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매립지 메탄 저감을 위한 바이오커버의 현장 적용 평가
Field Application of Biocovers in Landfills for Methane Mitigation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5 no.4, 2017년, pp.322 - 329  

정혜경 (이화여자대학교환경공학과) ,  윤정희 (이화여자대학교환경공학과) ,  오경철 (그린환경종합센터) ,  전준민 (그린환경종합센터) ,  류희욱 (숭실대학교화학공학과) ,  조경숙 (이화여자대학교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생활 폐기물 매립지 현장에 파일럿 규모의 바이오커버(pilot-scale biocover, PBC) 2기를 설치하고, 240일 동안 메탄 제거 효율을 모니터링하였다. 또한, 바이오커버 충전 소재를 채취하여 혈청병에서 잠재 메탄 산화능을 평가하였다. 바이오커버로 유입되는 메탄 농도는 23.7-47.9%(평균 값 = 41.3%, 중간값 = 42.6%) 수준이었다. 토양, 지렁이 분변토 및 퇴비 혼합물(7:2:1, v/v)을 충전 소재로 구축한 PBC1의 메탄 제거 효율은 60.7-85.5%이었다. 토양, 지렁이 분변토, perlite 및 퇴비 혼합물(4:2:3:1, v/v)을 충전 소재로 구축한 PBC2의 표메탄 제거 효율은 29.2-78.5%이었다. 그러나, 바이오커버의 충전 소재 자체의 메탄 잠재 산화 능력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평균메탄산화속도 = $180-199{\mu}g\;CH_4{\cdot}g\;packing\;material^{-1}{\cdot}h^{-1}$), 충전 소재의 다짐현상과 채널링이 발생하면 PBC1과 PBC2의 메탄 제거 효율은 0-30%로 저하되었다. 한편, 바이오커버의 메탄 제거 효율은 계절(외부 기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과는 향후 매립지 현장에 실규모의 메탄 저감용 바이오커버를 설계하고 운전 조건을 구축하는데 유용하게 활용 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pilot-scale biocovers (PBCs) were installed in a landfill, and the methane ($CH_4$) concentrations at their inlets and outlets were monitored for 240 days to evaluate the methane removability. Consequently, the packing materials were sampled from the PBCs, and their potential $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진은 메탄 제거용 바이오커버의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오고 있다. 토양, 지렁이 분변토, 입상활성탄(granular activated carbon, GAC) 및 마사토 등 다양한 충전 소재를 이용하여 실험실 규모 바이오커버를 개발하여, benzene, toluene, dimethyl sulfide 등의 악취물질이 공존하는 조건에서 메탄 제거 성능을 평가한 결과, 메탄제거효율은 47.
  • 또한, 바이오커버 충전 소재를 채취하여 혈청병에서 잠재 메탄 산화능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바이오커버에 의한 매립가스 중 메탄의 제거 특성과 이에 미치는 환경인자의 영향을 파악하고, 현장에 적용된 바이오커버의 메탄산화세균 활성에 대한 정보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탄가스를 자원화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가?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메탄을 처리하기 위해 이를 포집하여 소각처리를 하거나, 에너지원으로 자원화시키는 방법이 있다. 메탄가스를 자원화하기 위해서는 매립가스 자원화 시설이 필요하며 메탄 농도가 30% 이상 고농도인 경우에만 가능하다[3, 4]. 또한 매립지의 크랙에서 매립지 가스가 누출되는 문제점도 나타나고 있다[5].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메탄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은? 메탄은 이후 100년을 고려했을 때 주요한 온실기체인 이산화탄소보다 단위 질량 당 온실효과(global warming potential, GWP)는 25배 이상의 강력한 온실가스로, 매립지는 인위적으로 발생하는 메탄의 가장 큰 오염원이다[2].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메탄을 처리하기 위해 이를 포집하여 소각처리를 하거나, 에너지원으로 자원화시키는 방법이 있다. 메탄가스를 자원화하기 위해서는 매립가스 자원화 시설이 필요하며 메탄 농도가 30% 이상 고농도인 경우에만 가능하다[3, 4].
바이오커버를 이용하여 메탄 배출량을 저감시키는 방법은 어떤 장점이 있는가? 이에 최근들어서는 기능성 복토인 바이오커버를 이용하여 메탄 배출량을 저감시키기 위해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바이오커버는 매립시 사용되는 복토에 메탄 및 오염 가스를 분해할 수 있는 혼합 미생물 군집(퇴비, 지렁이 분변토 등)을 접종하여 사용함으로써 메탄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환경 친화적이고 경제적이며 매립지와 같은 면 오염원에 적용이 쉽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에는 연구실 규모에서 주로 회분식 실험이나 연속식 반응조 실험으로 바이오커버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 등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으나, 최근 들어 미국, 덴마크 등을 중심으로 해외에서 현장 적용 연구가 일부 진행되고 있다[6−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irschke S, Bousquet P, Ciais P, Saunois M, Canadell JG, Dlugokencky EJ, et al. 2013. Three decades of global methane sources and sinks. Nat. Geosci. 6: 813-823. 

