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각발달재활사 자격기준 관련 필수과목 개설현황 조사연구 - 4년제 작업치료학과를 중심으로
Establishment Status of the Mandatory Courses for the Qualification of Sensory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pecialist - Within Curriculums of Baccalaureat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7 no.3, 2017년, pp.23 - 34  

김지현 (극동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국내 4년제 작업치료학과의 감각발달재활사 자격기준 관련 필수과목들의 개설현황을 조사하여, 작업치료사와 관련이 깊은 감각발달재활사 자격관리사업에 대한 대학의 대비 정도를 점검하고 향후 관련하여 교과과정 심의를 준비하거나 표준교과과정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전국의 4년제 작업치료학과 32개교의 교과과정 정보를 수집하여 감각발달재활사 자격기준 관련 필수과목들의 개설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결과 : 첫째, 공통필수 과목인 '장애아동의 이해' 개설학교는 9개교(28%)였고, 전공필수 과목의 경우 '신경과학/신경해부학'은 32개교 전부에, '감각처리장애와 중재/감각통합치료학'은 31개교(97%)에, '아동검사 및 평가'와 '감각재활현장실습'은 각각 동일하게 7개교(22%)에 개설되어 있었다. 둘째, 유사과목을 포함한 경우, '신경과학'과 '감각처리장애와 중재'와 '아동검사 및 평가'는 32개교(100%) 전체에 개설되어 있었으나, 실습교과의 유사과목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전국 4년제 작업치료학과의 감각발달재활사 자격관리사업에 대한 대비도 점수의 경우, 7점에 해당하는 대학은 4개교, 6점은 4개교, 5점은 2개교, 4점은 1개교, 3점은 2개교, 2점에 해당하는 대학은 19개교였다. 결론 : 감각발달재활사 자격기준 전공필수 교과들의 경우 실습을 제외한 다른 3 과목은 유사과목을 포함하여 전국 4년제 작업치료학과 32개교에 전부 개설되어있어 전문성 측면의 대비는 잘 되어있는 편이지만, 공통필수인 '장애아동의 이해'와 실습교과인 '감각재활현장실습'의 개설현황은 상대적으로 매우 저조한 현황이다. 상당수의 대학들이 발달재활서비스 자격관리사업에 대한 대비를 시작한 것으로 보이지만, 교과과정 상에 보다 적극적인 의지와 정확성이 반영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감각발달재활사 양성을 염두에 두고 있는 대학에서는 공통필수 교과와 필수 실습교과의 개설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더불어 감각발달재활사 기준 지정명칭의 과목을 개설하고 제시되어 있는 교수요목을 고려하여 과목을 운영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stablishment status of the mandatory courses designated by Ministry of Health & Welfare for qualification of sensory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pecialist(SDRS), within curriculum of baccalaureate occupational therapy(BOT) programs in Ko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대비하여 대학교육기관은 기존의 교육과정을 점검하고 재정비하여 작업치료사 양성 교육과 감각발달재활사 양성 교육의 이원화를 방지하고, 나아가 사회와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보다 전문적이고 높은 질적 수준의 감각발달재활사 양성을 위해 노력할 필요와 책임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4년제 작업치료학과의 교과과정 분석을 통해 감각발달재활사 자격기준 관련 필수과목들의 개설현황을 조사하고, 감각발달재활사 자격관리사업에 대한 대학의 대비 정도를 점검하여 향후 관련 교과과정 심의를 준비하거나 표준교과과정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아동재활치료사업이란 무엇인가? ‘장애아동재활치료사업’은 보건복지부가 2007년 장애아동의 재활을 지원하고 높은 재활치료비용에 대한 장애아동 가족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도입한 지역사회서비스 사업으로, 현재는 2012년부터 시행된 [장애아동복지지원법]을 근간으로 ‘발달재활서비스’로 명칭이 변경되어 시행되고 있다(Cho, Kang, & Jin. 2015; Kim, Kim,& Kang, 2015; Kwon, 2016).
감각발달재활사 자격기준 관련 필수과목들의 개설현황 파악 결과는 어떠한가? 셋째, 전국 4년제 작업치료학과의 감각발달재활사 자격관리사업에 대한 대비도 점수의 경우, 7점에 해당하는 대학은 4개교, 6점은 4개교, 5점은 2개교, 4점은 1개교, 3점은 2개교, 2점에 해당하는 대학은 19개교였다. 결론 : 감각발달재활사 자격기준 전공필수 교과들의 경우 실습을 제외한 다른 3 과목은 유사과목을 포함하여 전국 4년제 작업치료학과 32개교에 전부 개설되어있어 전문성 측면의 대비는 잘 되어있는 편이지만, 공통필수인 '장애아동의 이해'와 실습교과인 '감각재활현장실습'의 개설현황은 상대적으로 매우 저조한 현황이다. 상당수의 대학들이 발달재활서비스 자격관리사업에 대한 대비를 시작한 것으로 보이지만, 교과과정 상에 보다 적극적인 의지와 정확성이 반영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작업치료사가 가져야 할 자격은 무엇인가? 작업치료사는 대학 교과과정을 통해 감각통합치료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추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국가자격인 작업치료사 면허를 취득한 자의 경우 감각통합치료 제공인력으로서의 기본 자격이 자동적으로 주어진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작업치료사에 의한 감각통합치료 행위가 의료기관이 아닌 비의료기관에서 이뤄지는 것은 현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의 법리적용, 의료계와의 직역갈등 발생 등의 이유로 제한되고 있으며, 그것의 임상적 적합성, 정당성, 적법성에 대한 쟁점 논의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Choi, 2013; Kim & Bae,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o, J. M., Kang, J. B., & Jin, M. Y. (2015). A search for an improvement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ssuance status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license. The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19(1), 1-21. 

