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촌 리노베이션 한옥 창호의 유형과 변이에 관한 연구 - 2001년 한옥등록제 대상 비주거용 한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ypological Changes of Renovated Bukchon Hanok Windows - Focused on Non-Dwelling Hanok Registered Hanok-Registration System in 2001 -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6 no.6 = no.125, 2017년, pp.33 - 41  

양해수 (인하대학교 건축학과) ,  박진호 (인하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nok in Bukchon was originally planned for residential buildings, but recently, there have been needs and wants to renovate and modernize the houses into some other purposes. Many researches exist with regard to hanok in Bukchon; yet, most previous studies focus on the spatial changes caused by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본 연구는 북촌 도시한옥의 수선 과정에서 창호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도시한옥의 용도 변경에 따라 창호 형식적 유형변화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북촌의 환경변화에 따른 현대 한옥의 용도변경에 대응하여 효과적으로 창호를 계획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 이에 서울시는 북촌의 전통성을 보전하기 위한 방안으로 몇 가지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고, 북촌은 보전과 현대화 사이에서 적절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 상황에서 한옥의 중요 의장 요소인 창호가 한옥의 수선 전후로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확인하였다. 기존의 자료를 통해 과거 창호의 일반적 특징을 파악 한 후, 현재의 창호를 비교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옥의 공간 및 의장 구성요소 중 핵심요소인 창호에 집중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북촌 도시한옥의 수선 과정에서 창호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사전 조사를 통하여 한옥등록제에 등록된 북촌 내 리노베이션 된 비주거용 한옥 68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한 후, 현장 자료 수집을 통하여 조사대상에 수선 전후로 나타나는 유형을 분석하고 그 변화 요인을 조사하고자 한다.
  • 용도는 숙박시설과 문화시설3) 그리고 그 밖의 시설로 나눈다. 숙박시설의 경우 주거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그 성질이 주거용 한옥과 비슷하여 분리하며, 문화시설의 경우 체험공간으로서 방문자에게 한국의 전통 문화 체험과 함께 한옥의 전통성을 체험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하는 시설이므로 분리하여 확인하고자 한다. 숙박·문화시설 제외 비주거용 한옥에는 대부분이 상업시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부 사무시설이 포함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옥의 공간 및 의장 구성요소 중 핵심요소인 창호에 집중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북촌 도시한옥의 수선 과정에서 창호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도시한옥의 용도 변경에 따라 창호 형식적 유형변화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북촌의 환경변화에 따른 현대 한옥의 용도변경에 대응하여 효과적으로 창호를 계획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창호의 단점은? 시스템 창호의 가장 큰 장점은 단열성능의 향상이다. 전통창호의 경우 단열성능이 매우 떨어지며, 단열성능이 떨어질 경우 에너지 손실과 연관되어 경제적으로도 불리하기 때문에 대상지 내 한옥에서 방문자들이 일시적으로 방문하는 일부 문화시설을 제외하고는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는 전통창호를 찾아보기 힘들다. 시스템창호의 또 다른 장점은 창호지 대신 유리를 사용하여 내구성이 증가하며 투사율을 높일 수 있다.
북촌의 창호는 어떻게 나뉘는가? 틀의 세 변수로 분류하여 유형화하였다. 북촌의 창호는 크게 전통적 요소를 포함하는 것과 완전히 현대화 된 창호로 나누어지는데, 전통적 요소를 포함한 창호는 성능이 보완된 유형과 성능이나 디자인을 주된 요소로 하면서 전통성을 가미한 하이브리드 유형으로 나뉜다. 전자는 전통창호 원형의 모습을 유지하는 유형(유형1: ③맥락)과 전통창호 내외부로 현대적 창호를 덧대어 성능을 보완한 유형(유형2: ③맥락+①성능)으로 나뉘며 후자는 창이 목재가 아닌 다른 재료로 대체되어 성능의 개선이 이루어졌으나 전통적 살의 형태를 띄는 유형(유형3: ①성능+③맥락)과 살의 형태가 조망이나 채광, 유지관리 등 디자인 변수의 이유로 전통 문양에서간소화 되거나 전통문양과 다른 형태를 드러낸 유형(유형4: ②디자인+③맥락)으로 나뉜다.
숙박시설과 문화시설을 제외한 비주거용 한옥에서 창호의 크기가 확장된 이유는 무엇인가? 그 이유는 시행지침 제 28 조 ⑨항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 진다. 제 28 조 ⑨항에는 “가로에 면한 비주거 입면에 쇼윈도, 출입문 등을 설치하는 경우 그 면적은 해당 입면 면적의 4/5이하로 하며, 한식외벽 및 담장과 조화롭게 설치한다”고 쓰여 있다. 이에 근거하여 비주거 용도의 한옥 입면에는 해당 입면 면적의 4/5까지 확장이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창이 확장되었으며 쇼윈도, 출입문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5와 6 유형으로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통성이 드러나는 유형은 살의 짜임이 쇼윈도의 목적에 맞지 않기 때문에 홍보기능이 중요한 시설의 창호에는 살이 생략된 현대적창호인 유형5와 6이 나타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북촌가꾸기 기본계획, 서울특별시, 2001 

