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합상업시설 실내 공간구조와 매장구성 성향간 상관성 분석 - 2000년대 건립사례 저층부의 유형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rrelationship between Spatial Structure and Shop Composition in Mixed-Use Facilities - Focused on the Typological Analysis about Lower Part of the Facilities Built After the Year 2000 -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6 no.6 = no.125, 2017년, pp.62 - 70  

현창용 (중앙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a purpose that definitize correlationship of spatial structure and sales strategies in mixed-use complexes which established in Korea since year 2000.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ries to analysis spatial structure of mixed-use facilities through space syntax theory and makes an ty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소비공간에서 공간구조가 가지는 의미와 분석 도구로서의 공간구문론, 공간구문변수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도모한다. 공간구문론을 통한 분석결과가 소비공간에서 어떠한 해석 가능성을 지니게 되는지, 또한 그 분석 수치가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 이러한 전략들은 궁극적으로 고객의 욕구를 만족시키고자 하는 것이며, 따라서 정체 되지 않고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것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소비라는 문화적, 현상적 차원의 개념을 정량적으로 접근하며 이를 통해 쉽게 인지될 수 없는 공간조직의 위상학적 특성을 계량하여 소비문화의 건축적 반영을 객관적으로 비교분석 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모든 정량평가가 그러하듯 가치중립인 연구이기에 특정 소비공간 분석으로서의 문화적 한계 역시 가지고 있다.
  • 본 연구는 현대 복합상업시설을 공간구성의 특성에 따라 유형화하고 공간구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소비공간의 유형별 판매성향 및 매장구성이 공간구조와 맺는 관계성과 그것이 건축공간의 정량적 평가도구를 통해 어떤 형태로 드러나며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현대 복합상업시설의 계획유형별 공간구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량화된 데이터를 추출하고, 계획방향과 공간구조적 특질 간의 관계성을 해석해 그 사회적 함의를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0년대에 건립된 복합상업시설 6개 사례를 선정하여 공간구문론(Space Syntax Theory)을 바탕으로 한 정량적 공간구조 분석을 시행하였다.
  • 셋째, 각 사례의 정량적 분석결과를 토대로 복합상업 시설 분석대상의 공간구조적 특질과 소비공간 구축의 성향 간 상관성을 해석한다. 이는 공간구조가 미치는 경험적 차이에 따라 상업시설로서의 전략 설정 방향이 달라질 것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하였다. 각 분석 사례의 상업적 구성은 각 시설에서 제공하는 매장 구성자료를 바탕으로 하였다.
  •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대형 상업 시설의 내부공간을 특정한 단위로 세분하고 그 단위공간들 간의 관계성을 다양한 차원의 체험적 특질로 해석할 수 있는 공간구문론을 활용하고자 한다. 체험은 시각자극을 통한 움직임의 발생이 전제되는 것으로 그 체험의 주체, 즉 관찰자의 신체가 단위공간을 연속적으로 움직이며 전개되는 건축체계의 변화를 체험한다는 측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에 건립된 복합상업시설의 계획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 방문객의 체험 양상을 유추할 수 있는 공간구조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가치중립적 판단도구로 활용하기 위해 정량적 분석 방법을 통해 수행하며 그 결과를 유형별 매장구성과 연관시켜 봄으로서 유형의 건축공간과 무형의 상업전략간의 상관성을 평가하는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에 건립된 복합상업시설의 계획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 방문객의 체험 양상을 유추할 수 있는 공간구조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가치중립적 판단도구로 활용하기 위해 정량적 분석 방법을 통해 수행하며 그 결과를 유형별 매장구성과 연관시켜 봄으로서 유형의 건축공간과 무형의 상업전략간의 상관성을 평가하는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비재가 유통되는 상업공간이 효율적인 구매도구이자 마케팅 전략의 일부로 자리잡은 이유는? 이러한 빠른 경제발전과 생활수준 향상은 소비재가 유통되는 상업공간을 공간 그 자체로서의 효율적인 구매도 구이자 마케팅전략의 일부로 자리잡게 하였다.2) 현대의 효율적인 상업공간은 단순히 물건을 사고 파는 거래장소 개념을 넘어 그 자체가 하나의 매체가 되어 상품의 이미지를 전달하고 제품을 전시하며 소비자와 직접 연결하고 소통하는 주된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본문에서 언급된 소비공간의 개념과 역할은?  그 중 필연적으로 포함되는 것은 공간적 차원의 노력들이다. 소비공간은 결국 판매를 위한 전략이 펼쳐지는 장소이며, 그 때 공간은 단순 거래장소 이상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현대 복합상업시설에 이르며 소비자들이 단순 상품구매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게 되면서, 구매 행위 이외의 행위들로 인해 상품과의 접촉이 발생하게 되었다.
20C 후반부터 최근까지의 소비공간 형태는? 19C 중엽에는 상가의 외부가로를 실내로 도입한 백화점이, 그리고 1950년대 후반에는 도시 외곽에 쇼핑몰이라는 유형의 소비공간이 등장한다. 나아가 20C 후반부터 최근까지는 소비공간이 대중교통, 숙박, 컨벤션, 전시, 공연 등 다른 종류의 시설들과 함께 대형화, 복합화되며 ‘복합상업시설’이라는 소비공간의 유형이 등장하였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rnheim, Rudolf, Art and Visual Perception, 미술과 시지각, 김춘일 역, 초판, 홍익사, 1986 

  2. Ching, Francis, Architecture From, Space & Order, 건축의 형태, 공간과 규범, 박경서 역, 초판, 건우사, 1998 

  3. Van de Ven, Space in Architecture, 건축공간론, 정진원, 고성룡 공역, 초판, 기문당, 1996 

  4. 김광현, 건축지각형태의 분석방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권, 5호, 통권 13호, 1987 

  5. 김진균, 시각구조분석에 의한 건축공간의 해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0권, 12호, 통권 74호, 1994 

  6. 문성식 외 2인, 복합상업시설 내 보이드공간의 계획적 특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통권 52호, 2015 

  7. 박무호 외 2인, Convex Space의 구성과 관람행동과의 인과관계에 대한 고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6권, 6호, 2004 

  8. 박현혜, 주택 내부공간의 움직임과 시각구에게 관한 연구, 중앙대 석사논문, 2001 

  9. 이종숙, 임채진, 미술관전시공간의 시각구조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6권, 6호, 통권 65호, 2007 

  10. 정경숙, 김영욱, 상업공간에서의 공간구조와 매출 및 제품성향간 관계성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1권, 9호, 통권 203호, 1997 

  11. 최윤경, 사회와 건축공간, 시공문화사, 200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