  2. Stolaroff JK, Bhattacharyya S, Smith CA, Bourcier WL, Cameron- Smith PJ, Aines RD. 2012. Review of methane mitigation technologies with application to rapid release of methane from the arctic. Environ. Sci. Technol. 46: 6455-6469. 

  3. Cho KS, Ryu HW. 2009. Biotechnology for the mitigation of methane emission from landfills. Microbiol. Biotechnol. Lett. 37: 293-305. 

  4. Ryu H, Cho K. 2012. Characterization of the bacterial community in a biocover for the removal of methane, benzene and toluene. Microbiol. Biotechnol. Lett. 40: 76-81. 

  5. Lewis AW, Yuen ST, Smith AJ. 2003. Detection of gas leakage from landfills using infrared thermography - applicability and limitations. Waste Manag. Res. 21: 436-447. 

  6. Scheutz C, Fredenslund AM, Chanton J, Pedersen GB, Kjeldsen P. 2011. Mitigation of methane emission from fakse landfill using a biowindow system. Waste Manag. 31: 1018-1028. 

  7. Scheutz C, Pedersen RB, Petersen PH, Jorgensen JHB, Ucendo IMB, Monster JG, et al. 2014. Mitigation of methane emission from an old unlined landfill in klintholm, denmark using a pas-sive biocover system. Waste Manag. 34: 1179-1190. 

  8. Scheutz C, Cassini F, De Schoenmaeker J, Kjeldsen P. 2017. Mitigation of methane emissions in a pilot-scale biocover system at the AV miljo landfill, denmark: 2. methane oxidation. Waste Manag. 63: 203-212. 

  9. Bogner JE, Chanton JP, Blake D, Abichou T, Powelson D. 2010. Effectiveness of a Florida landfill biocover for reduction of CH4 and NMHC emissions. Environ. Sci. Technol. 44: 1197-1203. 

  10. Sadasivam BY, Reddy KR. 2014. Landfill methane oxidation in soil and bio-based cover systems: A review. Rev. Environ. Sci. Bio-Technol 13: 79-107. 

  11. Abushammala MF, Basri NEA, Irwan D, Younes MK. 2014. Methane oxidation in landfill cover soils: A review. Asian. J. Atmos. Environ. 8: 1-14. 

  12. Scheutz C, Kjeldsen P, Bogner JE, De Visscher A, Gebert J, Hilger HA, et al. 2009. Microbial methane oxidation processes and technologies for mitigation of landfill gas emissions. Waste Manag. Res. 27: 409-455. 

  13. Hanson RS, Hanson TE. 1996. Methanotrophic bacteria. Microbiol. Rev. 60: 439-471. 

  14. Kim TG, Moon K, Yun J, Cho K. 2013. Comparison of RNA-and DNA-based bacterial communities in a lab-scale methanedegrading biocover. Appl. Microbiol. Biotechnol. 97: 3171-3181. 

  15. Moon KE, Lee EH, Kim TG, Cho KS. 2014. Tobermolite effects on methane removal activity and microbial community of a labscale soil biocover. J. Ind. Microbiol. Biotechnol. 41: 1119-1129. 

