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손자녀 양육 여부에 따른 조모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질 및 자녀와의 갈등 비교
Comparison of Grandmothers' Subjective Health Status, Depression, Quality of Life and Conflict with Their Children Depending on Whether Raising Grandchildren or Not 원문보기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v.20 no.2, 2017년, pp.80 - 87  

최혜정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research compared the degrees of grandmothers' subjective health status, depression, quality of life and conflict with their children between the grandmothers who take full charge of raising their grandchildren and the grandmothers who don't and was being conducted to provide the bas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우선적인 대리양육자로서 손자녀를 전적으로 양육하는 조모의 건강증진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저출산 고령 사회 속에서 여성노인들의 삶이 생산적이고 보람된 삶의 과정이 되도록 여성노인과 관련된 정책과 연구뿐 아니라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지원을 위한 서비스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손자녀 양육 여부에 따른 조모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질 및 자녀와의 갈등 정도를 전체적으로 비교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손자녀를 전담하여 양육하는 조모와 손자녀를 양육하지 않는 조모를 대상으로 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질 및 자녀와의 갈등 정도를 파악하고 비교하여 손자녀 양육 조모의 건강증진을 위한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가 손자녀를 양육하지 않는 조모보다 우울이 더 높고 자녀와의 갈등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조모의 손자녀 양육 여부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질 및 자녀와의 갈등 정도를 파악하고 비교하기 위한 비교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손자녀를 전담하여 양육하는 조모와 손자녀를 양육하지 않는 조모를 대상으로 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질 및 자녀와의 갈등 정도를 전체적으로 파악하고 비교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우선적인 대리양육자로서 손자녀를 전적으로 양육하는 조모의 건강증진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저출산 고령 사회 속에서 여성노인들의 삶이 생산적이고 보람된 삶의 과정이 되도록 여성노인과 관련된 정책과 연구뿐 아니라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지원을 위한 서비스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자녀를 전담하여 양육하는 조모와 손자녀를 양육하지 않는 조모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질 및 자녀와의 갈등 정도를 파악하고 두 그룹 간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손자녀를 전담하여 양육하는 조모와 손자녀를 양육하지 않는 조모를 대상으로 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질 및 자녀와의 갈등 정도를 전체적으로 파악하고 비교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우선적인 대리양육자로서 손자녀를 전적으로 양육하는 조모의 건강증진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 문헌들에서 손자녀 양육 여부에 따른 조모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질 및 자녀와의 갈등 정도가 다양한 결과로 나타난 이유는? 반면, 조부모 양육자들은 손자녀를 돌보는 동안 신체 건강상의 변화를 겪었고 손자녀를 키우지 않는 조부모들보다 건강 문제를 더 많이 호소하였으며(Musil & Ahmad, 2002), 손자녀 양육 경험에 대한 조부모 대상 질적 연구에서 손자녀 양육 이후 건강 상태가 나빠졌고 신체적 고통을 겪었다는 결과(Kim, 2006; Kim, 2007)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서 손자녀들이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어 대체적으로 신체적, 시간적 여유가 있는 조모들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영유아 손자들처럼 신체적이 돌봄과 양육이 전적으로 필요한 시기에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들의 경우에 지각되는 신체적 건강상태와는 다를 수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Kwon, 2007). 추후 손자녀의 연령 및 발달 특성에 따른 조모의 양육 부담과 건강상태를 파악해 보거나 기관에 의존하지 않고 전적으로 조모에 의해 개별양육을 하고 있는 조모의 건강상태를 알아볼 필요가 있겠다.
여성노인의 우울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노년기는 노화에 동반되는 신체적 쇠퇴와 만성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는 시기로 중년기 후반이나 노년기에 접어들어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들에게도 예외가 아니어서 관절염과 골다공증, 고혈압과 같은 만성질환 외에 손자녀 양육 이후로 피로, 다리불편, 관절 이상, 어깨통증, 요통 등의 신체적 불편 증상을 경험한다(Nam, 2000). 또한 노년기에는 사회적, 신체적 상실이 커짐에 따라 우울도 증가하는데 특히 여성노인의 우울은 남성에 비해 외로움, 소외감 및 대인관계의 단절이 더 빈번하여심한 경우에 자살까지 초래하는 매우 심각한 사회문제로 여겨지고 있다(Cho, 2000). Jang (2009)의 연구의 경우, 손자녀 양육 조모의 우울감 수준이 임상 기준점보다 높아 이들에 대한 관심이 더 필요하다고 하였다.
2016년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2016년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1.17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국내 저출산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는 가운데 2017년 기혼여성의 취업률은 56%를 기록하며 여성의 경제활동 진출은 증가하였다(Statistics Korea, 2017). 취업한 기혼여성의 7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e, J. H. (2007).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parenting grandparents and co-parenting grandparents: Factor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Korean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Policy, 29, 67-94. 