  2. Choi, J. S. (2011). Systematic review of the research evidence examing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using a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1(2), 71-79. 

  3. Choi, J. S., Kang, D. H. & Kim, J. K. (2008).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reatment on occupational performance abilitie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6(1), 33-43. 

  4. Choj, B. C. (2013). A critical review of the current health care and therapy services for disabled children. Journal of the Right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4(1), 61-81. 

  5. Hong, K. H., & Hong, S. Y. (2017). The effect of vestibular stimulation activity on visual percep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he age of twentie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7(1), 1-8. 

  6. Ji, S. Y., & Young, N. G. (2002). Postural control, bilateral coordination and motor planning outcomes in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who receive sensory integration therapy: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0(1), 63-70. 

  7. Jo, J. G. (2010). A study on parent's needs of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special school.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49(4), 113-138. 

  8. Kang, J. B., & Cho, J. M. (2014). A Study on Improvement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3(2), 91-116. 

  9. Kim, C. H. (2012). Policy for reinforce of professionals qualification and improvement of service. Assemblyman Gang MS, discussion data from policy for reinforce of professionals of the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or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and improvement of service(pp.17-35). Assemblyman Gang MS. Seoul. 

  10. Kim, I. S. (2015) A survey on a statu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in korea. The Journal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3(2), 1-19 

  11. Kim, J. H., Cho, Y. K., Park, J. Y., & Lee, E. J. (2014). Present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based on service and personnel of service providing centers. The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18(1), 1-23. 

  12. Kim, J. H., Kim, K. R., & Kang, J. B. (2015). A study on supporting status and improvement of rehabilitation servic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31(2), 251-281. 

  13. Kim, K. M., & Kim, J. M. (2007).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on the balance and attention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46(4), 103-130. 

  14. Kim, S. Y., & Bae, H. A. (2013). The disabled child support policy in consider of health and medical law system -Focusing on the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Law and Politics research, 13(4), 1723-1753. 

  15. Kwon, B. M. (201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ervice providers' qualification standard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development rehabilitation servi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published master's thesis. 

  16. Lee, H. S., Chang, K. Y., Woo, H. S. & Yoon Y. Y (2014). Preliminary study of clinical training standardiz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37-56.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Guide of business for support the disabled family. 

  18. Moon, J. W. (2015). Improvement Direction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The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19, 1-23. 

  19. Song, E. J. (2014). Difficulties for cognitive learning therapists working in voucher institu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published master thesis. 

  20. Support center for severely handicapped children. developmental disability. Necessary subjects of each category for business of qualification management for the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personnel. https://www.broso.or.kr/cert/index.html 

  21. Yang, S. M., Oh, H. K., & Chun, D. I. (2010). The influence of the effectiveness, process and environment of rehabilitation therapy service for the handicapped children on the service satisfaction.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12, 1-14. 

  22. You, Y. J., & Choj, B. C. (2012). A study on the rehabilitation therapists'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The Education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55(3), 163-183. 

  23. Yu, E. Y. (2014). Improvement plan for education of the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or management system. Discussion data from management plan of the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personnel.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Seoul. 

  24. Yun, E. S. (2008). Study on the curriculum of gerontological nursing-baccalaureate degree programs(BS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4(2), 188-194. 

  25. Yun, T. H., & Choi, S. G. (2016). Adapted physical activity as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 Exercise, 25(1), 1-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