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이오매스 발전설비 증설·혼소 계획에 따른 Wood pellet 소요량 예측 및 최적 바이오매스 발전량 연구
Prediction for the quantity of wood pellet demand and optimal biomass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biomass power plant expansion and co-firing plan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4 no.4, 2017년, pp.818 - 826  

김상선 (충북대학교 화학공학과) ,  이봉희 (충북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 재생에너지 보급통계에 의하면 바이오매스 발전실적은 2013년 부터 급증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가장 급격하게 증가한 연료는 Wood pellet으로 2013년 696Gwh, 2014년 2,764Gwh, 2015년에는 2,512Gwh를 발전 하였고 국내 Wood pellet 총 소비량은 2015년 기준 148만톤이며 그 중 발전용으로 소비된 Wood pellet은 108만톤으로 약 73%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Wood pellet 소요량을 예측한 결과 국내 발전용으로 필요한 Wood pellet 소요량은 2020년 261만톤, 2025년 685만톤, 2030년 1,139만톤이 필요하며, 최적 바이오매스 발전량 산정을 위하여 바이오매스 발전소에서 국내 생산 Wood pellet 사용량을 50% 사용한다는 가정하에 기 허가 신청된 발전소를 가동하기 위해서는 2021년 226만톤의 Wood pellet이 국내에서 생산되어야 한다는 결론이 도출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ccordance with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Supply Statistics, biomass power generation has surged since 2013, and use of wood pellet has the most sharply increased, 696Gwh in 2013, 2,764Gwh in 2014 and 2,512Gwh in 2015. Total domestic wood pellet consumption was 1.48million tons in 2015, of w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KFS(2016) 통계에 의해 언급된 국내 Wood pellet 생산량이 2015년 소비량 148만톤 대비 5.6%인 상황에서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 신규 허가 신청 용량은 841.6Mw에 이르고 있어 바이오매스 발전소 허가량 및 Wood pellet 혼소에 따른 Wood pellet 소요량 예측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현재 가동되고 있는 바이오매스 발전소와 신규허가 신청된 바이오매스 발전소에서 필요한 Wood pellet 소요량과 한국전력 발전 자회사들의 혼소 사용계획 및 국내 연도별 RPS의무공급량을 토대로 Wood pellet 소요량을 연구하였으며 국내에서 생산된 Wood pellet을 50% 사용하여 발전한다는 가정하에 국내에서 발전가능한 최적 바이오매스 발전량을 연구하였다.

가설 설정

  • 2021년에 준공되어 2022년부터 가동되는 바이오매스 발전소는 Wood pellet 전소발전(Wood pellet 100%)으로 가동하고 증설되는 발전량은 2016-2020년 까지 허가 신청된 평균 발전량(168.3Mw)만큼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16년 이후에 전소발전소가 가동되고 있고 RPS 가중치가 혼소발전보다 전소발전이 1.5배 높은 것을 고려하여 2021년 이후에 가동되는 발전소의 경우 전소발전으로 가정하고 발전 효율을 40%로 적용하였다. 이를 근거로 Wood pellet 사용량 환산은 아래 가정으로 추산하였다.
  • 또한, 발전설비 효율은 건설 예정인 프로젝트 사례 조사에서 확인된 설비 효율 40%를 적용하였고 연료열량은 기존 선행연구 논문에서 제시된 열량을 동일하게 사용하여 3,850Kcal/kg을 반영하였다 [14]. 증설되는 발전소에 사용되는 연료를 Fig. 3과 같이 2012-2015년 평균인 Wood pellet 사용비율 82.3%로 가정할 수 있으나 시장 조사결과 Fig. 3에는 한국전력 발전자회사들의 Wood pellet 혼소사용 실적이 포함되어 있어 두 경우의 가정을 수립하여 향후 Wood pellet 소요량을 산정하였으며 Wood pellet 열량 및 발전효율은 Table 1과 같이 가정 하였다.
  • 2015년까지 한국전력 발전자회사를 제외한 바이오매스 발전사들은 소량의 Wood pellet을 사용하였으나 동서발전(동해바이오)이 2017년도에 연료를 Wood pellet으로 전환하였다. 향후 석문에 너지, GS EPS Wood pellet 사용 검토, 환경 운송 등 발전사업 허가 및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시장 상황을 고려할 경우 Bio-SRF의 비중이 증가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 판단하여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매스 발전소 건설계획이 계획대로 진행되고 계획 준공년도 다음해에 정상 가동된다는 가정 하에 Wood pellet 소요량을 추정하였으며 발전소 건설 특성(자본투입, 민원, 인허가 등)상 계획보다 준공이 지연되는 것이 보편적이므로 준공 계획년도 다음해부터 연료를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발전설비 효율은 건설 예정인 프로젝트 사례 조사에서 확인된 설비 효율 40%를 적용하였고 연료열량은 기존 선행연구 논문에서 제시된 열량을 동일하게 사용하여 3,850Kcal/kg을 반영하였다 [1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Wood Pellet 수입현황은 어떠한가? 1% 비율로 Wood Pellet을 사용하였다 [4]. FAO(2017)에 의하면 한국은 2014년 기준 185만톤을 수입하여 전세계 수입량의 12.8%를 차지, Wood Pellet 수입국 세계 4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수입되는 우드펠릿 중 69%를 동남아에서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5]. 수입된 대부분의 우드펠릿은 한국전력 발전자회사들이 RPS 의무공급량을 이행을 위하여 석탄발전소에 혼소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2017년에 영동 화력 발전소 1호기(125Mw)가 국내 최초·최대규모의 Wood pellet 전소발전소로 전환한 것을 계기로 바이오매스 전소발전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 바이오매스 연료생산량을 늘리거나 그에 맞춰 바이오매스 발전설비를 증설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바이오매스 연료생산량은 증대되지 않는 상황에서 바이오매스 발전소 건설계획이 수립되어 있는 것이며 바이오매스 발전소가 계획대로 건설 가동된다면 현재처럼 Wood pellet을 해외에서 대부분 수입하게 되어 국부유출의 원인이 되는 상황이 발생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발전소 계획에 준하여 국내 바이오매스 연료 생산량을 늘리거나 국내에서 바이오매스 생산량이 증가하는 것과 일정부문 비례하게 바이오매스 발전 설비 증설을 허가해야 한다.
우리나라 바이오에너지 발전 현황은 어떠한가? KPX(2017) 전력거래소 자료에 의하면 국내에 바이오매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3Mw 이상의 발전소는 동해바이오, 전주페이퍼, 석문에너지, 당진바이오 등으로 2015년 말 기준 총 설비용량은 186.7Mw이며 한국전력 발전자회사 동서발전의 동해바이오(30Mw)가 바이오매스 연료를 사용하는 발전사업의 대표적인 사례였는데 민간기업인 GS EPS가 100Mw급 발전사업에 진출하면서 바이오매스 발전 시장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기존에 준공되어 운영되는 바이오매스 발전소는 Wood pellet을 사용하기 보다는 우드칩이나 Bio-SRF를 주 연료로 사용하고 있어 이들 바이오매스 발전회사의 연료사용량과 Wood pellet 사용량이 일치한다고 볼 수 없고 Wood pellet의 대규모 사용처는 주요 석탄혼소 및 Wood pellet 전소발전소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inisti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The Fourth Basic Plan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p.5, (2014). 