  2. Bae, J. H., Rho, S. K., & Kweon, K. S. (2008). Current practices of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and their needs for support.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5(1), 379-410. 

  3. Cho, E. H., Jun, J. H., & Lee, S. W. (2000). A model for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4(3), 148-163. 

  4. Choi, J. H. (1993). Comparison of conflicts between aged parents and adult children in urban and rural areas.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2(1), 55-63. 

  5. Chung, C. W., & Kim, M. J. (2010). Grandmother's life satisfaction and influencing factors by grandparent.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6(3), 288-296. 

  6. Fuller-Thomson, E., & Minkler, M. (2000). African america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a national profile of demographic and health characteristics. Health & Social Work, 25(2), 109-118. 

  7. Jang, G. W. (2009). A study on depression of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Focusing on comparing with the elderly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8. Jeon, S. J. (1989). Reminiscence: Content analysis and its nursing impli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9. Jeon, Y. S. (2007). A study on effect of a leisure education program on a leisure awareness an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pers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10. Joung, W. J., & Yi, M. S. (2014). Influence of perceived health, parental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in grandparent caregive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6(3), 310-319. 

  11. Kim, E. J. (2013). A study on the relation patterns and the quality of relationship between grandmothers raising infant grandchildren and employed mothers.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40, 93-123. 

  12. Kim, E. J., & Seo, Y. H. (2007). A qualitative study on child-rearing by grandparents.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28(2), 175-192. 

  13. Kim, M. H. (2005).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f grandmothers who raise their grand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Uiduk University, Gyeongju. 

  14. Kim, M. H., Seong, K. O., Paeng, K. H., Choi, H. J., & Choi, S, Y. (2011). Factors affecting the conflict betwee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and adult children: Focusing on grandparents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31(4), 905-923. 

  15. Kim, M. J. (2006). The experience of grandmothers who raise their grandchild.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6. Kim, M. O., Song, S. M., & Lee, S. L. (2015).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hild-rearing experience and conflict of grandmothers in dual-income families: from the grandmother's and working moms' point of view. Korean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11(4), 239-269. 

  17. Kim, M. S. (2010). A study on the factors that have influence upon grandmother's caring satisfaction of grand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Suwon. 

  18. Kim, M. Y. (2001). A study on the mental health of grandmothers who raise their grand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 Kim, S. K., Park, J. S., Kim, Y. K., Kim, Y. W., Choi, Y. J., Son, C. K., et al. (2012). 2012 National survey on dynamics of marriage and fertility. Retrieved December 20, 2017, from http://www.mohw.go.kr/react/modules/download.jsp?BOARD_ID320&CONT_SEQ337093&FILE_SEQ197132 

  20. Kwon, J. Y. (2007). Parents' perception of very earl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s related to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4(2), 1-19. 

  21. Kwon, Y. H. (2010). Parenting stress of grandmothers who rear grandchildren and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2. Lee, B. J. (2006). The degree of a leisure life and life satisfaction of agricultural old people rearing grand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23. Lee, G. J., & Park, H. S. (2006). A study on the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he elderly in urban area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3), 221-230. 

  24. Lee, Y. J., Kwon, M. K., & Kim, S. J. (2015). A study of both childcare actual condition and support plan of grandchildren who are being raised by grandparents. Seoul: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5. Musil, C. M., & Ahmad, M. (2002). Health of grandmothers: A comparison by caregiver statu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14(1), 96-121. 

  26. Nam, M. S. (2000). A study on the life and support for grandparent in charge of grandchild paren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27. Oh, J. A. (2006). Care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grandmothers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in employment mother's home.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2(3), 368-376. 

  28. Sin, M. K., & Sin, S. J. (2008). Effects of group exercise program tailored by physical fitness on perceived health status, physical strength,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4), 613-625. 

  29. Statistics Korea. (2017, August 30). City/district/total fertility rate, birth rate by mock age. Retrieved December 20, 2017,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81A17&vw_cd&list_idA21_1&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30. Statistics Korea. (2017, December 7). Working women living with her children per city. Retrieved December 20, 2017,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ES4J010&vw_cd&list_idB19_8&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31. Yu, H. M., Bae, Y. J., & Kim, M. J. (2014). Statu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childcare support for children of dual income families. Seoul: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