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옥 설계의 최근 경향 연구 - 최근 10년간 건축전문 잡지에 게재된 신축 한옥을 대상으로 -
The Recent Trends of Hanok Design -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Hanoks Appeared in Architecture Magazines in the Last 10 Years -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1 no.1, 2012년, pp.171 - 186  

이주옥 (한남대학교 아시아건축연구실) ,  한필원 (한남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cent trends of hanok design based on 58 hanoks appeared in architecture magazines in the last 10 years. The cases are analyzed in terms of location, size, building form, spatial organization, material, roof form, and the ceiling form of living room.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옥 설계의 최근 경향을 구조 · 재료 · 디자인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전통한옥의 일반적 특성들과 비교하여 파악함으로써 한옥 건축의 새로운 개념 및 변화 방향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현대한옥 혹은 신한옥의 개념과 기준이 연구자나 정책입안자의 관점만이 아니라 새로운 한옥건축 시장의 동향을 토대로 모색될 필요가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최근 10년간 건립되어 건축전문 잡지에 소개된 신축 주택들 중에서 목가구조를 주구조방식으로 하고 설계자 혹은 평론가가 ‘한옥’ 이나 ‘전통’의 키워드로 설명한 주택들을 대상으로 한옥 설계의 최근 경향을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를 통해 최근 한옥 설계의 경향과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전통한옥의 특성이 어떻게 지속되고 변화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새로운 시대에 진화된 한옥을 모색하는 데 참조가 되기를 기대한다.
  • 서까래가 그대로 드러나는 전통한옥의 대청이 최근 건립된 한옥의 1층 거실(대청)에서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파악하기 위한 항목이다.
  • 이에 최근 10년간 건립되어 건축전문 잡지에 소개된 신축 주택들 중에서 목가구조를 주구조방식으로 하고 설계자 혹은 평론가가 ‘한옥’ 이나 ‘전통’의 키워드로 설명한 주택들을 대상으로 한옥 설계의 최근 경향을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가설 설정

  • 현재 건축법상에 명시된 한옥의 정의는 기둥 및 보가 목구조방식이고 한식지붕틀로 된 구조로서 한식기와, 볏짚, 목재, 흙 등 자연재료로 마감된 우리나라 전통양식이 반영된 건축물 및 그 부속건축물’이다.2) 여기에서 제시된 한옥의 정의는 전통한옥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달리 현대 주생활에 적합한 한옥, 곧 ‘현대 한옥’ 또는 새로운 개념의 한옥 곧 ‘신한옥’에 대한 개념 및 방향은 아직 정립되어 있지 못 하다.
  • 건축면적의 일부를 2층으로 구성한 2층 한옥이 지어지는 경향이 있다.(34.
  • 공간구성의 측면에서는 겹집형이 대부분을 차지하고(74.2%), 공용실 중에서 거실을 독립적으로 구성하는 경향이 강하다(82.8%). 또 한 마루를 설치하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48.
  • 최근에 한옥은 주로 농촌지역에 지어지고 있으며(91.4%) 도시주택으로 선택되고 있지 않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옥이란? 이처럼 사회적으로 한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나 현대의 주생활을 수용하기에 적 합한 한옥의 개념, 그리고 설계 및 성능의 기준은 아직 정립되지 못한 상황이다. 현재 건축 법상에 명시된 한옥의 정의는 기둥 및 보가 목구조방식이고 한식지붕틀로 된 구조로서 한식기와, 볏짚, 목재, 흙 등 자연재료로 마감된 우리나라 전통양식이 반영된 건축물 및 그 부 속건축물’이다.2) 여기에서 제시된 한옥의 정의는 전통한옥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
주거용 신축 한옥이 소개된 잡지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조사한 건축전문 잡지는『건축과 환경 C3』,『건축문화』,『공간』,『전원주택 라이 프』,『전원속의 내집』,『주택저널』,『플러스』 등 7종이다. 이 중『공간』,『전원주택 라이프』,『전원속의 내집』,『주택저널』에만 주거용 신축 한옥이 소개되었고 그 밖의 잡지 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주거용 신축 한옥이 한 건도 소개되지 않았다. 잡지에 수록된 최근 신축 한옥들 중에서 도면이 없거나 정보가 부 족한 경우는 불가피하게 연구대상에서 제외하 였다.
정부 및 지자체가 한옥관련 정책 및 사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는 이유는? 최근 정부의 녹색성장 정책과 건강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사회적으로 한 옥에 대한 선호 및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 및 지자체에서 한옥관련 정책 및 사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김경우, 사회복지조사방법론 강의, MJ미디어, 2008 

  2. 김지민, 최근에 지은 전남 농촌 한옥의 평면형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9. 5 

  3. 김태훈 외, 최근에 지은 전남 농촌한옥의 건축적 특성 및 이용현황 분석,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11 n.4, 2009. 12 

  4. 박형진, 1920-1930년대 서울지역 전통주거의 근대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 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3권 6호, 2004, 12 

  5. 이창재 외, 현대 농촌한옥의 평면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0. 4 

  6. 장기인, 건축구조학, 보성각, 2004 

  7. 정재훈, 박물관 관람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 학회논문집 계획계, 20권 6호, 2004. 6 

  8. 주남철, 한국주택건축, 일지사, 1980 

  9. 건축과 환경 C3, C3 KOREA, 2001. 1 -2010. 10 

  10. 건축문화, A&C, 2001. 1-2010. 10 

  11. 공간, 공간, 2001. 1-2010. 10 

  12. 전원속의 내집, 주택문화사, 2001. 1- 2010. 10 

  13. 전원주택라이프, 전우문화사, 2001. 1 -2010. 10 

  14. 주택저널, 대한주택건설협회, 2001. 1 -2010. 10 

  15. 플러스, 플러스문화사, 2001. 1-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