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연계 미세먼지 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이슈에 대한 이해와 시민으로서의 인성과 가치관 함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mmunity-Based SSI Programs on Promoting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Issues and Character and Values as Citizens: Focused on Fine Dust Issue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6, 2017년, pp.911 - 920  

김가형 (이화여자대학교) ,  이현주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세먼지 이슈를 중심으로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과학교육 프로그램(SSI-COMM)을 개발하고 중학교 자유학기제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지역사회 속 미세먼지 이슈에 대한 이해도와 인성적 태도 및 가치관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였다. 서울시 자유학기제에 참여하는 4개 학교에서 총 151명의 학생들이 8회(16차시)에 걸쳐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미세먼지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와 학생들의 참여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과학이슈에 대한 이해도 및 인성과 가치관을 측정하는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참여 학생 일부와의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미세먼지와 관련된 지식을 습득하는 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시민으로서의 인성과 가치관에 있어서는 생태학적 세계관 영역을 제외하고 사회 도덕적 공감, 과학관련 사회쟁점에 대한 책무성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면담결과, 학생들은 본 프로그램을 통해 미세먼지가 자신이 속한 지역에 어떠한 문제를 야기하는지,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고, 미세먼지의 발생에 개인의 책임감을 느끼고 미세먼지로 인해 피해를 입은 지역의 취약계층을 위한 지역사회활동의 참여와 실천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SSI programs (SSI-COMM) regarding "fine dust" on promoting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community issues and their character and values as citizens. SSI-COMM on fine dust was implemented in 4 middle schools locate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 능력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와 같은 강조점은 우리나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도 명시적으로 드러나 있다. 교육과정에서는 5개 핵심 역량 중 하나로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 능력’을 제시하였는데, 이 역량은 “사회에서 공동체의 일원으로 합리적이고 책임 있게 행동하기 위해 과학기술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며 새로운 과학기술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스스로 지속적으로 학습해 나가는 능력”(Ministry of Education, 2015, p. 4)을 의미한다.
과학교육의 주된 목표는 무엇인가? , 2005). 다시 말해, 생활 속에서 당면하는 수많은 SSI에 대해 학생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관심을 갖고 문제 해결에 참여하며, 민주 사회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과학적 소양을 갖추는 것을 과학교육의 주된 목표로 삼아 왔다.
STEPWISE 프로젝트가 운영되게 된 배경과 어떤 프로그램들을 개발하였나? 캐나다에서는 토론토 대학을 중심으로 STEPWISE(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Promoting Wellbeing for Individuals, Society & Environment) 프로젝트가 운영되고 있다(Bencze, 2017). 이 프로젝트는 기존의 STS(E) 교육이 과학, 기술과 사회의 연관성을 보여주고 관련된 문제에 대해 토의⋅토론 형식으로 의사결정을 하도록 하는 데에만 제한되어 있음을 비판하면서, 학생들의 책임감 있는 행동과 참여를 강조하는 프로그램들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들은 지역사회와 관련된 SSI를 해결하기 위해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직접 탐구하고 그 결과를 실천에 옮기도록 하였다는데 특징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nderson, D., & Lucas, K. B. (1997). The effectiveness of orienting students to the physical features of a science museum prior to visita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7(4), 485-495. 

  2. Barton, A. C., & Tan, E. (2010). We be burnin’! Agency, identity, and science learning.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19(2), 187-229. 

  3. Bencze, L. (2017).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promoting wellbeing for individuals, societies and environments: STEPWISE. Dordrecht: Springer. 

  4. Birmingham, D., & Barton A. C. (2014). Putting on a green carnival: Youth taking educated action on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1(3), 286-314. 

  5. Bouillion, L. M., & Gomez, L. M. (2001). Connecting school and community with science learning: Real world problems and school-community partnerships as contextual scaffold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8), 878-898. 

  6. Bowers, C. (1999). Changing the dominant cultural perspective in education. In G.A. Smith & D.R. Williams (Eds.), Ecological education in action: On weaving education, culture, and the environment (pp. 161-178).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7. Catalano, R. F., Oesterle, S., Fleming, C. B., & Hawkins, D. (2004). The importance of bonding to school for healthy development: Findings from the social development research group. Journal of School Health, 74(7), 252-261. 

  8. Cheak, M., Volk, T., & Hungerford, H. (2002). Mlolkai: An investment in children, the community, and the environment. Carbondale, IL: Center for Instruction, Staff Development, and Evaluation. 

  9. Cheong, C. (2007). The effects of knowledge, beliefs and attitudes about environment on issue-based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in middle school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20(1), 118-130. 

  10. Choe, J., & Lee, Y. (2015). A study on the impact of PM2.5 emissions on respiratory diseases.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stration, 23(4), 155-172. 

  11. Colucci-Gray, L., Barbiero, G. E. C., & Gray, D. (2006). From scientific literacy to sustainability literacy: An ecological framework for education. Science Education, 90, 227-252. 

