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세대를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Digital Storytelling Activity Model for Digital Generation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1 no.6, 2017년, pp.647 - 656  

조미헌 (청주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학생들이 스토리를 기획 구성하고,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여 결과물을 제작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은 디지털 세대에 요구되는 창의성, 의사소통 능력, 비판적 사고력, 협동과 같은 역량들을 신장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스토리의 프로슈머가 되어 스토리의 기획 및 구성은 물론 기획한 스토리를 디지털 자료로 제작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은 '활동 준비', '스토리 기획 및 구성', '스토리텔링 자료 제작', '자료 발표 및 평가' 등과 같은 4가지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 대한 활동 지침들을 제공하였다. 또한 각 단계별 활동을 돕기 위하여 스토리 기획서, 스토리 테이블, 팀간 평가지, 개별 성찰지 등의 양식들을 제공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gital storytelling provides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plan and compose a story, and create a storytelling material using various digital technologies. Through digital storytelling activities, students can enhance competencies such as creativity, communication, critical thinking and collabor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들이 스토리의 프로슈머(Prosumer)가 되어 스토리의 기획 및 구성은 물론 기획한 스토리를 디지털 자료로 제작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DST 활동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이 단계에서는 스토리 제작물을 공유하고 발표하며, 교사와 팀간 평가를 통하여 피드백 의견을 교환하여 향후 DST 활동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또한, 개별 성찰지를 작성하여 DST 활동 전반에 대해 반추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교사는 DST 자료 개발을 위한 미디어(예: 스마트 패드, 각종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등)에 대해 소개하고, 관리 방법을 안내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이미 익혔던 미디어의 사용 방법에 대해 간단히 복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세대를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Digital Storytelling; DST)방법의 도입에 초점을 두었다. DST는 디지털 세대들에게 서로 토론하고 협동하며 스토리를 기획·구성하고,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여 결과물을 제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따라서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스토리와 효과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미디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22]. 이에 본 연구는 미디어의 특성을 스토리의 유형과 연계하여 제안함으로써 DST 활동에 참여하는 교사와 학생들이 다양한 미디어들 중에서 스토리에 알맞은 미디어를 쉽게 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이러한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학교에서 수행되는 대부분의 DST 기반 활동들이 교사 중심적으로 치우치거나, 스토리의 기획부터 제작까지의 전 과정을 통합적으로 다루지 못한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19][29][30]. 이에 본 연구는 학생들이 스토리의 프로슈머가 되어 스토리의 기획 및 구성은 물론 기획한 스토리를 디지털 자료로 제작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DST 활동 모형을 개발하였다
  • 팀간 평가는 자신의 팀을 제외한 팀들이 제작한 결과물에 대해 팀별 발표를 보고 평가한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 모형의 4단계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학생들이 스토리의 프로슈머가 되어 스토리의 기획 및 구성은 물론 기획한 스토리를 디지털 자료로 제작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은 '활동 준비', '스토리 기획 및 구성', '스토리텔링 자료 제작', '자료 발표 및 평가' 등과 같은 4가지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 대한 활동 지침들을 제공하였다. 또한 각 단계별 활동을 돕기 위하여 스토리 기획서, 스토리 테이블, 팀간 평가지, 개별 성찰지 등의 양식들을 제공하였다.
전통적인 스토리텔링 대비 DST의 장점은? DST는 디지털 세대들에게 스토리를 기획·구성하고,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여 결과물을 제작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가운데, 미래사회를 대비하여 중시되는 창의성, 의사소통 능력, 비판적 사고력, 협동과 같은 역량들을 신장시킬 수 있다[23][27][29]. 전통적인 스토리텔링과 비교할 때, DST는 학생이 스토리의 소비자뿐만 아니라 생산자가 되도록 하여 최근 관심을 받는 메이커 운동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생산과 교류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DST의 교육적 효과는 무엇인가? 구체적으로 DST는 ‘학습 몰입 유도’, ‘상상력과 창의력 신장’, ‘논리적 사고력 향상’, ‘사회적·감성적 발달’, ‘상호 협력과 공동체 학습 지원’, ‘테크놀로지 사용 능력 신장’ 등과 같은 교육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첫째, DST는 풍부한 학습 자원을 제공하며 학생이 등장인물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가운데 스토리에 쉽게 집중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능동적인 참여를 유발하고, 동기와 흥미를 자극하여 학생들이 학습활동에 몰입하도록 도울 수 있다[7][10][19][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ek, Y., Han, S., Park, J., Kim, J., Choi, M., Byun, H., Park, J., Kang, S., & Yoon, S.(2015). Educational Strategy and Educational Technology in the Smart Age. Seoul: Hakjisa. 

