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쓴메밀 및 단메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Ethanolic Extracts from Tartary and Common Buckwhe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1, 2012년, pp.123 - 130  

윤보라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조봉제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효구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대중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성갑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홍희도 (한국식품연구원) ,  김경탁 (한국식품연구원) ,  조장원 (한국식품연구원) ,  최현선 (차의과학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부용 (차의과학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옥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쓴메밀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으며 곡식용, 새싹채소, 엽채 등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는 작물로서 단메밀보다 루틴함량이 높다. 본 연구는 쓴메밀과 단메밀 80%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및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총 페놀함량과 폴리페놀 함량 모두 쓴메밀 에탄올 추출물에서 단메밀 에탄올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환원력과 같은 항산화 활성은 쓴메밀 에탄올 추출물이 단메밀 에탄올 추출물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3T3-L1의 분화과정 중의 쓴메밀 추출물들은 50, 100, 200 및 400 ${\mu}g$/mL에서 세포에 독성 보이지 않았으며, 세포 내 지방의 축적량을 유의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 세포 분화에 관련된 유전자인 $PPAR{\gamma}$와 aP2의 mRNA 발현율도 쓴메밀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ROS 생성과 관련된 유전자인 G6PDH 및 NOX4 mRNA 발현도 쓴메밀 에탄올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볼 때, 쓴메밀은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갖으며, 이들 항산화 활성은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80% ethanolic extracts of tartary and common buckwheats were assessed for their total 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s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and anti-adipogenic effects. Our results show that total phenol content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쓴메밀의 건강기능식품 소재화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쓴메밀과 단메밀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쓴메밀과 단메밀에 대한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한 후, 항산화 활성을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소거능 및 환원력으로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밀에 풍부하게 함유된 성분은? 메밀은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작물로서, 미네랄, 비타민, 폴리페놀(루틴 등) 등이 풍부하여 많은 효능들이 보고 되고 있다(8). 특히 메밀의 폴리페놀 성분인 루틴은 강력한 항산화력과 삼투압 조절능력을 통해 항염, 항암, 항혈전 효과 외에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 혈관손상 예방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다(9).
루틴의 효능은? 메밀은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작물로서, 미네랄, 비타민, 폴리페놀(루틴 등) 등이 풍부하여 많은 효능들이 보고 되고 있다(8). 특히 메밀의 폴리페놀 성분인 루틴은 강력한 항산화력과 삼투압 조절능력을 통해 항염, 항암, 항혈전 효과 외에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 혈관손상 예방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다(9). 메밀은 단메밀(common buckwheat)과 쓴메밀(tartary buckwheat)로 나뉘며 두 종류 모두 전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고 곡실용, 건초, 의약용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는 작물로서, 단메밀은 아시아의 전 지역을 포함해 유럽지역, 미국, 캐나다, 브라질, 남아프리카와 오스트리아 등지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10).
타타리 메밀은 중국, 인도 등지에서 무엇으로 이용되어 왔는가? 타타리 메밀이라 불리는 쓴메밀은 티벳이나 중국의 산악지대, 인도, 부탄과 네팔 등지의 척박한 토양 및 냉량한 기후조건의 산간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10). 현재 국내에서 쓴메밀의 재배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지만 쓴메밀은 중국, 인도 등지에서 한방 및 건강식으로 이용되어 왔고 루틴함량이 단메밀(27 mg%)에 비해 높기(1,600 mg%) 때문에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체계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Timar O, Sestier F, Levy E (2000) Metabolic syndrome X: a review. Can J Cardiol, 16, 779-789 

  2. Park HS, Shin HC, Kim BS, Lee KY, Choi WS, Shin JA, Nam YD, Bae SP, Chun KS (2003)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among adults primary care. J Korean Obes, 12, 108-123 

  3. Lim S, Lee, Koo BK, Cho SI, Park KS, Jang HC, Kim SY, Lee HK (2005) Increasing trends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Diabetes, 29, 432-439 

