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데이터의 의미적 연계를 위한 행정구역 지식 그래프 구축
Building Knowledge Graph of the Korea Administrative District for Interlinking Public Open Dat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2, 2017년, pp.1 - 10  

김학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픈 데이터는 전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는 데이터 개방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공공 데이터의 양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데이터에 대한 부족함이 여전히 지적되고 있다. 본 논문은 공공 데이터를 의미적으로 연결해 데이터 공유 및 활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첫째, 대한민국 행정구역의 정의와 행정구역 사이의 관계를 의미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지식 모델을 제안한다. 행정구역은 국가의 영역을 국가 행정상의 목적에 따라 구분한 단위이다. 행정구역 지식모델은 지방자치법을 기준으로 행정구역체계의 구조, 행정단위별 관계를 정의한다. 둘째, 대한민국 행정구역 데이터에 대한 지식그래프를 소개한다. 공공 데이터를 의미적 수준에서 연결시키는 기준정보로써 행정구역 지식그래프의 특징과 이기종 공공데이터 연계 및 데이터 품질 개선을 위한 방법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행정기관 데이터의 연계 결과를 통해 행정구역 지식그래프의 응용 방법을 살펴본다. 행정기관 명칭은 기관별로 상이하게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행정구역 그래프를 통한 데이터 식별 및 정제와 더불어 데이터 품질 개선에 효과적인 접근 방안으로 고려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pen data has received a lot of attention from around the world. 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making efforts to open government data. However, despite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public data, the lack of data is still pointed out.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improve data sharing and utilizatio...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대한민국 행정구역 체계에 대한 지식 모델을 제안하고, 행정구역 데이터를 관련성 있는 데이터와 연계한 지식그래프를 소개했다. 스마트 시티, 자율 주행 자동차,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공데이터 활용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데이터 품질 및 연계에 대한 이슈로 인해 공공데이터의 적극적 활용은 여전히 제한적이다.
  • 본 연구는 공공 데이터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의 의미적 연계 방식을 제안한다. 의미적으로 연결된 데이터는 이기종 데이터의 통합을 위한 기반이 될 수 있으며, 인공지능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능정보의 특성을 함께 갖는다.
  • 의미적으로 연결된 데이터는 이기종 데이터의 통합을 위한 기반이 될 수 있으며, 인공지능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능정보의 특성을 함께 갖는다. 특히, 공공데이터에서 활용성이 높은 행정구역에 대한 링크드 데이터를 제안하여 공공데이터의 연계와 품질 개선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소개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 일선행정기관 데이터는 기관코드, 전체기관명, 최하위기관명 항목이 행정기관 데이터와 일치한다.
  • 이런 문제는 공공데이터 전반에 있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데이터 품질에 대한 신뢰를 저해하는 요인이다. 둘째, 데이터 연계를 위한 기준 정보의 미흡이다. 대부분의 공공 데이터가 행정기관이나 부처별로 개방되고 있는 상황에서 데이터셋을 연계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공공데이터 활용의 저해 요인은 어떠한 것이 있는가? 그러나, 공공 데이터를 통한 사회적 변화나 산업 생태계 조성은 여전히 제한적이다. 공공데이터가 활성화되지 않는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일까? 국내에서 공공데이터 활용의 저해 요인은 성과 과시적 정책 추진, 공유문화 부족, 표준 및 품직 부족, 관련 기술 및 전문가 부족 등 다양하다[15]. 공공 데이터가 무료라는 인식이나 데이터 개방의 양적 확대로 발생하는 문화적·정책적 문제와 더불어 데이터 자체의 낮은 품질은 활용에 있어 근본적인 제약이다.
지방자치단체에서 동이 행정동과 법정동으로 혼용되어 사용되는 예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지방자치단체에서 동(洞, Dong)은 행정동과 법정동으로 혼용되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명동은 행정동이고, 을지로1가, 을지로2가, 남대문로1가, 삼각동, 수하동, 장교동, 회현동3가, 충무로2가, 명동1가, 명동2가, 남산동1가, 남산동2가, 남산동3가, 저동1가, 무교동, 다동, 태평로1가 등의 법정동을 포함한다. 즉, 법정동은 주소의 기준이 되는 고유한 지역 명칭이고, 행정동은 관할하는 동주민센터 (동사무소)가 있는 실제 이름이다.
공공데이터란 무엇인가?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6]에 따르면, 공공데이터란 “데이터베이스, 전자화된 파일 등 공공기관이 법령 등에서 정하는 목적을 위하여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광(光) 또는 전자적 방식으로 처리된 자료 또는 정보”이다. 소유적 관점에서 보면, 공공데이터는 본래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이지만 정부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위해 민간에 제공한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NSTC), "Preparing for the Futur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vailable at https://obamawhitehouse.archives. gov/sites/default/files/whitehouse_files/microsit es/ostp/NSTC/preparing_for_the_future_of_ai.pdf, 2016. 

  2. World Wide Web Foundation, "Open Data Barometer 4th Edition," available at http://opendatabarometer.org/ 

  3. H. Santos, V. Dantas, V. Furtado, P. Pinheiro, and D. L. McGuinness, "From Data to City Indicators: A Knowledge Graph for Supporting Automatic Generation of Dashboards," Proceedings of the 14th Extended Semantic Web Conference (ESWC 2017), pp.94-108, 2017. 

  4. 김학래, 지식그래프, 커뮤티케이션북스, 2017. 

  5. K. Janowicz, P. Hitzler, B. Adams, D. Kolas, and C. Vardeman, "Five stars of Linked Data vocabulary use," Semantic Web 5, No.3, pp.173-176, 2014. 

  6.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링크드 오픈 데이터 국내 구축 사례집, http://lod.seoul.go.kr/home/guide/ 2014_Linked_Open_Data_internal_build_case.pdf 

  7. 윤소영, "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링크드 데이터 국가 연계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제30권, 제1호, pp.259-284, 2013. 

  8. 윤소영, "LOD 기반 한국사 콘텐츠 서비스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정보관리학회지, 제30권, 제3호, pp.297-315, 2013. 

  9. 현은석, "링크드 데이터 관점의 빅데이터와 공공 데이터," 디지털도서관, 2014년 봄호, 제73호, pp.89-106, 2014. 

  10. 이재걸, 김재홍, 김종배, 김광용, "전자정부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공공데이터 확장 모델,"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7, No.3, pp.241-252, 2017(3). 

  11. 김학래, "시맨틱 웹과 의미적 연결성: 웹 사이언스를 위한 출발점," 정보과학회지, 제28권, 제3호, pp.31-40, 2010. 

  12. Open Knowledge, "Open data handbook," http://opendatahandbook.org/ 

  13.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약칭:공공데이터법) 법률 제11956 호, 2013. 

  14.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 관리지침, 행정자치부/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 2017. 

  15. 강희종, "공공데이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정책 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Insight 156, pp.1-30, 2014(12). 

  16. 권성아, 백승환, 이지연, "국내 공공데이터 개방 현황 및 활용사례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37-45, 2015(8). 

  17.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법 법률 제14768호,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