  12. Elmose, S., & Roth, W. M. (2005). Allgemeinbildung: Readiness for living in risk society.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7(1), 11-34. 

  13. Greene, J. C. (2007). Mixed methods in social inquiry. San Francisco: John Wiley & Sons. 

  14. Hudson, D. (1999). Going beyond cultural pluralism: Science education for sociopolitical action. Science Education, 83(6), 775-796. 

  15. Hudson, D. (2003). Time for action: Science education for an alternative fu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6), 645-670. 

  16. Knapp, C. E. (2008). Place-based curricular and pedagogical models: My adventures in teaching through community contexts, In D. A. Gruenewald & G. A. Smith (Eds.), Place-based education in the global age: Local diversity (pp. 5-28).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7. Lee, H., Chang, H., Choi, K., Kim, S., & Zeidler, D. L. (2012). Developing character and values for global citizens: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moral reason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6), 925-953. 

  18. Lee, H., Yoo, J., Choi, K., Kim, S., Krajcik, J., Herman, B. C., & Zeidler. D. L. (2013). Socioscientific issues as a vehicle for promoting character and values for global citize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5(12), 2079-2113. 

  19. Lee, S., & Chang, N. (1993).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trategy through personalization of environment.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5, 71-88. 

  20. Lickona, T. (1996). Eleven principles of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Journal of Moral Education, 25(1), 93-100. 

  21. Lim M., & Barton, A. C. (2010). Exploring insideness in urban children’s sense of place.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30(3), 328-337. 

  22. Millar, R. (2006). Twenty first century science: Insights from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cientific literacy approach in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13), 1499-1521. 

  23. Millar, R., & Osborne, J. (1998). Beyond 2000: Science education for the future. King's College London: Fulmar Colour Printing Company Limited. 

  24.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in Korea. Ministry of Education. 

  25. Morgan, A. (2011). Place-based education versus geography education? In G. Butt (Ed.), Geography, education and the future (pp. 84-108). NY: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6. Olsen J. K., Cox-Peterson, A. M., & McComas, W. F. (2001). The inclusion of informal environments in science teacher preparation.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2(3), 155-173. 

  27. Orr, D. (1992). Place and pedagogy. In M. K. Stone & Z. Barlow, Z. (Eds.), Ecological literacy: Educating our children for a sustainable world (pp. 85-95). Oakland: Sierra Club Books. 

  28. Park, E. (2007). Health risk assessment of fine particles and their hazardous chemical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Dongduk Women's University, Korea. 

  29. Park, S. (2014).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awareness and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bout the particulate matter in the ambient air: Focused on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Korea. 

  30. Park, S., & Shin, H. (2017).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PM2.5 in Korea: Focusing on seasonal factors.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stration, 25(1), 227-248. 

  31. Pittman, K. J., & Fleming, W. P. (1991). A new vision: Promoting youth development. Center for Youth Development and Policy Research. Washington DC. 

  32. Powers, A. L. (2004). An evaluation of four place-based education programs. Reports & Research, 35(4), 17-32. 

  33. Roth, W. M. (2003). Scientific literacy as an emergent feature of collective human praxis.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5(1), 9-23. 

  34. Roth, W. M. (2009). Activism or science/technology education as byproduct of capacity building. Journal for Activism in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1), 16-31. 

  35. Roth, W. M., & Lee, S. (2004). Science education as/for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Science Education, 88(2), 263-294. 

  36. Ruiz, P. O., & Vallejos, R. M. (1999). The role of compassion in moral education. Journal of Moral Education, 28(1), 5-17. 

  37. Sadler, T. D., & Zeidler, D. L. (2005). Patterns of informal reasoning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decision mak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1), 112-138. 

  38. Smith, G. A. (2002). Place-based education. Phi Delta Kappan, 83(8), 584-594. 

  39. Smith, G. A., & Sobel, D. (2010). Place-and community-based education in schools. NY: Routledge. 

  40. Smith, G. A., & Williams, D. R. (1999). Ecological education in action: On weaving education, culture, and the environment.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41. Stern, P. C., Dietz, T., & Kalof, L. (1993). Value orientations, gender, and environmental concern. Environment & Behavior, 25, 322-348. 

  42. Stevenson, K. T. (2014). Role of significant life experiences in building environmental knowledge and behavior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45(3), 163-177. 

  43. Tal, T., & Abramovitch, A. (2013). Activity and action: Bridging environmental science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3(4), 1665-1687. 

  44. Theobald, P., & Curtiss, J. (2000). Communities as curricula. Forum for Applied Research and Public Policy, 15(1), 106-111. 

  45. Yoon, O. (2016). Practices of plac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in a general education course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4(1), 139-150. 

  46. Zeidler, D. L., Sadler, T. D., Simmons, M. L., & Howes, E. V. (2005). Beyond STS: A research-based framework for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9(3), 357-3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