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재 역할로써의 도시 내 공원녹지의 유형별 접근성 연구 - 울산광역시 중구와 남구를 대상으로 -
A Study on Accessibility of Disaster-prevention Green Space for Earthquake Avoidance - Focused on Jung-gu and Nam-gu Office, Ulsan Metropolitan City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6, 2017년, pp.90 - 97  

차오린썬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장종펑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시아티엔티엔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강태호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방재공원을 주제로 하는 도시 내 응급대피 장소의 건설은 국내외 도시재해 대책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방재 역할을 하는 도시 내 공원녹지의 접근성은 방재 서비스 효과와도 직결된다. 본 연구는 울산시 중구와 남구를 대상으로 도로망과 인구분포 및 공원녹지 지리정보와 ArcGIS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3가지 유형의 방재공원 접근성을 분석하고, 서비스 면적율과 서비스 인구율 등 2개 지표를 통하여 울산시 방재공원녹지의 서비스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긴급대피 공원녹지(5분)와 중심대피 공원녹지의 접근성은 양호하지만, 긴급대피 공원녹지(3분)와 임시대피공원녹지의 서비스구역 면적과 인구는 전체의 60% 이하로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시 방재공원녹지의 전체적인 서비스 효과는 이상적이 못하기 때문에 방재공원녹지 체계에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truction of urban emergency shelters based on disaster-prevention green space is an important part of an urban disaster response plan. The accessibility of disaster-prevention green space is directly related to the disaster prevention service effect of green space. Taking the Jung-gu and Nam-gu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ArcGIS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바탕으로 울산시 방재공원녹지의 접근성과 서비스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도시 방재공원 계획 시 참고 자료로 제공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녹지 서비스의 수급비용과 지진 발생 시 교통 혼잡 등을 고려하지 않아 추후 보완 연구가 필요하다.
  • 본 연구는 울산시 중구와 남구를 대상으로 도시 도로망의 벡터 데이터와 인구 분포 및 공원녹지현황을 바탕으로 ArcGIS 지리정보 수집, 데이터 처리와 시각화 등의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방재공원녹지의 공간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방재공원녹지의 공간 분포 최적화를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울산시 중구와 남구를 대상으로 도시 도로망의 벡터 데이터와 인구 분포 및 공원녹지현황을 바탕으로 ArcGIS 지리정보 수집, 데이터 처리와 시각화 등의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방재공원녹지의 공간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방재공원녹지의 공간 분포 최적화를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간 접근성이란? 공간 접근성이란 공간 중 임의의 목적지에 도착하는 난이도를 말한다(Nicholls, 2001). 자원이나 서비스는 유한하고, 공간 분포가 균등하지 않은 상황에서 접근성은 항상 수요와 공급의 공간 분배 관계에 달려 있다.
수량과 공간 분포의 측면에서 울산시 방재공원녹지의 서비스 효과성은 어떠한가? 첫째, 울산시 방재공원녹지는 총체적으로 수량이 부족하고, 공간 분포가 불균등하여 접근성과 서비스 효과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긴급대피 공원녹지(3분)와 임시대피 공원녹지의 서비스구역이 겹친 인구가 총인구의 60% 이하로 나타나, 주민들의 재해 응급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다. 방재공원녹지의 수량을 대폭 늘리고 분포의 개선이 필요하다.
도시 내 공원녹지의 재해가 일어났을 때의 역할은? 도시 내 공원녹지는 특성상 양호한 지진 대피 기능을 가지고 있는 중요한 피난 장소인 동시에 유기적으로 다른 피난 장소 또는 학교 운동장이나 주차장과 결합하여 도시 전체 재해 대책 능력을 향상시킨다(Chu et al., 2008; Cao and Kang,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ao, L. S. and T. H. Kang(2017) A study on the suitability impact factors of a comprehensive park as an emergency shelter for earthquak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5(4): 62-70. 

  2. Chen, C. and C. L. Xiu(2016) Accessibility of disaster prevention green space in Shenyang based on betweenness centrality. Chinese Landscape Architecture 3: 122-127. 

  3. Chu, J. Y., Y. P. Su and R. X. Liu(2008) The integrated design principle of urban disaster prevention parks. World Earthquake Engineering 24(1): 99-102. 

  4. Handy, S. L. and D. A. Niemeier(1997) Measuring accessibility: An exploration of issues and alternatives. Environment and Planning 29: 1175-1194. 

  5. Hansen, W. G.(1959) How accessibility shapes land use.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25(2): 73-76. 

  6. Levinson, D. M.(1998) Accessibility and the journey to work.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6(1): 11-21. 

  7. Li, J. Q.(2007) City disaster-prevention green planning research. Chinese Landscape Architecture 7: 16-22. 

  8. Li, P. H. and Y. Q. Lu(2005) Metropolitan accessibility: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progress in the west. Urban Problems 1: 69-73. 

  9. Li, X. M. and C. F. Liu(2009) Accessibility and service of Shenyang's urban parks by network analysis. Acta Ecologica Sinica 29(3): 1554-1562. 

  10. Liu, H. Y. and Z. Wu(2006) A study on the planning of urban calamity prevention park based on GIS-take Xi'an city for example." Planners 22(10): 55-58. 

  11. Liu, S. and X. Zhu(2010) An integrated GIS approach to accessibility analysis. Transactions in GIS 8(1): 45-62. 

  12. Nicholls, S.(2001) Measuring the accessibility and equity of public parks: A case study using GIS. Managing Leisure 6(4): 201-219. 

  13. Tang, T.(2014) The Research on Disaster-Shelter Suitability Assessment and Optimized Layout for Urban Green Space. Master's Dissertation, Fujian Agriculture and Forestry University. China. 

  14. Wheeler, D. C. and M. E. O'Kelly(1999) Network topology and city accessibility of the commercial internet. The Professional Geographer 51(3): 327-339. 

  15. Yohei, S. and Y. Shen(2007) A study of disaster prevention plan on city green space in Japan. Chinese Landscape Architecture 23(7): 6-12. 

  16. Yu, Y. Z.(2014) Spatial Layout Analysis of Urban Park Green Space for Earthquake Resistance and Hazardous Reduction based on Disaster Accessibility. Ph.D. Dissertation, Nanjing Forestry University, China. 

  17. Zhang, C. Q., B. Zhang and W. H. Li(2012)Analysis of the disaster prevention and reduction functions of urban green spaces in Beijing city. Geographical Research 31(12): 2301-23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