 감소시키고 부정적 반추사고의 수정 및 관리를 가능하도록 하는 조절방략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제안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Process Macro의 model 4를 이용해 부정적 반추, 숙고, 주의전환, 자기비난, 파국화가 자의식적 부정정서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해 Bootstrap을 10,000 샘플에서 실시하였고 95% 신뢰구간이 0을 포함하는지를 확인하였다[표 3].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652명을 대상으로 자의식적 부정정서, 정서조절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자의식적 부정정서가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정서조절전략이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모형에서는 자의식적 부정정서가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을 부정적 반추만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비자살적 자해에 있어서 주의전환의 정서조절전략이 적응적 전략인지에 대한 결과는 비일관적인 양상이며[30], 최근 논의된 반추 정서조절의 두 가지 측면[25]이 자해에 있어서 차별적 영향이 있는지에 대해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자의식적 부정정서가 자해를 유발하는 위험요인인지, 또한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이 그 과정을 매개하는지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행동에 대한 예방 및 치료적 접근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요약하면 본 연구는 자의식적 부정정서가 자해를 유발하는 위험요인인지, 또한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이 그 과정을 매개하는지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행동에 대한 예방 및 치료적 접근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첫째, 본 연구는 내부 초점적 반응에 의해 경험하게 되는 자의식적 부정정서의 비자살적 자해 시도에 대한 기여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의식적 부정정서가 높을수록 비자살적 자해와의 관련성이 높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자살적 자해란? 비자살적 자해는 ‘자살의도 없이 직접적이고 고의적으로 자신의 신체에 손상을 입히는 행동’으로 정의된다[1]. 최근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5판은 자살행동장애와 자해를 구분하고, 비자살적 자해(Non-suicidal self-injury : NSSI)를 ‘죽으려는 목적 없이 1년에 5일 이상 일부러 자신의 신체에 상처를 입히는 행동 장애’로 규정하였다[2].
자의식적 부정정서는 자해행동과 어떤 관련성을 보이는가? Process macro의 model 4를 사용한 매개분석 결과, 자의식적 부정정서는 자해행동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부정적 반추의 정서조절이 그 관련성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의식적 부정정서가 높을수록 비자살적 자해 행동이 증가하며, 부정적 반추가 부정정서를 더욱 강화시켜 자해 행동을 증폭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정적 반추가 부분 매개경로써 비자살적 자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둘째, 자의식적 부정정서가 비자살적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정서조절전략이 매개하는지 여부를 살펴본 결과 부정적 반추의 부분 매개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정적 반추가 과거의 부정적인 면을 회상하는 데 지속적으로 주의를 집중하게 해 문제해결보다는 회피적 대처를 하도록 하게 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어 나타나는 결과일 수 있다[36]. 또한 부정정서에 대한 반추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정정서를 더욱 강화시키며 조절곤란 행동을 하도록 이끄는 부정적 전략이라는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것이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M. K. Nock and A. R. Favazza, "Non-suicidal self-infury: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In M. K. Nock(Ed.), Understanding non-suicidal self injury: Origins, assessment and treatme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p.65-78, 2009.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5. 

  3. J. Briere and E. Gil, "Self-mutilation in clinical and general population samples: Prevalence, Correlates, and Functions," American Journal of Othopsychiatry, Vol.68, No.4, pp.609-620, 1998. 

  4. S. Ross and N. Heath, A study of the frequency of self-mutilation mental health foundation, Truth Hurts Report, 2002. 

  5. 중앙일보, ""자해 사진이 유행" 구멍 뚫린 SNS...청소년 극단적 시도 증가," https://news.joins.com/article/23033871, 2018.10.10. 

  6. M. K. Nock, "Self-injury,"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Vol.6, No.1, pp.339-363, 2010. 

  7. J. Berman and P. H. Wallance, Cutting and the Pedagogy of self-disclosur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2007. 

  8. J. J. Muehlenkamp and P. M. Gutierrez, "An investigation of differences between self-injurious behavior and suicide attempts in a sample of adolescents," Suicide Life Threat Behavior, Vol.24, No.1, pp.12-23, 2004. 

  9. B. W. Walsh, Treating self-injury: A Practical guide, New York: Guilford Press, 2012. 

  10. C. A. Hamza, S. L. Stewart, and T. Willoughby, "Examining the link between nonsuicidal self-injury and suicidal behavior: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n integrated model,"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32, No.6, pp.482-495, 2012. 

  11. K. L. Gratz, "Measurement of deliberate self harm: Preliminary data on the deliberate self harm inventory,"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Vol.23, No.4, pp.253-263, 2011. 

  12. A. Laye-Gindhu and K. A. Schonert-Reichl, "Non suicidal self-harm among community adolescents: understanding the 'whats' and 'whys' of self-harm,"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34, No.5, pp.447-457, 2005. 

  13. E. D. Klonsky, "Non-suicidal self-injury in United States adults: Prevalence, sociodemographics, topography and functions," Psychological medicine, Vol.41, No.9, pp.1981-1986, 2011. 

