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수생태계 환경 평가 지표 활용: 부영양화 저수지 수질 평가를 위한 윤충류 기능성 그룹의 적용
Zooplankton Community as an Indicator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of Aquatic Ecosystem: Application of Rotifer Functional Groups for Evaluating Water Quality in Eutrophic Reservoirs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6 no.6, 2017년, pp.404 - 417  

오혜지 (경희대학교 환경학및환경공학과) ,  장광현 (경희대학교 환경학및환경공학과) ,  서동일 (경희대학교 환경학및환경공학과) ,  남귀숙 (한국농어촌공사) ,  이의행 (한국농어촌공사) ,  정현기 (국립환경과학원) ,  윤주덕 (국립생태원) ,  오종민 (경희대학교 환경학및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수생태계 환경 지표로써 윤충류 군집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부영양화 진행 정도에 따른 윤충류 군집의 반응 양상을 분석하였다. 윤충류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와 수질과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지리상 인접하게 위치해 있으나 수질 항목 및 부영양화 정도가 서로 다른 충청남도 소재의 전대저수지와 초대저수지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두 저수지에서 2013년 4월부터 11월까지 수질 및 윤충류 군집의 월별 조사를 실시하여 상관관계 분석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윤충류 군집은 종 조성과 기능성 그룹 조성으로 나누어 적용하였으며, 기능성 그룹의 경우 섭식 성향을 대변할 수 있는 트로피(trophi)의 구조와 형태 및 개체 크기, 생태를 고려하여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종을 기반으로 한 조성의 경우 일관적인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기능성 그룹 조성의 경우 부영양화 정도에 따른 그룹 특이적 증감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생태계, 특히 과영양 상태의 저수지에 대한 환경지표로써 윤충류 기능성 그룹 조성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제한된 연구 지점에서의 현장 결과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 향후 윤충류 기능성 그룹의 섭식 성향에 따른 환경 적응과 관련한 추가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윤충류 군집을 수생태계 내 다양한 변화의 모니터링과 평가 및 비교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response patterns of rotifer community to eutrophic state, and estimated the applicability of rotifer community as an environmental indicator for highly eutrophicated reservoirs. In order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among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and the wat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영양화 저수지 환경 평가 지표로써 윤충류 군집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부영양화 정도가 다른 두 저수지를 선정, 종수준의 군집 지표와 기능성 그룹의 군집 지표의 계절 변화를 비교하여 기능성 그룹 적용의 장점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수생태계 환경 지표로써 윤충류 군집(종 및 기능성 그룹)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부영양화 정도가 다른 전대저수지와 초대저수지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윤충류의 트로피는 그 형태와 구조에 따라 상이한 섭식 성향을 나타내기 때문에 기능성 그룹으로의 분류 기준으로 적합하며, 이러한 분류의 기능성 그룹은 윤충류 군집 내 생태 길드를 대변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윤충류 군집(종 및 기능성 그룹)의 시, 공간 변화를 동시에 분석하기 위해 부영양화가 진행된 두 저수지를 선정해 수질 및 부영양화 정도와 군집 조성의 계절 변화를 분석하여 그 경향성을 제시하였다. 윤충류 군집과 환경과의 상관관계 및 기능성그룹의 생물지표로써 적용과 해 석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향후 윤충류 기능성 그룹의 섭식 성향과 환경 요인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세부적인 생태적 연구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물학적 수질평가지표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생물지표는 무엇인가? 이제까지 제시된 생물학적 수질평가지표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생물지표(bio-indicators)로는 부착조류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이 있다. 이들 군집은 서식 환경의 오염에 대해 민감하거나, 내성 또는 적응력이 뛰어난 종을 포함하고 있어, 이들의 종조성을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환경 지표로 사용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수생태계 환경 평가 중 지수 평가방법의 단점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수생태계 환경 평가는 영양염 농도 및 투명도 등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방법과 부영양화의 발생 여부 및 진행 정도를 0에서부터 100사이의 단일의 연속적인 수치로 표시하는 지수 평가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하지만 수질 항목을 이용한 지수 평가는 제한된 항목으로 측정 당시의 수질 상태만을 나타내는 이화학적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Kim & Oh 2007).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수자원의 건강성 유지 및 회복을 위한 관리를 목표로 2006년 수생태계에 중점을 둔 물환경관리 기본계획이 수립되었고,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Noh et al.
저수지의 부영양화는 저수지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축조된 저수지는 국내 약 18,800개에 달하며, 이들 대부분은 1990년대 이후 축산업, 농업과 같은 인위적인 활동에 기인한 부영양화로 인해 다양한 수질 문제를 겪고 있다(Kim & Hwang 2004). 저수지의 부영양화는 비정상적인 일차 생산력의 증가와 남조세균 우점을 야기해 녹조 현상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이러한 수질 문제는 생태계 교란 등 서식 생물상에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저수지가 가지는 다양한 자원의 가치를 하락시킬 수 있다(Kim & Oh 2007). 따라서, 농업용수 공급원의 수자원 관리는 물론, 지역의 경관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서 저수지의 수질오염 정도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환경을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hang KH, Doi H, Imai H, Gunji F, Nakano S. 2008a. Longitudinal changes in zooplankton distribution below a reservoir outfall with reference to river planktivory. Limnology. 9: 125-133. 