  4. Oh SJ (2005) Aging of Human Body. Tamkudang, Seoul, Korea, 204-205 

  5. Halliwill B (1996) Antioxidant in human health and disease. Anmu Rev Nutr, 16, 33-49 

  6. Spiegelman BM, Filer S (1996) Adipogenesis and obesity; rounding out the big picture. Cell, 87, 377-389 

  7. Raylama S, Della-Fera MA, Baile CA (2008) Phytochemicals and regulation of the adipocyte life cycle. J Nutr Biochem, 19, 717-726 

  8. Park BJ, Kwon SM, Park JI, Chang KJ, Park CH (2005) Phenolic compounds in common and tartary buckwheat. J Crop Sci, 50, 175-180 

  9. Jeong CH, Jeong HR, Choi SG, Shim KH, Heo HJ (2011) Neuronal Cell Protec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Commercial Buckwheat Tea. Korean J Food Preserv, 18, 358-365 

  10. Park BJ, Kwon SM, Park JI, Chang KJ, Park CH (2005) Phenolic compounds in common and tartary buckwheat. Korean J Crop Sci, 50, 175-180 

  11. Velioglu YS, Mazza G, Cao L, Ooma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12.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3. Kim DO, Lee KW, Lee HJ, Lee CY (2002)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phenolic phytochemicals. J Agric Food Chem, 50, 3713-3717 

  14. Dewanto V, Xianzhong W,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15. Mau JL, Lin IIC, Song SF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Food Res Int, 35, 519-526 

  16. Kim DJ, Jung JH, Kim SG, Lee HK, Lee SK, Hong HD, Lee BY, Lee OH (2011) Antioxidants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hot water and ethanolic extracts from Cheonnyuncho (Opuntia humifiusa). Korean J Food Preserv, 18, 366-373 

  17. Blumberg JM, Tzameli I, Astapova I, Lam FS, Flier JS, Hollenberg A (2006) Complex role of the vitamin D receptor and its ligand in adipogenesis in 3T3-L1 cells. J Biol Chem, 28, 11205-11213 

  18. Scalbert A, Johnson IT, Saltmarsh M (2005) Polyphenols : antioxidants and beyond. Am J Clin Nutr, 81, 215S-217S 

  19. Sakihama Y, Cohen MF, Grace SC, Yamasaki H (2002) Plant phenolic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phenolics-induced oxidative damage mediated by metals in plants. Toxicology, 177, 67-80 

  20. Kwon GH, Choi DS, Wang MH (2007) B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Enoymus alatus leaf.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69-574 

  21.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2. Hotamisligil GS, Peraldi P, Budavari A, Ellis R, White MF, Spiegelman BM. (1996) IRS-1-mediated inhibition of insulin receptor tyrosine kinase activity in TNF-alpha and obesity-induced insulin resistance. Science, 271, 665-668 

  23. Kim KH (2010) Perspective in regulation of adipogenesis by bioactive food components, Food Sci Ind, 42, 51-57 

  24. Rosen ED (2005) The transcriptional basis of adipocyte development. Prostaglandins Leukot Essent Fatty Acid, 73, 31-34 

  25. Evans RM, Barish GD, Wang YX (2004) PPARs and the complex journey to obesity. Nat Med, 10, 355-361 

  26. Furukawa S, Fujita T, Shimabukuro M, Iwaki M, Yamada Y, Nakajima Y, Nakayama O, Makishima M, Matsuda M, Shimomura I (2004) Increased oxidative stress in obesity and its impact on metabolic syndrome. J Clin Invest, 114, 1752-1761 

  27. Park J, Rho HK, Kim KH, Choe SS, Lee YS, Kim JB (2005) Overexpression of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is associated with lipid dysregula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obesity. Mol Cell Biol, 25, 5146-5157 

  28. Salati M. L, Amir-Ahmady B (2001) Dietary regulation of expression of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Annu Rev Nutr, 21, 121-1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