  16. Lee E, Moon K, Cho K. 2017. Long-term performance and bacterial community dynamics in biocovers for mitigating methane and malodorous gases. J. Biotechnol. 242: 1-10. 

  17. Kim TG, Lee EH, Cho KS. 2012.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of a methane-oxidizing biofilm using ribosomal tag pyrosequencing. J. Microbiol. Biotechnol. 22: 360-370. 

  18. Schloss PD, Westcott SL, Ryabin T, Hall JR, Hartmann M, Hollister EB, et al. 2009. Introducing mothur: Open-source, platformindependent, community-supported software for describing and comparing microbial communities. Appl. Environ. Microbiol. 75: 7537-7541. 

  19. Edgar RC, Haas BJ, Clemente JC, Quince C, Knight R. 2011. UCHIME improves sensitivity and speed of chimera detection. Bioinformatics 27: 2194-2200. 

  20. Geck C, Scharff H, Pfeiffer E, Gebert J. 2016. Validation of a simple model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methane oxidation systems, using field data from a large scale biocover test field. Waste Manag. 56: 280-289. 

  21. Kwon HM, Yeom SH. 2009. Design of a biofilter packed with crab shell and operation of the biofilter fed with leaf mold solution as a nutrient. Biotechnol. Bioprocess Eng. 14: 248-255. 

  22. Arthur E, Cornelis WM, Vermang J, De Rocker E. 2011. Amending a loamy sand with three compost types: Impact on soil quality. Soil Use Manag. 27: 116-123. 

  23. Moon K, Lee S, Lee SH, Ryu HW, Cho K. 2010. Earthworm cast as a promising filter bed material and its methanotrophic contribution to methane removal. J. Hazard. Mater 176: 131-138. 

  24. Flegel M, Schrader S. 2000. Importance of food quality on selected enzyme activities in earthworm casts (dendrobaena octaedra, lumbricidae). Soil Biol. Biochem. 32: 1191-1196. 

  25. Chaoui HI, Zibilske LM, Ohno T. 2003. Effects of earthworm casts and compost on soil microbial activity and plant nutrient availability. Soil Biol. Biochem. 35: 295-302. 

  26. Kim TG, Moon K, Lee E, Choi S, Cho K. 2011. Assessing effects of earthworm cast on methanotrophic community in a soil biocover by concurrent use of microarray and quantitative realtime PCR. Appl. Soil Ecol. 50: 52-55. 

  27. Lee J, Park R, Kim Y, Shim J, Chae D, Rim Y, et al. 2004. Effect of food waste compost on microbial population, soil enzyme activity and lettuce growth. Bioresour. Technol. 93: 21-28. 

  28. Reynolds WD, Drury CF, Tan CS, Yang XM. 2015. Temporal effects of food waste compost on soil physical quality and productivity. Can. J. Soil Sci. 95: 251-268. 

  29. Zebarth BJ, Neilsen GH, Hogue E, Neilsen D. 1999. Influence of organic waste amendments on selected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Can. J. Soil Sci. 79: 501-504. 

  30. Kibazohi O, Yun S, Anderson WA. 2004. Removal of hexane in biofilters packed with perlite and a Peat-Perlite mixture.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0: 337-343. 

  31. Jeong S, Yoon H, Kim TG, Cho K. 2013. Effect of tobermolite, perlite and polyurethane packing materials on methanotrophic activity.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1: 215-220. 

  32. Spokas KA, Bogner JE. 2011. Limits and dynamics of methane oxidation in landfill cover soils. Waste Manag. 31: 823-832. 

  33. Xie S, O'Dwyer T, Freguia S, Pikaar I, Clarke WP. 2016. Effect of biomass concentration on methane oxidation activity using mature compost and graphite granules as substrata. Waste Manag. 56: 290-297. 

  34. Philopoulos A, Ruck J, McCartney D, Felske C. 2009. A laboratory- scale comparison of compost and sand-compost-perlite as methane-oxidizing biofilter media. Waste Manag. Res. 27: 138-146. 

  35. Streese J, Stegmann R. 2003. Microbial oxidation of methane from old landfills in biofilters. Waste Manag. 23: 573-5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