  2. Chang KH, Nagata T, Sakamoto M, Hanazato T. 2008b. Day and night vertical distributions of Rotiferan and Crustacean zooplankton in Lake Suwa. Journal of Freshwater Ecology. 23(1) : 165-168. 

  3. Clarke KR, Warwick RM. 2001. Changes in marine communities: 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lymouth (UK); Primer-E. 

  4. Cruz-Uribe K. 1988. The use and meaning of species diversity and richness in archaeological fauna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15(2): 179-196. 

  5. Doi H, Chang KH, Ando T, Imai H, Nakano S, Kajimoto A, Katano I. 2008. Drifting plankton from a reservoir subsidize downstream food webs and alter community structure. Oecologia. 156: 363-371. 

  6. Dumont HJ. 1983. Biogeography of rotifers. Hydrobiologia. 104: 19-30. 

  7. Finni T, Laurila S, Laakkonen S. 2001. The history of eutrophication in the sea area of Helsinki in the 20th century: long-term analysis of plankton assemblages. AMBIO: A Journal of the Human Environment. 30(4) : 264-271. 

  8. Gannon JE, Stemberger RS. 1978. Zooplankton (especially crustaceans and rotifers) as indicators of water quality. Trans.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97: 16-35. 

  9. Gutkowska A, Paturej E, Kowalska E. 2013. Rotifer trophic state indices as ecosystem indicators in brackish coastal waters. Oceanologia. 55: 887-899. 

  10. Han DH, Choi JY. 2009. A Study on the Water Quality Standards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Water Environment. KEI. Basic research report: 1-140. [Korean Literature] 

  11. Heino J, Mykra H, Mamalainen H, Arovita J, Muotka T. 2007. Responses of taxonomic distinctness and species diversity indices to anthropogenic impacts and natural environmental gradients in stream macroinvertebrates. Freshwater Biology. 52: 1846-1861. 

  12. Heino J, Peckarsky B. 2014. Integrating behavioral, population and large-scale approaches for understanding stream insect communities. Current Opinion in Insect Science. 2: 7-13. 

  13. Hillbricht-Ilkowska A. 1983. Response of Planktonic Rotifers to the Eutrophication Process and to the Autumnal Shift of Blooms in Lake Biwa, Japan. Japanese Journal of Limnology. 44(2) : 93-106. 

  14. Hulot FD, Lacroix G, Lescher-Moutoue F, Loreau M. 2000. Functional diversity governs ecosystem response to nutrient enrichment. Nature. 405: 340-344. 

  15. Jo KH. 2010. Water Quality Assessment in Small Streams by Epilithic Diatoms and DAIpo.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 36(2): 148-154. [Korean Literature] 

  16. Koste W, Shiel RJ. 1987. Rotifera from Australian inland waters. II. Epiphanidae and Brachionidae (Rotifera: Monogononta). Invertebrate Systematics. 1(7): 949-1021. 

  17. Kim HS, Hwang SJ. 2004. Analysis of eutrophication based on chlorophyll-a, depth and limnological characteristics in Korean reservoir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7(2): 213-226. [Korean Literature] 

  18. Kim JG, Oh SC. 2007.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evaluation of eutrophication for reservoirs in Kunsan.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6(3): 357-367. 

