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연계 대학창업교육 방향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Universities linked to Community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2 no.6, 2017년, pp.89 - 98  

이원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혁신기업연구센터) ,  최종인 (국립한밭대학교 경영회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대의 흐름에 따라 창업자본주의(Entrepreneurial Aapitalism)의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도전정신을 바탕으로 글로벌 진출을 도모하는 소규모 기업 또는 개인 창업자의 역동적인 창업활동은 창업생태계(Entrepreneurial Ecosystem)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 창출로 이어진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대학 창업을 촉진하기 위한 노력으로 '대학창업교육 5개년 계획(2013-2017)'과 '2015년도 정부 창업지원 효율화 방안', 그리고 '산학협력 활성화 5개년 기본계획(2016-2020)'등을 발표하였고, 대학과 연구소 등에서도 창업 활성화에 대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여전히 현실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 창업교육의 체계화를 목적으로 변화하는 대학의 역할과 클러스터(cluster), 그리고 창업교육에 대한 이론을 고찰한다. 또한, 미국 혁신대학의 대표적 사례를 중심으로 창의적인 대학 문화의 요인을 살펴보고, '창업 성공'과는 다른 '성공적인 창업'을 목적으로 클러스터 관점의 창업교육에 대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학 기술기반의 창업 활성화를 위한 통합적 창업교육 플랫폼 구축의 기조(基調)가 되는 클러스터 관점의 창업교육에 대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는 관련 이론과 사례를 바탕으로 창의적 문화 구축과 효과적인 혁신 창출에 필요한 인재, 기술, 관용이라는 세 가지 요소의 역할이 중심이 되어 창업교육에 수반되어야 할 지역의 창업자원, 창업정책, 그리고 리더십의 클러스터링을 강조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ynamic entrepreneurial activities of small businesses or individual entrepreneurs seeking to enter the global market based on innovative ideas and challenging spirit in the modern society, which is trending in entrepreneurial capitalism according to the times, Leading to new growth engines.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지막으로, 대학 창업교육이 문화적, 학문적, 그리고 인재의 다양성을 수렴하여 대학 창업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창업교육의 자원과 정책, 그리고 리더십의 균형적인 클러스터링(Clustering)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클러스터 관점의 창업교육에 대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는 한정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확보 또는 활용하기 위한 대학 최고경영자의 리더십과 실용적인 창업교육 정책을 바탕으로 대학의 창업 및 창의적인 문화를 구축하고, 이와 동시에 대학의 성공적인 창업을 가능하게 하는 창업인재와 경쟁우위를 지닌 대학기술을 통해 창업교육의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 또한 2014년에 미국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 등의 후원으로 선정된 창업 지향적인 교육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 혁신대학의 대표적 사례를 중심으로 창의적인 대학 문화의 요인을 살펴보고, 양적 측면의 ‘창업 성공’과는 다른 질적 측면의 ‘성공적인 창업'을 위한 통합적 창업교육 플랫폼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은 해당 지역 및 전 세계에 걸친 삶의 변화 및 사회, 경제, 그리고 기술개발에 대한 리더십 제공을 통하여 문제해결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방식을 촉진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지원, 연구 성과를 공공혜택 제품 및 서비스로 변환, 그리고 기업가 지원 및 일자리 창출에 중점을 둔 혁신적인 교육과 연구를 수행한다.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의 기업가정신 이니셔티브(EI)는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구축 및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큰 틀의 제도적 지원정책 중 하나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진화된 혁신대학 사례를 바탕으로 클러스터 관점의 창업교육에 대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창업의 대표적인 활동인 기술이전과 기술사업화에 중점을 두고 대학이 수행 가능한 기술기반 경제 개발(Technology Based Economic Development: TBED)의 역할을 강조하고자 한다. 