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거수의 건강성 평가체계 정립을 위한 위험 지표인자의 검증
Determination of Risk Indicators for Establishing the Health Evaluation System of Old Tree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6 no.4, 2018년, pp.49 - 60  

장종펑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시아티엔티엔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강호철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  강태호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노거수에 대한 보호 및 관리 강화는 유적의 보존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는 노거수의 건강성 평가체계정립을 위한 위험 지표인자를 검증하여 위험에 처해 있는 노거수의 보호 및 관리에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지표와 상대적 중요도를 토대로 100점을 기준으로 변환점수를 계산하여 평가점수표를 작성하였고, 평가 점수표의 합계에 따라 5등급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실증을 위해 양동마을의 노거수를 사례대상으로 현장조사와 실내 측정을 통해 각 지표의 실제 위험도를 평가하고, 위험등급을 산출하였다. 양동마을 내 노거수의 건강성 평가 결과는 약 70%가 C등급으로 나타나 세심한 보호 관리가 필요하다. 연구결과, 5등급 점수표에 의한 등급별 판단 기준 설정 및 건강성 평가체계 수립은 양동마을의 실제상황을 반영할 수 있어 실용성과 과학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old trees is important in the context of heritage protection and landscape 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isk indicators of the health evaluation system for the old trees, and to provide methods for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th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3), Seong and Si(2014)는 연구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최소한 30개체 수 이상을 조사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양동마을 노거수의 건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비율층화표집 방법으로 향나무 12주, 회화나무 9주, 팽나무 9주 총 30주를 사례 대상으로 건강성을 평가하였다. 대상나무의 위치 및 현황은 Figure 2와 같다.
  • 지표인자의 검증 과정이 정확하지 않으면 후속 연구가 계속 진행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도출된 지표인자들에 대한 정확성, 효용성, 타당성, 활용성 등의 원칙에 따라 선행 연구의 표준을 참고하여 각 평가 지표의 측정 방법을 확정하고, 정확한 평가 점수 및 등급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거수 (老巨樹) 의 노쇠 및 고사의 원인은 무엇인가? 노거수 (老巨樹) 의 노쇠 및 고사는 내인과 외인이 같이 작용한 결과로 외인은 자연적 원인과 인위적 원인으로 나눌 수 있다. 내인은 수령이 백년 이상 오랜 세월을 걸쳐 작용하여 활력도가 낮아지고 수세도 약해진다. 또한, 수형이 큰 노거수는 선천적으로 자연적 원인인 병해충, 폭풍우, 토양 침식 등에 대한 저항력이 크지만 노쇠화에 따라 생육에 위험을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노거수의 건강성 평가점수표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다음으로 가중치와 변환점수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노거수의 건강성 평가점수표를 개발하였다. 종합점수는 100점을 기준으로 하였고, 각 평가지표는 같은 간격의 평가구간(매우 건강, 건강, 보통, 불량, 매우 불량) 으로 설정하여 건강의 위험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점수표를 작성하였다(Table 2 참조). 따라서 노거수에 대한 건강성을 평가할 때 최종적으로 얻은 평가점수는 5등급으로 구분할 수 있다(Table 3 참조).
본 연구에서 노거수의 건강성 평가 후보 지표는 어떻게 도출하였는가? 노거수의 건강성 평가 후보 지표 선정은 선행 연구를 근거하여 도출하였으며, 선정된 지표를 토대로 하여 합리적인 평가체계와 모형을 수립을 위해 계량화 점수표를 만들고, 정확한 방법을 통해 각 지표를 측정하고 데이터를 수집한다. 대분야는 Cho (2010)가 선정한 지상부 상태, 생육환경, 관리사항, 토양분석, 병해충의 5개 항목 모형을 재수정하여 적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Ann, J. S.(2011)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for Historic Gardens Preservation Condition by Applying Delphi Technique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Ph. D.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SKKU). Korea. 안진성(2011) 델파이기법(Delphi)과 계층적의사결정방법(AHP)의적용을통한전통정원의보존상태평가지표 개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Bakken, S. R.(1986) Tree Hazard Control Program: Guidelines and Standards for the California Department of Parks and Recreation. The Resources Agency. Sacramento. CA. 

