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지역 중노년층 주민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Self-rated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and Elderly in Rural Area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5, 2020년, pp.317 - 325  

김윤영 (안동대학교 간호학과) ,  현혜순 (상명대학교 간호학과) ,  방활란 (안동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농촌지역 중·노년층 주민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농촌지역 중·노년층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 되었다. A군의 40세 이상 주민 235명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질을 측정하여 분석하였고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삶의 질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우울은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질의 신체적 건강지수와 정신적 건강지수 모두에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은 농촌지역 중·노년층 주민의 삶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며,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우울은 삶의 질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농촌지역 중노년층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주관적 건강상태 개선 및 우울 경감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relation to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and elderly in rural areas. Subjective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235 residents over 40 years of age in A county were coll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농촌지역 중·노년층 주민의 주관적 건강상 태와 삶의 질을 파악하고,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농촌지역 중·노년층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40세 이상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농촌지역 중·노년층 주민의 우울은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에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중ㆍ노년층에서는 주관적으로 자신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 우울증상이 심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8], 최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우울이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지고 있다[19].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중ㆍ노년층 주민을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적 특성을 고려 했을 때 농촌 주민들의 우울정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40세 이상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농촌지역 중·노년층 주민의 우울은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에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우울은 주관적 건강상태와 신체적 건강지수인 PCS 와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나타낸 반면에, 정신적 건강지수인 MCS와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우울은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중·노년층 주민의 건강한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우울은 신체적·정신적 건강과 삶에 대한 만족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보여지 며, 이에 대한 관심과 중재 전략이 요구된다. 특히 농촌지역 주민의 건강은 도시 주민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수준이며 보건의료의 접근성과 예방적 서비스 등에서 불평등 상황에 놓여 있음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농촌지역 주민의 우울 정도와 관련 요인을 확인하고 이에 부합하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 관계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A군의 40세 이상 주민 235명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질을 측정하여 분석하였고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삶의 질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우울은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질의 신체적 건강지수와 정신적 건강지수 모두에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은 농촌지역 중·노년층 주민의 삶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며,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우울은 삶의 질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지역 거주 성인 건강상태의 특징은 무엇인가? 2016년 국민건강통계에 의하면, 농촌지역 거주 성인은 도시지역에 비해 비만, 고혈압, 당뇨병 등의 만성퇴행 성질환 유병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금연, 절주, 운동 등의 건강생활습관 실천율은 도시에 비해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2]. 농촌 주민의 건강문제를 조사한 일 연구에서는 노동력 부족이나 지속적으로 심한 육체노동을 수행함으로써 근골격계에 대한 건강문제를 많이 호소하고 있으며, 피로 등의 신체적 건강문제로 고통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T. H. Yoon & J. H. Kim. (2006). Health inequalities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1(1), 11-20. DOI : 10.22715/JKARHN.2006.1.1.011. 

  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6).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Available: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accessed 2019. Sep. 19). 

  3. J. S. Park, S. M. Kwon & Y. J. Oh. (2009). Health promotion behavior, health problem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farmers' syndrome of rural residents.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34(1), 47-57. DOI : 10.5393/JAMCH.2009.34.1.047. 

  4. M. S. Yoon. (2007).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psychosocial factors, problem drinking on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38, 281-310. 

  5. Y. J. Yi & E. J. Kim. (2015). The effects of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on perceived health of urban and rural elderly: Using generalized ordered logit model.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7(1), 65-88. 

  6. W. J. Strawbridge & M. I. Wallhagen. (1999).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over three decades: results from a time-dependent covariate analysis. Journal of Aging Research, 21, 402-416. DOI : 10.1177/0164027599213003. 

  7. J. H. Lee & H. Y. Lee. (2016). The comparison of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urban-rural elderly.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22(3), 553-565. 

  8. Y. J. Kim. (2010). The effect of the health status and the economic status on the mental health of the urban elderly and the rural elderly - with the focus on the comparison of the mediation model between the family life and the social life. The Journal of Rural Society, 20(1), 265-308. 

  9. Y. J. Oh & Y. H. Kwon. (2012). Factors influencing perceived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in rural residents.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7(3), 145-155. DOI : 10.5393/JAMCH.2012.37.3.145. 

  10. M. Calvert & N. Freemantle. (2003). Use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rescribing research. Part 1: why evaluat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and Therapeutics, 28(6), 513-521. DOI : 10.1046/j.0269-4727.2003.00521.x. 

  11. K. R. Shin & J. H. Yang. (2003). Influencing factors on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living in rural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7), 999-1007. DOI: 10.4040/jkan.2003.33.7.999. 

  12. N. J. Devlin. (2017). Brooks R. EQ-5D and the EuroQol Group: Past, Present and Future. Applied Health Economics and Health Policy, 15(2), 127-137. DOI: 10.1007/s40258-017-0310-5. 

  13. L S Radloff.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DOI : 10.1177/014662167700100306. 

  14. M. J. Cho & K. H. Kim. (1993).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2(3), 381-399. 

  15. J. E. Ware, M. Kosinski & S. D. Keller. (1996). A 12 Item Short-Form Health Survey: Construction of scales and preliminary test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Medical Care, 34(3), 220-233. DOI: 10.1097/00005650-199603000-00003. 

  16.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DOI: 10.1037//0022-3514.51.6.1173. 

  17. D. H. Lew & I. S. Yeo. (2013). Relationship among subjective health recogni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exercise capability and social support on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2(1), 351-361. 

  18. D. J. Jung. (2014). The effects of self-rated health on depression to disabled elderly: The moderating effects of psychosocial resourc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4(2), 247-275. 

  19. H. W. Jeon. (2011). Depression, self-estee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18(6), 656-666. 

  20. T. Gunzelmann, A. Hinz & E. Brahler. (2006). Subjective health in older people. GMS Psycho-Social-Medicine, 3, 1-10. 

  21. K. R. Shin, J. S. Kim & M. S. Sung. (2007).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low-income elderly women in urba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5), 819-828. 

  22. R. A. Miech & M. J. Shanaham. (2000). Socioeconomic status and depression over the life cours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1(2), 162-171. DOI: 10.2307/2676303. 

  23. K. N. Park. (2004). Gender differences in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4(3), 13-20. 

  24. K. J. Choi et al. (2014). The development of physical fitness test battery and evaluation criteria of it for Korean elderly person. The Korean Journal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Science, 16(3), 15-30. DOI : 10.21797/ksme.2014.16.3.002. 

  25. J. C. Lee, J. S. Park & G. H. Kim. (2011). The effects of stress, quality of life and family relationship of smokers and drinkers on tobacco and alcohol us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ated health. The Journal of The Korean Public Health Association, 37, 29-43. 

  26. L. J. Liu & Q. Guo. (2008). Life satisfaction in a sample of empty-nest elderly: a survey in the rural area of a mountainous county in China. Quality of Life Research, 17(6), 823-830. DOI: 10.1007/s11136-008-9370-1. 

  27. J. Chang & K. Boo. (2007). Self-rated health status of Korean older people: An introduction for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0(2), 45-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