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데이터 개방표준 데이터의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 of the Open Standard Dat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9, 2020년, pp.439 - 447  

김학래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공데이터는 공공기관이 전자적으로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모든 정보와 전자화된 파일이다. 공공데이터는 인공지능, 스마트 시티 등 차세대 신산업을 견인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한국은 공공데이터 개방과 관련된 국제 평가에서 연속적으로 높은 순위에 위치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공데이터의 활용과 산업적 영향은 미흡하다. 공공데이터의 활용이 미흡한 이유는 다양할 수 있지만, 데이터 품질은 지속적으로 논의되는 주요 이슈이다. 본 논문은 공공데이터 품질 평가를 위한 지표를 검토하고, 개방된 공공데이터를 대상으로 정량적 품질 평가를 수행한다. 특히, 공공데이터 관리지침을 기준으로 구축 및 개방된 개방표준 데이터의 품질을 진단하여 정부의 가이드라인이 적합한지 검토한다. 데이터 품질평가는 개방표준 데이터의 메타데이터와 데이터값을 포함하고, 완전성과 정확성 지표를 기준으로 검토한다. 데이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품질 개선을 위한 정책적·기술적 방안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blic data refers to all data or information creat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public information that leads to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mong all people. Public data is an important method to lead the next generation of new industr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mart cities, Korea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공공데이터 품질 평가는 메타데이터 중심으로 평가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셋이 갖고 있는 실제 데이터값의 품질도 평가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개방표준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셋에서 데이터값을 추출하고, 개별 데이터의 값을 진단해 개별 데이터셋의 종합적인 품질평가를 수행한다.
  • 본 논문은 개방표준 데이터의 품질 수준을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공데이터 품질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공공데이터의 품질은 기존의 이론적 틀로 해석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품질 평가는 체계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은 공공데이터 관리지침의 기준에 의해 구축된 개방표준 데이터를 대상으로 품질 평가를 수행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개방표준 데이터는 완결성 측면에서 88% 이상이었지만, 정확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논문은 공공데이터 품질관리에 대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개방표준 데이터를 대상으로 품질 평가를 수행하였다. 데이터 품질은 데이터 관리를 위해 중요한 요소이며,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관리에서 명시적인 지침을 마련하고 있다.
  • 본 연구는 공공데이터 품질평가를 위해 개방 표준데이터를 수집하고, 완전성과 정확성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다. 먼저 개방표준 데이터의 현황과 수집 방법을 소개하고, 데이터 품질 평가에 대해 요약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데이터란? 공공데이터는 공공기관이 전자적으로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모든 정보와 전자화된 파일이다. 공공데이터는 인공지능, 스마트 시티 등 차세대 신산업을 견인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가 진행하는 공공데이터 개방의 한계점은? 그러나, 지속적인 데이터 개방에도 불구하고 공공데이터 활용은 여전히 미흡하고, 데이터 사용자로부터 비판적인 의견이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6][7]. 공공데이터는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원천시스템에서 일부데이터가 개방되며, 이 과정에서 데이터가 갖고 있는 의미를 잃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개방된 공공데이터의 표현 형식, 데이터 내용에 대한 일관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데이터 품질에 대한 이슈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8]. 정부는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수준평가를 위해 평가 모델과 지표를 구체화하고[9][10],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품질 평가를 위한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있다[11]. 그러나, 기관이 아닌 데이터셋 중심의 데이터 품질을 진단하는데 여전히 한계가 있다.
공공데이터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공공데이터는 공공기관이 전자적으로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모든 정보와 전자화된 파일이다. 공공데이터는 인공지능, 스마트 시티 등 차세대 신산업을 견인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한국은 공공데이터 개방과 관련된 국제 평가에서 연속적으로 높은 순위에 위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약칭:공공데이터법) 법률 제11956호", 2013. 

  2.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 관리지침", 행정자치부/공공 데이터활용지원센터, 2017. 

  3. 김학래, "공공데이터의 의미적 연계를 위한 행정구역 지식 그래프 구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2, pp.1-10, 2017. 

  4. OECD, Government at a Glance 2017, OECD Publishing, Paris, 2017, 

  5. Open Data Barometer, https://opendatabarometer.org/, 2018.10. 

  6. 강희종, "공공데이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정책 과제," STEPI Insight, Vol.156, pp.1-30, 2014. 

  7. 서형준, "공공데이터 개방에 관한 실증연구: ODB와 OUR Index를 중심으로," NIA 정보화정책, Vol.24, No.1, pp.48-78, 2017. 

  8. H. Kim, "Analysis of standard vocabulary use of the open government data: the case of the public data portal of Korea," Quality and Quantity, Vol.53, pp.1611-1622, 2019. 

  9. 한국정보화진흥원,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매뉴얼 v.2.0," 2018. 

  10.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수준평가 가이드," 2017. 

  11.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 "2017년도 품질관리 수준평가 결과," 2019. 

  12. S. W. Sadiq and M. Indulska, "Open data: Quality over quantity," Int J. Information Management, Vol.37, No.3, pp.150-154, 2017. 

  13. D. Corsar and P. Edwards, "Challenges of Open Data Quality: More Than Just License, Format, and Customer Support," Journal of Data and Information Quality, Vol.9, No.1, pp.1-3, 2017. 

  14. C. Batini, C. Cappiello, C. Francalanci, and A. Maurino, "Methodologies for data quality assessment and improvement," ACM computing surveys (CSUR), Vol.41, No.3, p.16, 2009. 

  15. A. Vetro, L. Canova, M. Torchiano, C. O. Minotas, R. Iemma, and F. Morando, "Open data quality measurement framework: Definition and application to Open Government Data,"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Vol.33, No.2, pp.325-337, 2016. 

  16. Open Knowledge Foundation, "The Open Dat a Handbook," https://opendatahandbook.org/ 

  17. Machova, Renata and Ln?ni?ka, Martin, "Evaluating the Quality of Open Data Portals on the National Level," Journal of theoretical and applied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Vol.12, pp.21-41, 2017. 

  18. Viscusi Gianluigi, Spahiu Blerina, Maurino Andrea, and Batini Carlo, "Compliance with open government data policies: An empirical assessment of Italian local public administrations," Information Polity, Vol.19, 2014. 

  19. Joshua Tauberer, "Open Government Data," 2012. https://opengovdata.io 

  20.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 개방 표준: 행정안전부고시 제 2019-1호," 201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