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한론(傷寒論)』 변병진단체계(辨病診斷體系)에 근거하여 梔者蘗皮湯(치자벽피탕)을 투여한 증례 2례
Two Case Reports treated with Chijabackpi-tang based on Shanghanlun provisions 원문보기

대한상한금궤의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of Clinical Sanghan-Geumgwe, v.9 no.1, 2017년, pp.101 - 113  

최운용 (이천시보건소 한의과진료실) ,  이성준 (정인한의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Patients complaining of severe chills and dizziness who were diagnosed and treated with the Shanghanlun disease pattern identification diagnostic system were analyzed to report cases Methods : Based on the Shanghanlun disease pattern identification diagnostic system, we analyzed two ca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본 연구의 증례는 주소증이 모두 오한으로서 梔者蘗皮湯에 대하여 알려진 기존의 작용과 상반되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傷寒論』 辨病診斷體系를 이용하여 陽明病 梔者蘗皮湯으로 진단된 2개의 사례를 분석하여 의미 있는 공통된 결과를 얻게 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또한 『傷寒 論』 辨病診斷體系 속에서 梔者蘗皮湯의 조문은 다른 陽明病 조문들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점이 있으므로 이를 밝혀 梔者蘗皮湯 의 활용성과 유용함을 소개하고자 한다.
  • 그러나 『傷寒論』 辨病診斷體系를 이용하여 陽明病 梔者蘗皮湯으로 진단된 2개의 사례를 분석하여 의미 있는 공통된 결과를 얻게 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또한 『傷寒 論』 辨病診斷體系 속에서 梔者蘗皮湯의 조문은 다른 陽明病 조문들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점이 있으므로 이를 밝혀 梔者蘗皮湯 의 활용성과 유용함을 소개하고자 한다.
  • 최종적으로 陽明病 261번 條文의 ‘傷寒 身黃發熱者’로 진단된 두 증례를 통해 『傷寒論』 辨病診斷體系의 재현성을 밝히고, 객관성을 담보한 진단체계로서의 가능성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條文의 내용은 환자의 주소증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병의 악화인자로서의 의미가 있음을 본 증례를 통하여 보여주고자 한다.
  • 최종적으로 陽明病 261번 條文의 ‘傷寒 身黃發熱者’로 진단된 두 증례를 통해 『傷寒論』 辨病診斷體系의 재현성을 밝히고, 객관성을 담보한 진단체계로서의 가능성을 밝히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食慾 : 입맛이 별로 없다.
  • 1) 감기 걸린 것처럼 열감이 생기면 어김없이 어지럽다.
  • 4) 汗出 : 잘 나는 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梔者蘗皮湯의 구성은? 梔者蘗皮湯은 기존에 熱鬱黃疸에 사용하는 처방6)으로 알려져 있다. 구성 약재로는 본초학적 약리에 따라 淸利濕熱, 解毒消腫 하는 梔者, 補脾和中, 淸熱解毒, 緩和止痛하는 甘草, 淸熱燥濕, 瀉火解毒하는 黃柏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성 약재에 따른 처방의 전체적인 특성 상 熱을 내리는 작용을 하지만, 본 증례들의 환자들은 모두 추위가 가신다고 표현하고 있다.
傷寒論은? 『傷寒論』은 한의학 서적 중 현존하는 最古의 임상 서적으로서, 이곳에 실린 처방 들은 후세의 수많은 방제들의 기원이 되고 있다1). 또한 현재까지도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서적으로서,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明 단어의 조합에 대한 설들은? 몸이 악화되는 시점에서 특정 감각을 선명하게 느끼는 것은 明이라는 단어로서 바라볼 수 있다. 明이라는 단어는 회의문자로서, 日과 月의 조합이라는 설이 일반적이지만, 囧(창문)에 月(달)의 조합이라는 설 또한 존재한다. 창문에 달이 비친 모습으로서 ‘밝음’을 강조하는데, 전구가 없던 과거에는 창을 통해 비치는 달빛이 무엇보다 밝게 느껴졌을 것이며, 여기에서 ‘밝다’라는 뜻이 나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Yamada Keiji. How di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tart. Seoul Publishing Company Science Books. 2002;155,170-171. 

  2. Chen Fang-pey, et al. Modern use of Chinese herbal formulae from Shang-Han Lun. Chinese Medical Journal. 2009;122(16):1889,1893. 

  3. Otsuka Geisetsu. Explanation of Shanghanlun. Euibang publish. 2004:39. 

  4. Kyung-Mo Park, Seung-Hun Choi. The compara tive study of Sanghanron and hwangjenaegyeong through historical study on Gangpyung.Sanghanron. J. Korean Medical Classics. 1995;9:263-300. 

  5. Sung-Jun Lee, et al. A Diagnostic System and Clinical Application Based on Shanghan-lun Six Meridian Patterns and Provisions. Seoul:Kmediacs publishing house. 2014:1-6. 

  6. Sang Lok Lee, et al. Effect of Chijabakpitang on the Liver Damage Induced by Bile Duct Ligation. Won-gwang academic association. 1994;4(1):191-205. 

  7. Higashi, et al. Effects of Kampo Medicine, Shishi-hakuhi-to, on Elderly Patients with Pruritic Skin Diseases Measured Using a Patient Diary with an Itching Visual Analog Scale. The Nishinihon journal of dermatology. 2006;68(4):408-412. 

  8. SG Park, et al. Two cases of Atopic Dermatitis Treated with Chijabyukpi-tang. Herbal formula science. 2017;25(3):429-436. 

  9. Soong-In Lee. A Philological Research on the Way of Medical Study of ShangHanLun.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Medicine Society For The Herbal Formula Study. 2014;22(2):1-13. 

  10. Kwan-Soo Moon,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Misinterpretations about Chinese Bronze Characters. Journal of regional culture research. 2013;12:181-218. 

  11. Jin-A Kim, Sung-Jun Lee, Shanghanlun Diagnostic System : Exploring Value as Narrative Medicine by Analyzing Cases. Journal of KMediACS. 2014;6(1):1-25. 

  12. Yeong-Beom Rho, et al. The Fundamental Meaning of Mai and Shanghanlun Provisions Based on Paleography. Journal of KMediACS. 2015;7(1):1-14. 

  13. Kim KY, Rho YB. The Paleographical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of Shanghanlun.Seoul:Badabooks Publisher. 2015;4-21, 49-53. 

  14. Young-sam Ha. The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origin. Seoul. 3-Publication. 2014;233-234. 

  15. Se-wuk Yang. The Source of Chinese Coverb Shi(是) and Reanalysis. The Society for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2006;47(2):131-1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