  2. 김왕직, 알기 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도서출판 동녘, 서울, 2007 

  3. 이에나가 유코, 북촌 한옥마을의 서울학적 연구, 민속원, 서울, 2013 

  4. 주남철, 이경재, 한국의 문과 창호, 대원사, 서울, 2001 

  5. 정석, 마을단위 도시계획 실현 기본방향(II) 북촌가꾸기 사례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0 

  6. 정석, 북촌가꾸기 중간평가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5 

  7. 서울 계동 근대한옥 기록화 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14 

  8. 북촌 제 1종 지구단위계획 도집, 서울특별시, 2010 

  9. 북촌 제1종 지구단위계획 보고서, 서울특별시, 2010 

  10. 북촌문화학교, 걷고 싶은 도시만들기 시민연대, 서울특별시, 2002 

  11. 김도연, 북촌 비주거용 한옥의 역사적 장소성을 위한 보전 및 활용방향, 경희대 박사논문, 2008 

  12. 김해길, 서울시 한옥지구의 의장적 특성 및 전이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2002 

  13. 조연준, 개량한옥의 특성분석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전남대 박사논문, 2012 

  14. 임은진, 한국 전통창호의 창살문양 표준화 연구, 대구 카톨릭대 박사논문, 2014 

  15. 장영창, 현대 개량한옥에 사용된 전통 문양의 특성에 관한 연구, 목원대 석사논문, 2008 

  16. 고아라, 회동 31번지 '앙상블 보전'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논문, 2008 

  17. 송인호, 김영수, 조은주, 서울 북촌한옥의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학회, 건축역사연구, 제18권, 제2호, 2009 

  18. 송인호, 김영수, 서울 북촌의 역사경관보전정책 변천에 따른 건축물 변화, 건축역사연구, 제15권, 3호, 통권47호, 2006 

  19. 송인호, 김영수, 북촌도시한옥의 지붕가구(架構) 특징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제14권, 4호, 통권44호, 2005 

  20. 이성호, 오인욱, 근대건축물 리노베이션에 의한 디자인 변형에 관한 연구, 실내디자인학회, 제20권, 1호, 통권84호, 2011 

  21. 윤재신, 한옥의 진화, auri 건축 도시 공간 연구소, 2011 

  22. Horst Rittel, Some Principles for the Design of an Educational System for Design, Journal of Architectural Education, Vol.25, No.1/2, 1971 

  23. 문정희, 한옥지구 발전방향에 관한연구, 대한 국토 계획 학회지 국토계획, 제21권, 제2호, 통권 45호, 1986 

  24. 김석우, 증.개축에 의한 개량한옥 주거 공간구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 마당의 내실화를 중심으로, 한양대 석사논문, 2010 

  25. 김윤성, 도시한옥의 리모델링 방안에 관한 연구 : 북촌 도시한옥의 원형 분석을 통하여, 이화여대 석사논문, 20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