  2. Choi, H.(2012). Cultural Contents, Meeting Storytelling. Seoul: SERI. 

  3. Choi, S.Y.(2009). Opportunities for digital storytell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on second life. Paper presented at the HCI 2009 Conference. 

  4. Choi, Y., & Kim, S.(2005). Storytelling and Narrative. Seoul: Geulnurim. 

  5. Dale, E.(1969). Audiovisual Methods in Teaching. New York: The Dryden Press. 

  6. Dick, W., Carey, L., & Carey, J.O.(2011).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Inc. 

  7. Ellis, G., & Brewster, J.(1991). The Storytelling Handbook for Primary Teachers. London: Penguin Books. 

  8. Heo, H.(2006). Development of Multimedia contents using storytelling as narrative think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1), 195-224. 

  9. Heo, H., & Jo, M.(2017). Storytelling-based Learning. In H. Heo, M. Kim, M. Jo, O. Lee, & M. Kim(Eds.). Exploration of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Information Education. KyoungGi: Kyoyookbook. 

  10. Hong, S.(2015). Designing and applying Project Based Learning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based on storytelling. Social Studies Education. 54(2), 49-63. 

  11. Hwang, S.(2009). Factors constructing storytelling and creation of good storytelling. Excellence Marketing for Customer, 43(12), 33-38. 

  12. Jo, M., Kim, M., Kim, M., Lee, O., & Heo, H.(2015). The Design of e-Learning Contents. KyoungGi: Kyoyookbook. 

  13. Johnson, D.W., & Johnson, R.T.(1999). Learning Together and Alone.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14. Johnson, L., Adams Becker, S., Estrada, V., & Freeman, A.(2014). NMC Horizon Report: 2014 K-12 Edition. Austin, Texas: The New Media Consortium. 

  15. Johnson, L., Adams Becker, S., Estrada, V., & Freeman, A.(2015). NMC Horizon Report: 2015 K-12 Edition. Austin, Texas: The New Media Consortium. 

  16. Kim, M.J., & Chung, H.J.(2017). The Study of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Coding Education Contents for Kids Based on Digital Storytell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3(1), 21-31. 

  17. Kim, S., & Lee, H.(2013). Understanding Media. Seoul: Minumsa. 

  18. Koo, D.H.(2014). Development of Digital Storytell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Software Programming.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5(1), 245-260. 

  19. Kwon, H.(2008). The Effects of Digital Storytelling on the Achievement and Attitude in Mathema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9(3), 139-170. 

  20. Lambert, J.(2013). Digital Storytelling: Capturing Lives, Creating Community(4th ed.). New York: Routledge. 

  21. Lee, C., Kwon, J., & Park, B.(2011). The Power of a Story!. Seoul: Golden Fish Co. 

  22. Lee, I., Go, W., Jeon, B., Kang, S., Jeon, K., Bae, J., Han, H., & Lee, J.(2003). Digital Storytelling. Seoul: Golden Bough Co. 

  23. Lee, J.(2011). Digital Storytelling in Art Education. Art Education Research Review. 25(3), 123-146. 

  24. Lee, J.M., Park, S.H., & Kang, M.S.(2011). Design a e-learning contents prototype based on storytelling for improve problem in cyber home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1(2), 1-28. 

  25. Lee, S., Yang, H., Hwang, J., & Kim, S.(2016). A Study on the Culture of Students in the Digital Generation. KEDI. 

  26. Moon, K.H., & Kim, H.P(2015). The Effects of Robot Education Program Applied with Storytell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ities and Interests about Robo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1(1). 1-15. 

  27. Nam, C.W., & Ka, E.A.(2014). Developing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Digital Storytelling-based Instruction.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30(4), 679-715. 

  28. No, H., Park, S., & Choi M.(2012). Educational Strategy and Educational Technology. KyoungGi: Kyoyookbook. 

  29. Ohler, J.B.(2013). Digital Storytelling in the Classroom(2nd Ed.). Thousand Oaks, CA: Corwin. 

  30. Park, J.(2014). A study of digital storytelling based programming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19(5), 119-128. 

  31. Park, J., & Kim, C.(2012). An effect of storytelling-based robot programming cla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6(2), 211-222. 

  32. P21(2007). Framework for 21st Century Learning. 

  33. Shim, Y.S.(2014). Study on the method of storytelling teaching-learning using Prezi.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46, 224-231. 

  34. Yang, Y.(2012). Teaching English Through Storytelling in Children's English Education. Story&ImageTelling, 4, 101-124. 

  35. Yoh, K.(2005). Market society, cultural literacy, media literacy. The Journal of Criticism and Theory, 10(1), 83-1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