또한, 이에 대한 공감대 형성 및 사회와 과학기술을 연결하기 위한 지식개발-지식보급 측면에서 변화하는 대학의 역할과 함께 창업교육을 체계화하기 위한 클러스터(Cluster)의 개념을 고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 창업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학의 창업교육을 체계화하기 위하여 클러스터(Cluster)이론의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 최근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대학의 기능과 함께 지역경제 하락 및 취업난과 같은 사회적 문제로 인하여 대학 기술창업의 중요성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현존하는 대학 기술창업의 한계점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창업교육의 효과적인 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변화하는 대학의 역할과 대학의 창업교육을 체계화하기 위한 클러스터의 개념을 통해 성공적인 창업교육의 방향 제시를 시도하였다. 더불어 선진화된 창업문화 및 관련 교육, 육성정책 등을 실현하고 있는 미국의 혁신대학 사례를 바탕으로 단순한 학습활동 수준을 넘어서 창업교육의 실질적인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 기업가정신 교육 활동을 살펴보았고, 인재육성, 기술 활용, 그리고 환경 조성 측면에서 이 대학들의 다양한 혁신 및 창업교육 활동을 분석하였다.
  • 더불어 선진화된 창업문화 및 관련 교육, 육성정책 등을 실현하고 있는 미국의 혁신대학 사례를 바탕으로 단순한 학습활동 수준을 넘어서 창업교육의 실질적인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 기업가정신 교육 활동을 살펴보았고, 인재육성, 기술 활용, 그리고 환경 조성 측면에서 이 대학들의 다양한 혁신 및 창업교육 활동을 분석하였다. 특히 지난 20년 동안 우리나라를 포함한 포르투갈, 영국, 슬로베니아, 남아프리카 등 많은 국가에서 약 1,100개 이상의 기술을 평가하는데 활용된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의 TEC 프로그램은 창업기업과 성숙한 기업 모두에게 글로벌 시장에 대응하여 발전할 수 있도록 교육 및 반복적인 훈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과 맞닿아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에서 창출된 기업들의 특성은 무엇인가? 대학에서 창출된 기업들은 다른 곳보다 훨씬 높은 성공률을 보이며, 좋은 일자리를 만들고 경제활동을 촉진한다(Holdren & Lander 2012). 이러한 대학 창업에서는 특히 우수한 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경영과 제도 등의 경험을 보유한 사람들과 공동으로 사업화를 수행해야 기술창업이 촉진된다.
창업 및 기업가정신을 높이기위해 필요한것은 무엇인가? 또한 실질적인 기업가정신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서 정부에 의존하기 보다는 창업교육에 대한 대학 스스로의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창업 및 기업가정신을 글로벌경쟁력을 갖춘 수준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창업문화와 사회규범, 사업화를 위한 인프라 조성 및 자금 확보와 함께 대학의 창업지원 및 교육역량 강화가 요구된다.
대학 창업을 촉진하기위한 정책은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 정부도 대학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대학창업교육 5개년 계획(2013-2017)’을 수립하여 창업교육 생태계를 구축하고 국가 수준에서 혁신 기업가와 창의적 인재양성에 대한 지원(교육부․미래창조과학부․중소기업청, 2013)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또한, 2015년에 발표한 ‘정부 창업지원 효율화 방안’과 2016년에 발표한 ‘산학협력 활성화 5개년 기본계획(2016-2020)’에서 정부는 선진 형 창업문화 조성을 통해 2014년 기준으로 창출된 637개의 연간 대학생 창업기업 수를 2017년 1,000개로 확대에 나가기 위한 계획을 수립(관계부처합동, 2015; 교육부 외 관계부처 합동, 2016)하였다. 이와 같이 대학, 정부, 연구소 등에서 창업 활성화에 대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여전히 현실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oi, J. I.(2008). From Bureaucratic Mode of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to Clustering Mode of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Deadeok Science Park, Korea, (ISBN 1403942455), Innovation Networks and Knowledge Clusters, 330-342, PALGRAVE MACMILLAN, New York. 

