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와송추출물의 비만유발 ICR 마우스에서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the Water Extract from Orostachys japonicus in High-fat Diet-Fed Mice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5 no.4, 2017년, pp.284 - 290  

이경선 (고려대학교일반대학원의생명융합과학과) ,  이형선 (중원대학교의료보건대학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와송로부터 추출한 열수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4주령의 수컷 쥐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8주간 정상식이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 고지방식이를 제공하여 비만을 유도하였다. 그 후 정상식이군, 고지방식이군, 2.5% 와송추출물 식이군, 5% 와송추출물 식이군으로 나누어 6주간 식이 투여를 실시하였다. 체중증가량은 고지방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와송추출물 첨가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식이섭취량에서 군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체중증가량과 식이효율비가 와송추출물 첨가 식이군에서 탁월한 감소 효과를 보였다. 고지방 식이에 의한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콜레스테롤의 증가는 와송추출물의 섭취로 인해 낮아졌으며, HDL-콜레스테롤의 현저한 증가를 가져왔다. 부고환 지방조직에서 관찰한 지방세포의 크기 또한 와송추출물 섭취군에서 정상군과 매우 유사한 형태를 보여준다. 위의 실험 결과를 종합할 때, 고지방 식이와 함께 공급한 와송추출물은 체중감소 및 체지방 축척의 억제와 더불어 혈중 지방 수준의 개선으로 다양한 비만 유래 질병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anti-obesity effects of the water extract from Orostachys japonicus in high-fat-fed mice. For the analysis, 24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N) group, high-fat diet (HFD) group, high-fat diet supplemented with 2.5% O. japonicus (HFD-OJL) group, and high-fat diet su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와송에 대한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와송에 대한 비만관련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ICR 마우스에서 와송의 열수추출물이 전반적인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효능을 평가하고, 항비만 활성의 기능성 식품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와송이란 무엇인가? 와송(Orostachys japonicus)은 암속, 옥송, 작엽하초, 바이솔 등으로 불리는 돌나무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 오래된 기와지붕에서 잘 자란다[6]. 과거 전통 의약품으로 이용되었으며 fatty acid ester류, flavonoid류, triterpenoid류 sterol류 및 aromatic acid류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7, 8].
식생활은 어떻게 변화하여 비만 인구의 증가를 초래하였는가? 최근 우리나라에 있어서 중요한 건강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비만은 동물성 식품과 가공식품의 섭취량의 증가와 육체적인 활동 저하 등에 의해 발생되고 있다[1].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국민 1인당 하루 평균 영양소 지방 섭취량이 47.9 g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처음 시작한 1969년에 조사된 16.9 g에 비하여 약 2.8배 이상 증가하였다[2]. 이러한 식생활의 변화는 비만 인구의 증가를 초래하여 그와 관련된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 심근경색 등과 같은 순환기계 질환의 발생이 증가되었다.
비만인구의 증가는 어떤 질병의 발생을 증가시키는가? 8배 이상 증가하였다[2]. 이러한 식생활의 변화는 비만 인구의 증가를 초래하여 그와 관련된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 심근경색 등과 같은 순환기계 질환의 발생이 증가되었다. 이들 중 특히 고지혈증은 심혈관계 질환 중 관상동맥 질환의 가장 중요한 원인인자로 알려져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Lee JJ, Park MR, Kim AR, Lee MY. 2011. Effect of ramie leaves on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and anti-obesity effect in rats fed a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83-90. 

  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eport. 2015. 2014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1-1351159-000027-10: pp. 110-1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Sejong, Korea. 

  3. Krauss RM. 1998. Triglycerides and atherogenic lipoproteins: rationale for lipid management. Am. J. Med. 105: 58S-62S. 

  4. Golan M, Fainaru M, Weizman A. 1998. Role of behavior modification in the treatment of childhood obesity with the parents as the exclusive agent of change.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2: 1217-1224. 

  5. Park JE, Kee H. Cha YS. 2010. Effect of Stevia rebaudiana Bertoni leaf extract on antiobesity in C57BL/6J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86-592. 

  6. Kim JY, Jung EJ, Won YS, Lee JH, Shin DY, Seo KI. 2012. Cultivated Orostachys japonicus induces apoptosis in human colon cancer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17-323. 

  7. Park HJ, Young HS, Kim JO, Rhee SH, Choi JS. 1991. A study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Korean J. Pharmacogn. 22: 78-84. 

  8. Park JG, Park JC, Hur JM, Park SJ, Choi DR, Shin DY, et al. 2000. Phenolic compounds from Orostachys japonicus having anti- HIV-1 protease activity. Nat. Prod. Sci. 6: 117-121. 

  9. Kwon J, Han KS. 2004. Effec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on the immune system.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315-320. 

  10. Lee HS, Lee GS, Kim SH, Kim HK, Suk DH, Lee DS. 2014. Anti-oxidizing effect of the dichloromethane and hexane fractions from Orostachys japonicus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via upregulation of Nrf2 expression and activation of MAPK signaling pathway. BMB Rep. 47: 98-103. 

  11. Yoon SY, Lee SY, Kim KBWR, Song EJ, Kim SJ, Lee SJ, et al.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solvent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Orostachys japonic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4-18. 

  12. Kim SG, Choi JW, Park HJ, Lee SM, Jung HJ. 2009.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the flavonoid-rich fraction from the methanol extrect of Orostachy japonicus in rats. Korean J. Pharmacogn. 40: 51-58. 

  13. Zhang GF. 2008. Anti-diabetic potential of Orostachys japonicu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es mellitus rats. M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14. Ryu DS, Lee HS, Lee GS, Lee DS. 2012. Effects of the Ethylacetate Extract of Orostachys japonicus on Induction of Apoptosis through the p53-Mediated Signaling Pathway in Human Gastric Cancer Cells. Biol. Pharm. Bull. 35: 660-665. 

  15. Lee HS, Ryu DS, Lee GS, Lee DS. 2012. Anti-inflammatory effects of dichloromethane fraction from Orostachys japonicus in RAW 264.7 cells: suppression of NF- ${\kappa}B$ activation and MAPK signaling. J. Ethnopharmacol. 140: 271-276. 

  16. Kim SG, Choi J, Park HJ, Lee SM, Jung HJ. 2009. Anti-hyperlipidermic Effects of the Flavonoid-rich Fraction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Orostachy japonicus in Rats. Korean J. Pharmacogn. 40: 51-58. 

  17. Haglund O, Luostarinen R, Wallin R, Wibell L, Saldeen T. 1991. The effects of fish oil on triglyceride, cholesterol, fibrinogen and malondialdehyde in humans supplemented with vitamin E. J. Nutr. 121: 165-169. 

  18. Rosenfeld L. 1989. Lipoprotein analysis. Arch. Pathol. Lab. Med. 113: 1101-1110. 

  19. Ryu DS, Lee MY, Lee HY, Kim SH, Lee GS, Kwon JH, et al. 2012. A Repeated-dose oral toxicity study of Orostachys japonicus extract in Sprague-Dawley rats. J. Exp. Biomed. Sci. 18: 10-15. 

  20. Kim HK. 2000. Obesity and fat metabolism. J. Korean Soc. Stu. Obes. 9: 63-65. 

  21. Park SH, Jang MJ, Hong JH, Rhee SJ, Choi KH, Park MR. 2007. Effects of mulberry leaf extract feeding on lipid status of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43-5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