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을 이용한 잔대의 SSR 마커 개발
Development of Simple Sequence Repeat Markers from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Regel) H. Hara us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5 no.6, 2017년, pp.411 - 417  

박기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김영국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황보경 (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 ,  길진수 (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 ,  정희 (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 ,  박신기 ((주)테라젠이텍스 바이오연구소) ,  홍창표 ((주)테라젠이텍스 바이오연구소) ,  이이 (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Regel) H. Hara shows vegetative growth with radical leaves during the first year and shows reproductive growth with cauline leaves and bolting during the second year.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plant varies within the same species. For this reas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개발된 SSR 마커는 잔대의 유전체 정보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써, 잔대의 유전적 다양성을 염기서열 수준에서 밝히는데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국내 잔대 유전자원의 다양성을 성공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잔대의 체계적인 계통 분류 및 분자 육종에 필요한 기본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마커는 앞으로 국내외 잔대 유전자원의 확보 및 다양성 분석, 우수 형질의 잔대 품종 개발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여러 지역에 걸쳐 자생하며 재배, 유통되고 있는 잔대를 대상으로 NGS를 통한 SSR마커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잔대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여 향후 육종에 필요한 연구 기반을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잔대란 무엇인가? japonica (Regel) H.Hara]는 초롱꽃과에 속하는 타식성 식물이며 전 세계적으로 약 60 여 종이 분포하지만 주로 아시아권에서 자생하며 그 중 약 30 여 종이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et al., 2006).
잔대의 효능은 무엇인가? , 1988; Lee, 1989). 예로부터 알려진 약용식물인 잔대 (사삼)의 효능은 주로 폐 기능에 도움을 주며, 강한 해독능력이 있다고 전해지고 있다 (Shin and Seo,2000).
약용식물에 대한 연구로 인해 최근 어떤 것이 대두되고 있는가? 현재까지 약용식물에 대한 연구는 물질분석을 통한 이차대사산물의 이용과 같은 성분에 대한 연구와 DNA barcode기법을 통한 종판별이나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를 이용한 유연관계 분석 등의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최근 들어 한약재의 기원이 되는 식물에 대해 분자수준에서의 분류학적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유전정보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을 통한 유전체 분석 및 유전적 다양성분석과 이를 기초로 하는 분자육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Eu et al., 2009; Lee et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otstein D, White RL, Skolnick M and Davis RW. (1980). Construction of a genetic linkage map in man using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32:314-331. 

  2. Cheon KS and Yoo KO. (2013). Phylogeny of Hanabusaya (Campanulaceae), a Korean endemic, based on ITS sequences of nuclear ribosomal DNA. Journal of Systematics and Evolution. 51:704-714. 

  3. Coburn JR, Temnykh SV, Paul EM and McCouch SR. (2002). Design and application of microsatellite marker panels for semiautomated genotyping of rice(Oryza sativa L.). Crop Science. 42:2092-2099. 

  4. Eddie WMM, Shulkina T, Gaskin J, Haberle RC and Jansen RK. (2003). Phylogeny of Campanulaceae S. Str. inferred from ITS sequences of nuclear ribosomal DNA.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90:554-575. 

  5. Eu GS, Park MR and Yun SJ. (2009).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regions reveals phylogenic relationships of Rubus species cultivated in Kore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165-172. 

  6. Gil J, Um Y, Kim S, Kim OT, Koo SC, Reddy CS, Kim SC, Hong CP, Park SG, Kim HB, Lee DH, Jeong BH, Chung JW and Lee Y. (2017). Development of genome-wide SSR markers from Angelica gigas Nakai us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Genes. 8: 238. http://www.mdpi.com/2073-4425/8/10/238/htm (cited by 2017 Sep 18). 

  7. Henry RJ. (2012). Next-generation sequencing for understanding and accelerating crop domestication. Briefings in Functional Genomics. 11:51-56. 

  8. Jin L and Chakraborty R. (1994). Estimation of genetic distance and coefficient of gene diversity from single-probe multilocus DNA fingerprinting data.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11:120-127. 

  9. Kilian B and Graner A. (2012). NGS technologies for analyzing germplasm diversity in genebanks. Briefings in Functional Genomics. 11:38-50. 

  10. Kim HK. (2016). Adenophora remotiflora protects human skin keratinocytes against UVB-induced photo-damage by regulating antioxidative activity and MMP-1 expression.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10:371-376. 

  11. Kim S, Jeong JH, Chung H, Kim JH, Gil J, Yoo J, Um Y, Kim OT, Kim TD, Kim YY, Lee DH, Kim HB and Lee Y. (2016). Simple sequence repeat marker development from Codonopsis lanceolata and genetic relation analysis.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43:181-188. 

  12. Kress WJ, Wurdack KJ, Zimmer EA, Weigt LA and Janzen DH. (2005). Use of DNA barcodes to identify flowering plant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2:8369-8374. 

  13. Lee DR, Lee YS, Choi BK, Lee HJ, Park SB, Kim TM, Oh HJ, Yang HY and Suh JW. (2015). Roots extracts of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improve obesity in 3T3-L1 adipocytes and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Asian Pacific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8:898-906. 

  14. Lee JH, Jo IH, Lee JW, Park CG, Bang KH, Kim HS and Park CB. (2010). Molecular authentication of Scrophularia herbs by PCR-RFLP based on rpl-5 region of mitochondrial DN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8:173-179. 

  15. Lee JK. (1989). Taxonomy of the genus Adenophora (Adenophorae) in Korea. Master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p.75. 

  16. Lee ST, Chung YJ and Lee JK. (1988). A palynotaxonomic study of the Korean Campanulacea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18:115-131. 

  17. Lee SY, Lee SK, Lee JK, Kim KH and Lee SK. (2006).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genetic diversity of Rhizina undulata isolates b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5:388-392. 

  18. Liu KJ and Muse SV. (2005). PowerMarker: An integrated analysis environment for genetic marker analysis. Bioinformatics. 21:2128-2129. 

  19. Mardis ER. (2008). Next-generation DNA sequencing methods. Annual Review of Genomics and Human Genetics. 9:387-402. 

  20. McCouch SR, Chen X, Panaud O, Temnykh S, Xu Y, Cho YG, Huang N, Ishii T and Blair M. (1997). Microsatellite marker development, mapping and applications in rice genetics and breeding. Plant Molecular Biology. 35:89-99. 

  21. Nybom H. (2004). Comparison of different nuclear DNA markers for estimating intraspecific genetic diversity in plants. Molecular Ecology. 13:1143-1155. 

  22. Shin DH and Seo YB. (2000). Bibliographical studies on the shashen(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Hara.). The Journal of Daejeon Oriental Medicine. 8:107-122. 

  23. Untergasser A, Cutcutache I, Koressaar T, Ye J, Faircloth BC, Remm M and Rozen SG. (2012). Primer3-new capabilities and interfaces. Nucleic Acids Research. 40:e115. https://doi.org/10.1093/nar/gks596 (cited by 2017 Jan 25). 

  24. UPOV-BMT. (2002). C/36/10 Progress report of the 36th session of the technical committee, the technical working parties and working group on biochemical and molecular techniques and DNA-profiling in particular. UPOV-BMT. Geneva, Switzerland. p.21-22. 

  25. Wang Z, Gerstein M and Snyder M. (2009). RNA-Seq: A revolutionary tool for transcriptomics. Nature Reviews Genetics. 10:57-63. 

  26. Weising K, Nybom H, Wolff K and Kahl G. (2005). DNA fingerprinting in plants: Principles, methods, and applications, second edition.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21-1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