  14. 신다원, 남녀 청소년의 수치심경향성 및 죄책감 경향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내부초점적 반응양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5. 김화정,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와 수치심경향성, 죄책감경향성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6. W. R. Crozier and M. Burnham, "Age-related differences in children's understanding of shyness,"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Vol.8, No.2, pp.179-185, 1990. 

  17. A. L. Champman, K. L. Gratz, and M. Z. Brown, "Solving the puzzle of deliberate self-harm: The experiential avoidance model,"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Vol.44, No.3, pp.371-394, 2006. 

  18. M. Schoenleber, H. Berenbaum, and R Motl, "Shame-Related Functions of and Motivations for Self-Injurious Behavior," Personality Disorders: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Vol.5, No.2, pp.204-211, 2014. 

  19. S. VanDerhei, J. Rojahn, J. Stuewig, and P. E. McKnight, "The effect of shame-proneness, guilt-proneness, and internalizing tendencies on nonsuicidal self-injury,"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Vol.33, No.3, pp.317-330, 2014. 

  20. A. D. Brittlebank, A. Cole, F. Hassany, M. Keeny, D. Simpson, and J. Scott, "Hostility, hopelessness and deliberate self-harm: a prospective follow-up study,"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Vol.81, No.3, pp.280-283, 1990. 

  21. 김근명, 차선경, "간호대학신입생의 정서인식, 정서표현, 정서표현양면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322-332, 2013. 

  22. 정구철, "대학생의 부정적 정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성별을 통한 폭발적 행동이 매개된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775-784, 2014. 

  23. D. M. Tice, E. Bratslavsky, and R. F. Baumeister, "Emotional distress regulation takes precedence over impulse control: If you fell bad, do i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0, No.1, pp.53-67, 2001. 

  24. E. D. Klonsky and T. M. Olino, "Identifying clinically distinct subgroups of self-injurers among young adults: a latent class analysi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76, No.1, pp.22-27, 2008. 

  25. W. Treynor, R. Gonzalez, and S. Nolen-Hoeksema, "Rumination reconsidered: A psychometric analysi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27, No.3, pp.247-259, 2003. 

  26. E. A. Selby, L. D. Connell, and T. E. Joiner, "The pernicious blend of rumination and fearlessness in non-suicidal self-injury," Cognitive and Therapy Research, Vol.34, No.5, pp.421-428, 2010. 

  27. J. Whitlock and K. L. Knox,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njurious behavior and suicide in a young adult population," Archives of pediatrics and Adolescent Medicine, Vol.161, No.7, pp.634-640, 2007. 

  28. Y. J. Lin and F. W. Wicker,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hought suppression, distraction and concentration," Behavioural Research and Therapy, Vol.45, No.12, pp.2924-2937, 2007. 

  29. N. Koerner and M. J. Dugas, A cognitive model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The role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 G. C. L. Davey & A. Wells(Eds.), Worry and its psychological disorders: Theory, assessment and treatment, Hoboken, NJ, US: Wiley Publishing, pp.201-216, 2006. 

  30. J. J. Gross and L. F. Barrett, "Emotion Generation and Emotion Regulation: One or Two Depends on Your Point of View," Emotion Review, Vol.3, No.1, pp.8-16, 2011 

  31. 서윤아, 비자살적 자해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외상 및 복합외상증후군의 탐색,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2. C. E. Lzard, D. Z. Libero, P. Putnam, and O. M. Haynes, "Stability of emotion experiences and their relations to traits of personal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4, No.5, pp.847-860, 1993. 

  33. 이선화, 김보미, 유성은, "차별적 정서척도(DES-IV)의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1권, 제1호, pp.147-167, 2012. 

  34. S. Nolen-Hoeksema and J. Morrow, "Effects of responses to depression on the remediation of depressiv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8, No.3, pp.519-527, 1991. 

  35. 김은정, 오경자, "우울증상의 지속에 영향을 주는 인지 및 행동 요인들: 3개월간 추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3권, 제1호, pp.1-19, 1994. 

  36. N. Garnefski, V. Kraiij, and P. Spinhvben, Manual for the use of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The Netherlands: DATEC, Leiderdorp, 2002. 

  37. 안현의, 이나빈, 주혜선, "한국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K-DERQ)의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제14권, 제3호, pp.1773-1794, 2013. 

  38. E. H. Wertheim and J. C. Schwartz, "Depression, guilt, and self-management of pleasant and unpleasant ev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5, No.4, pp.884-889, 1983. 

  39. 권혁진, 비자살적 자해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인지적 요인의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40. 김수진, 비자살적 자해의 시작과 중단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41. 오가혜, 안창일, "수줍음과 우울의 관계: 관계지향성과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제25권, 제3호, pp.657-673, 2006. 

  42. 안영신,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43. S. Nolen-Hoeksema,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Rumination and Bulimic, Substance Abuse, and Depressive Symptoms in Female Adolescent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116, No.1, pp.198-207, 2007. 

  44. 박현순, 원호택, "공황장애 환자의 인지특성에 관한 실험연구 1: 신체감각 정보에 대한 지각적 민감성과 파국적 해석과정,"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Vol.15, No.1, pp.1-16, 1996. 

  45. S. Nolen-Hoeksema, "Responses to depression and their effects on the duration of depressive episode,"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00, No.4, pp.569-582,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