  2. The State Affairs Planning Advisory Committee, The five-year policy for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of state affairs, pp.67-95, (2017). 

  3.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Mandatory New and Renewable Energy Supply System and Guidelines for Management and Operation of Fuel Mixed Compulsory System. No.2016-171, pp.1-6, (2017). 

  4.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NARS), Current Status of New&Renewable Energy Development and Improvement Measures, Parliamentary audit corrective and Processing result evaluation report 31, pp.2-36, (2016). 

  5.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orestry Production and Trade(2014-2016 wood pellets import Quantity). Available from: http://www.fao.org/faostat/en/#data/, 2 (accessed Oct. 2017) 

  6. Korea Forest Service(KFS), 2016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No.46, pp.267-324, (2016). 

  7.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Korea Energy Agency(KEA) New&Renewable Energy Center(NREC), 2015 New&Renewable Energy Supply Statistics, No.337001, pp.9-50, (2016a). 

  8.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Korea Energy Agency(KEA) New&Renewable Energy Center(NREC), 2015 New&Renewable Energy Industry Statistics, No.337004, pp.9-50, (2016b). 

  9. KOREA POWER EXCHANGE(KPX), Electricity Market Statistics for 2016,(2017). 

  10. D. H. Choi, S. Y. Lee, Y. M. Son, G. S. Park, "Economic feasibility and introduction strategy of domestic bio-energy",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No.4(1), pp.37-46, (2005). 

  11. G. Y. Seo, "Analysis of Cogeneration Operation using Woodchip Biomass And economical comparison of gasification power generation",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Department of Energy Environmental Policy Technology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pp.14-38, (2013). 

  12. C. Kim, "A model for optimal investment on overseas biomass power plant", Department of Climate Change Cooperation Department Climate Change Engineering Graduate School, Sejong University, pp.33-149, (2013). 

  13. H. G. Kang, J. S. Lee, C. Y. Oh, "Energy use case of woody biomass (centering on cogeneration)",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No.16(3), pp.20-27, (2008). 

  14. D. S. Shin, G. S. Han, "Analysis of Production Cost of Wood Pellet in Korea", Department of Forest Products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p.11, (2012). 

  15. S. J. Kim, K. S. Nam, J. S. Lee, S. S. Seo, K. H. Lee, K. S. Yu, "Evaluation of Economic Feasibility of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Waste Woody Biomass in a CFBC Plant",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No.48(1) pp.39-44, (2010). 

  16. S. Y. Yang, "Study on Optimum Mixing Method of Wood Pellets in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CFBC)", Department of Power Generation Combustio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pp.16-34. (2014). 

  17.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KEEI), weekly WORLD ENERGY MARKET INSIGHT, No. 17-25, pp.3-30, (2017). 

  18. HAWKINS WRIGHT, The Outlook for Wood Pellets-First Quarter 2017, Available from: https://www.hawkins wright.com/bioenergy/forest-energy, (accessed Nov. 2017) 

  19. 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WORLD ENERGY STATISTICS : BEYOND 2020 DOCUMENTATION, 2014 edition, Available from: https://www.iea.org/media/statistics/(accessed Sep. 2017) 

  20.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EIA), Monthly Energy Review, Available from: https://www.eia.gov/totalenergy/data/monthly (accessed Sep. 2017) 

  21. Korea Forest Service.(KFS), Sustainable Timber Comprehensive Plan[2015-2019], pp.3-37, (2014). 

  22. EUROPEAN BIOMASS ASSOCIATION (AEBIOM), Statistical report(20TH October. 2016), Available from: http://epc.aebiom.org /about-pellets, (accessed Oct. 2017) 

  23. 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Wood-Pellet-Study final, Available from: https://www.iea.org/media/statistics, (accessed Oct.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