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화재조건에서 플라스틱 종류에 따른 연기입자의 크기분포 변화 측정
Measurement of the Size Distribution of Smoke Particles with Plastic Types Under Various Fire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1 no.6, 2017년, pp.8 - 15  

구재학 (우석대학교 소방안전학과) ,  황철홍 (대전대학교 소방방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재발생 시에 대부분의 인명 피해는 연기에 의해 발생되는데, 최근 건축 내장재에서 차지하는 플라스틱의 양이 많아지며 발생되는 연기의 유독성이 점차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연기에 의한 인체피해의 상당부분은 흡입연기의 폐침전과 관련이 있으며, 연기입자의 크기분포는 폐침전 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플라스틱 종류에 따른 연기입자의 크기별 발생량 검토는 폐침전에 의한 인체피해 연구에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최근의 목재와 폴리프로필렌(PP)에 대한 연기입자의 발생특성 연구에서 PP의 연기입자 크기분포 특성이 몇 가지 측면에서 목재와는 확연히 다르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른 플라스틱들도 연기입자 크기분포에서 PP와 같은 특성을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대표적인 4가지 플라스틱(LDPE, PA66, PMMA, PVC)에 대하여 연기입자 크기분포 측정실험을 수행하였다. 특정 조건에서 연소생성물을 균일하게 생성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ISO/TS 19700 기준에 따른 등속튜브연소로를 이용하여 연소로의 온도와 산소공급량에 따라 다양한 화재조건에서 연기입자를 균일하게 발생시키고, 정전저압 임팩터를 사용하여 연기입자의 크기에 따른 개수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4가지 플라스틱의 연기입자 크기분포 특성은 여러 측면에서 PP와 유사하며 목재와는 확연히 다르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fire victims succumb to smoke inhalation, and fire smoke toxicity from interior materials is increasing with increased use of plastics. Large amounts of hazardous effects of smoke are related to deposition of smoke particles in respiratory tracts, and deposition characteristics are influenced b...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8)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른 플라스틱도 연기입자 크기분포에서 PP와 같은 특성을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대표적인 4가지 플라스틱(LDPE, PA66, PMMA, PVC)에 대하여 연기입자 크기분포 측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4가지 플라스틱의 연기입자 크기분포 특성은 여러 측면에서 PP와 유사하며 목재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 목재와 폴리프로필렌(PP)에 대한 연기입자의 발생특성에 관한 최근의 연구에서 PP의 연기입자 크기분포 특성이 몇 가지 측면에서 목재와는 확연히 다르게 나타났다. (18)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른 플라스틱들도 연기입자 크기분포에서 PP와 같은 특성을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대표적인 4가지 플라스틱(LDPE, PA66, PMMA, PVC)를 대상으로 연기입자 크기분포 측정실험을 수행하였다. 고려된 4가지 플라스틱은 최근 유럽과 북미의 관련 연구팀들이 참가한 상호검증리그(15)에서 테스트물질로 선정한 재료들로서, 향후 본 연구의 비교검증이 용이하도록 선정되었다.
  • 반면에 PP에서는 이와 반대의 경향을 보이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이 PP가 목재와 다른 경향을 보이는 것이 PP만의 특성인지 아니면 일반적인 플라스틱의 특성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4종의 플라스틱(LDPE, PA66, PMMA, PVC)에 대하여 각 화재조건에서 입경에 따른 연기입자 농도분포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실재하는 연기입자는 Goo(17,18)의 실험에서 측정된 TEM 사진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각 가연물질 및 화재조건에 따라 모양과 비중이 다르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질량농도는, 연기입자가 비중이 1이고 구형을 가정한 공기역학경 모델입자에 해당하는 비중과 형상을 갖는다고 가정하고 ELPI에서 측정된 각 입경별 개수농도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플라스틱에 대해 연기입자 크기분포 측정실험의 수행 내용은 무엇인가?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른 플라스틱들도 연기입자 크기분포에서 PP와 같은 특성을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대표적인 4가지 플라스틱(LDPE, PA66, PMMA, PVC)에 대하여 연기입자 크기분포 측정실험을 수행하였다. 특정 조건에서 연소생성물을 균일하게 생성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ISO/TS 19700 기준에 따른 등속튜브연소로를 이용하여 연소로의 온도와 산소공급량에 따라 다양한 화재조건에서 연기입자를 균일하게 발생시키고, 정전저압 임팩터를 사용하여 연기입자의 크기에 따른 개수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4가지 플라스틱의 연기입자 크기분포 특성은 여러 측면에서 PP와 유사하며 목재와는 확연히 다르게 나타났다.
연기에 의한 인체피해의 특징은 무엇인가? 화재발생 시에 대부분의 인명 피해는 연기에 의해 발생되는데, 최근 건축 내장재에서 차지하는 플라스틱의 양이 많아지며 발생되는 연기의 유독성이 점차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연기에 의한 인체피해의 상당부분은 흡입연기의 폐침전과 관련이 있으며, 연기입자의 크기분포는 폐침전 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플라스틱 종류에 따른 연기입자의 크기별 발생량 검토는 폐침전에 의한 인체피해 연구에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연기입자에 유독가스가 흡착되는 양상이 영향을 받는 것은 무언인가? 이때 고체상은 주로 미연탄소(unburned carbon)에 여러 유독가스를 포함한 가스가 흡착된 연기입자들로 이루어져 있다. 연기입자에 유독가스가 흡착되는 양상은 가스의 화학적 특성과 더불어 입자의 조성이나 크기 및 형상 등에 영향을 받는데, 이 입자들은 각 가연물의 화학적 조성과 화재조건, 즉 연소로의 온도와 산소 공급량 등에 따라 구형 또는 불규칙 형태의 단일입자 또는 이들의 군집형태 등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물리적 특성을 가지게 된다. 유기증기(organic vapor) 및 미연탄소로부터 생성되는 연기입자는 화재 조건별로 Figure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구체(precursor)가 핵생성(nucleation) 및 응축(condensation) 등을 거쳐서 단구형(singlet)의 초기입자(primary particle)를 생성하고, 그 후이들이 응고(coagulation), 집합(aggregation), 파손(breakage) 및 합체(coalescence) 등의 복합적인 과정을 거치면서 응집체(agglomerates)로 성장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R. G. Gann, J. D. Averill, K. M. Butler, W. W. Jones, G. W. Mulholland, J. L. Neviaser, T. J. Ohlemiller, R. D. Peacock, et al., "International Study on the Sublethal Effects of Fire Smoke on Survivability and Health: Phase I Final Report", NIST Technical Note 1439 (2001). 