  19. Kim ES, Sim KB, Kim SD, Choi HI. 2012. Water Quality Assessment for Reservoirs using the Korean Trophic State Index.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8(1) : 78-83. [Korean Literature] 

  20. Kim SJ, Song HJ, Park TJ, Hwang MY, Cho HS, Song KD, Lee HJ, Kim YS. 2015. Survey on Lake Environments in the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s: Based on 10 lakes such as Hadong and Sangsa.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1(6) : 665-679. [Korean Literature] 

  21.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Measurement Data for Water Quality [Intertnet]. Nation law information center; [Cited 2016 Nov 10]. Available from: http://Water.nier.go.kr 

  22. Lee SM, Park GS, Yoon SJ, Kang YS, Oh JH. 2008. Development of Ecotoxicological Standard Methods using Early Life Stage of Marine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and Benthic Copepod Tigriopus japonicu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3(2) : 129-139. [Korean Literature] 

  23. Marba N, Krause-Jensen D, Alcoverro T, Birk S, Pedersen A, Neto JM, Orfanidis S, Garmendia JM, Muxika I, Borja A, Dencheva K, Duarte CM. 2013. Diversity of European seagrass indicators: patterns within and across regions. Hydrobiologia. 704: 265-278. 

  24. Minakshi NG, Madhuri KP. 2013. Survey of rotifers to evaluate the water quality of the river Gadhi and its reservoir. Ecology Environment and Conservation. 19: 417-423. 

  25. Noh SY, Choi HL, Park JY, Hwang SJ, Kim SH, Lee JA. 2015.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1(3):319-327. [Korean Literature] 

  26. Oh HJ, Jeong HG, Nam GS, Oda Y, Dai W, Lee EH, Kong DS, Hwang SJ, Chang KH. 2017. Comparison of taxon-based and trophi-based response patterns of rotifer community to water quality: applicability of the rotifer functional group as an indicator of water quality. Animal Cells and Systems. 1-8. 

  27. Obertegger U, Smith HA, Flaim G, Wallace RL. 2011. Using the guild ratio to characterize pelagic rotifer communities. Hydrobiologia. 662(1): 157-162. 

  28. Ostojic AM. 2000. Effect of eutrophication on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zooplankton in the Grosnica Reservoir (Serbia, Yugoslavia). Hydrobiologia. 436(1) : 171-178. 

  29. Pan Y, Hughes RM, Herlihy AT, Kaufmann PR. 2012. Non-wadeable river bioassessment: spatial variation of benthic diatom assemblages in Pacific Northwest rivers, USA. Hydrobiologia. 684: 241-260. 

  30. R Development Core Team. 2008.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Intertnet]. Nation law information center; [Cited 2016 Nov 10].. Available from: http://www.R-project.org 

  31. Saksena D. 1987. Rotifers as indicators of water quality. Acta Hydrochimica et Hydrobiologica. 15: 481-485. 

  32. Sladecek V. 1983. Rotifers as indicators of water quality. Hydrobiologia. 100: 169-201. 

  33. Sorensen MV. 2002. On the evolution and morphology of the rotiferan trophi, with a cladistic analysis of Rotifera. Journal of Zoological Systematics and Evoultionary Research. 40: 129-154. 

  34. Wallace RL, Snell RW, Ricci C, Nogrady T. 2006. Rotifera: biology, ecology and systematics, Leiden: Backhuys Publishers. 1(2). 

  35. Wu L, Zhou M, Shen Z, Cui Y, Feng W. 2017.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water quality in Chinese eutrophic river. Applied Ecology and Environmental Research. 15(3): 1417-1442. 

  36. Yoshida T, Urabe J, Elser JJ. 2003. Assessment of 'top-down' and 'bottom-up' forces as determinants of rotifer distribution among lakes in Ontario, Canada. Ecological Research. 18: 639-650. 

  37. Zhang J, Shi P, Zhou YT, Tang XD, Qian JM, Huang PS. 2013.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rotifer communities related to water quality in the YONGJIANG RIVER, NINGBO OF ZHEJIANG, CHINA. Vie et milieu. 63(2): 81-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