  2. Choi, J. I., & Byun, Y. J.(2013). The Exploratory Study on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Technology Entrepreneurship Education Model,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8(2), 119-128. 

  3. Choi, J. I., & Byun, Y. J.(2015). Promoting entrepreneurship and induction of entrepreneurship for women in S&T, WISET Policy Report, 2015(5), Center for Women In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4. Choi, J. I., & Park, C. G.(2013). The Key Success Factors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Implication from USA University Case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8(3), 85-96. 

  5. Cooke, P.(2008). Regional Innovation System, Clean Technology & Jacobian Cluster-Platform Policies, Regional Science Policy & Practice, 1(1), 23-45. 

  6. European Cluster Policy Group(2010). European Cluster Policy Group: Final Recommendation-A Call for Policy Action, (http://www.proinno-europe.eu/ecpg/newsroom/ecpg-final-recommendations). 

  7. Florida, R.(2002). The Rise of Creative Class, Brilliance Audio, US. 

  8. GEDI(Global Entrepreneurship and Development Institute) (2017). Global Entrepreneurship Index 2017, Washington, D. C., USA. 

  9. GERA(Global Entrepreneurship Research Association)(2017). GEM 2016/17 Global Report, (http://www.gemconsortium.org/report). 

  10. Holdren, J. P., & Lander, E.(2012). Transformation and Opportunity: The Future of The U.S. Research,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11. Kim, D. S.(2016). Higher Education Ideology and Functional Change of Universitie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4, 134-150. 

  12. Kim, S. H.(2015). The Key to the Age of Popularization of Entrepreneurship: Populariza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25(6),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13. Kim, S. W., Kim, Y. H., Lee, J. W., Kim, H. J., Ko, H. J., Kim, S. H., Kim, Y. S., Oh, J. S.(2015). 2015 Korea Entrepreneurship Monitor, Research Report, 2015-01-01, (ISBN-9788961123860),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14. Kuchiki, A.(2005). Theory of a Flowchart Approach to Industrial Cluster Policy, Discussion Paper, 36, Institute of Developing Economies. 

  15. Lee, W. C., & Choi, J. I.(2016). Science and Technology Busines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1(4), 139-148. 

  16. Lee, Y. D.(2013). University-based Tech-Startups, Industrial Engineering Magazine, 20(2), 14-22. 

  17. Lee, Y, J., Jung, K. C., Jang, B. R., Na, C. H.(2013). The Success Factor of Technology-based Startups and Supporting Policy, Policy Research, 2013-07,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18. Linan, F.(2004). Intention-based Model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University of Seville, Spain. 

  19. Markham, S. K., & Mugge, P. C.(2015). Traversing the Valley of Death: A Practical Guide for Corporate Innovation Leaders, (Pub. ISBN -9788968441189), Korean Translation by Choi, J. I.(2016), Hankyungsa. 

  20. Miller, T. K., Walsh, S. J., Hollar, S., Rideout, E. C., & Pittman, B. C.(2011). Engineering and Innovation: An Immersive Start-up Experience, Computer, IEEE Computer Society, 38-46. 

  21. Ministry of Education & National Research Foundation(2015). A Report on the Results of Research and Analysis on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Activities in 2014. 

  22. Ministry of Education & Other Ministries(2013). Five-year Plan for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2013-2017). 

  23. Ministry of Education & Other Ministries(2016). Five-year Basic Plan for Activation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to Create Youth Job(2016-2020). 

  24. OECD(1999). Boosting Innovation: The Cluster Approach, (ISBN-9264170804), OECD Publications.. 

  25. Porter, M. E.(1990).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26. Porter, M. E.(1998). On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Business Review. 

  27. Porter, M. E.(2000). Location, Competi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Local Cluster in a Global Economy,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14(1), 15-34. 

  28. Rideout, E., & Gray, D.(2013). Does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ally Work? A Review and Methodological Critique of the Empirical Literature on the Effects of University-Bas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51(3), 329-351. 

  29. Small Business Administration & Business Development Agency(2015). Report on the Actual Condition of University Foundation Business in 2015. 

  30. Tornatzky, L. G.. & Rideout, E. C.(2014). Innovation U 2.0: Reinventing University Roles in a Knowledge Economy, Journal of Research Administration, Society of Research Administrators International, (http://srainternational.org/). 

  31. Valerio, A., Parton, B., & Robb, A.(2014).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around the World, (ISBN-9781464802027),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 The World Bank, Washington DC. 

  32. 관계부처 합동(2015). 정부 창업지원사업 효율화 방안: K-스타트업 통합브랜드 출범. 

  33. 조윤아.박민규.문윤걸(2015). 창업교육 전후 창업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5(11), 433-4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