  2. A. K. Bolling, J. Pagel, K. E. Yttri, L. Barregard, G. Sallsten, P. E. Schwarze and C. Boman, "Health Effects of Residential Wood Smoke Particles: The Importance of Combustion Conditions and Physicochemical Particle Properties", Particle and Fibre Toxicology, Vol. 6, pp. 29-48 (2009). 

  3. T. Hertzberg and P. Blomqvist, "Particles from Fires : a Screening of Common Materials Found in Buildings", Fire and Materials, Vol. 27, No. 6, pp. 295-314 (2003). 

  4. S. K. Friedlander, "Smoke, Dust and Haze: Fundamentals of Aerosol Dynamics", Oxford Univ. Press, Oxford (2000). 

  5. K. M. Butler and G. W. Mulholland, "Generation and Transportation of Smoke Components", Fire Technology, Vol. 40, No. 2, pp. 149-176 (2004). 

  6. R. B. Diemer Jr. and J. H. Olson, "Bivariate Moment Methods for Simultaneous Coagulation, Coalescence and Breakup", Journal of Aerosol Science, Vol. 37, No. 3, pp. 363-385 (2006). 

  7. E. R. Weibel, "Morphometry of the Human Lung", Academic Press Inc., Springer-Verlag, New York (1963). 

  8. W. C. Hinds, "Aerosol Technolog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982). 

  9. H. K. Chang and M. Paiva, "Respiratory Physiology: an Analytical Approach", Marcel Dekker, Inc., New York (1989). 

  10. R. F. Phalen, "Inhalation Studies: Foundations and Techniques", 2nd Edition, Informa Healthcare, New York (2009). 

  11. J. Goo, "Development of the Size Distribution of Smoke Particles in a Compartment Fire", Fire Safety Journal, Vol. 47, No. 1, pp. 46-53 (2012). 

  12. Dekati Ltd., "ELPI USER MANUAL Ver. 1.14", Finland (2011). 

  13. ISO/TS 19700, "Controlled Equivalence Ratio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Hazardous Components of Fire Effluents", (2006). 

  14. T. R. Hull and K. T. Paul, "Bench-scale Assessment of Combustion Toxicity : a Critical Analysis of Current Protocols", Fire Safety Journal, Vol. 42, No. 5, pp. 340-365 (2007). 

  15. J. A. Purser, D. A. Purser, A. A. Stec, C. Moffatt, T. R. Hull, J. Z. Su, M. Bijloos and P. Blomqvist,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the ISO/TS 19700 steady state tube furnace", Fire Safety Journal, Vol. 55, pp. 22-34 (2013). 

  16. P. Blomqvist, T. Hertzberg, H. Tuovinen, K. Arrhenius and L. Rosell, "Detailed Determination of Smoke Gas Contents using a Small-scale Controlled Equivalence Ratio Tube Furnace Method", Fire and Materials, Vol. 31, No. 8, pp. 495-521 (2007). 

  17. J. Goo, "Studies on the Morphology of Smoke Particles for Each Type of Fire by Using Steady State Tube Furnace",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8, No. 1, pp. 44-51 (2014). 

  18. J. Goo, "Study on the Real-time Size Distribution of Smoke Particles for each Fire Stage by Using a Steady-state Tube Furnace Method," Fire Safety Journal, Vol. 78, pp. 96-101 (2015). 

  19. J. Rhodes, C. Smith and A. A. Stec, "Characterisation of Soot Particulates from Fire Retarded and Nanocomposite Materials, and Their Toxicological Impact,"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Vol. 96, No. 3, pp. 277-284 (2011). 

  20. A. A. Stec et. al., "Analysis of Toxic Effluents Released form PVC Carpet under Different Fire Conditions," Chemosphere, Vol. 90, No. 1, pp. 65-71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