  3. Boone, R. and R. Westwood(2006) An assessment of tree health and trace element accumulation near a coal fired generating station, Manitoba, Canada[J]. Environmental Minitoring and Assessment 121: 151-172. 

  4. Cho, M. C.(2010) A Study on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Health Index for Old and Big Trees. Master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orea. 조명철(2010) 노거수의건강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Cho, S. J.(2013) Management Plan of Zelkova serrata according to Inside Diagnosis of Real Condition and Growing Environment Analysis. Master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Korea. 조승진 (2013)느티나무보호수생육환경조사와내부실태진단에따른관리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13) A Report on the Investigation of the Real State of Ancient Trees.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A). 

  7.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13) A Report on the Investigation of the Real State of Ancient Trees.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CHA). 문화재청(2013) 천연기념물(노거수-식물) 실태조사보고서. 문화재청. 

  8. Dong, D. and Y. H. He(2008) Investigation on resources of ancient and famous trees in JiuhuaMountain Scenic Resort of Anhui Province. Journal of Anhui Agricultural University 35(2): 191-195. 

  9. Gall, M. D., J. P. Gall and W. Borg(2003) Educational Research(7th ed.). New York: Longman. 

  10. Gary, W. H., E. Perry and R. Evens(1995) Validation of a tree failure evaluation system. Journal of Arboriculture 21(5): 233-234. 

  11. Jung, J. S.(2008) A Study on the Surgery Condition and Conser-vation Management Measures in Old Trees. Ph.D.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Korea. 정종수(2008) 노거수 외과수술 실태 및 보존관리 방안.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Kang, B. G.(2014) The Assessment of Tree Risk of Mulgun-ri Forest (Monument No. 150) of Namhae in Korea. Master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강봉권(2014) 천연기념물남해물건리숲의수목위험도 평가.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Kang, H. C.(2002) An evaluation of the vitality and environmental of old tree on the rural area in Jinju.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4): 27-36. 강호철(2002) 농촌지역노거수의 생장활력도와주변환경에대한평가(1): 진주시지역을중심으로. 한국정원학회지 20(4): 27-36. 

  14. Kim, S. H. and S. H. Kim(1995) A study on the protection trees concerning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citizen's consciousness in Pusan. Depri. 18(1): 121-140. 김승환, 김순희(1995) 부산시보호수의현황및주민의식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18(1): 121-140. 

  15. Kim, Y. S., W. H. Lim, J. W. Ra and Y. H. Yoon(1996) Study on the protection and practical use of big and old tre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4(2): 1-17. 김용수, 윤영활, 임원현, 나정화(1996) 노거수목의보호와활용에관한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4(2): 1-17. 

  16. Lee, K. J.(2015) Arbor Medicine. Seoul University Press. 이경준(2015) 수목의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7. Li, C. M., S. F. Weng and R. J. Pang(2010) Tree health assessment of fourteen landscape tree species in Guangzhou[J]. Journal of Northwest Forestry University 25(2): 203-207. 

  18. Lin, Y. M., Y. M. Zeng, S. H. Chen and J. T. He(2003) Current situation and protection of ancient and famous trees in Liandu[J]. Journal of Zhejiang Forestry Science & Technology 23(5): 69-73. 

  19. Liu, S. S. and Y. C. Ye(2008) A preliminary study on the healthy condition of ancient and famous trees in Dongguan, Guangdong. Landscape Plants Protection 2008(1): 55-56. 

  20. Liu, Y.(2013) Assessment on Ancient Trees Health on Ba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Beijing. Master's Thesis, Beijing Forestry University. China. 

  21. Martinis, R., L. V. Socoo and L. Sambuelli(2004) Tomographie ultrasonorepour les arbressur pied Ann[J]. Forestry Science 61: 157-162. 

  22. Mattheck, C. and H. Breloer(1993) The Body Language of Trees: A Handbook for Failure Analysis[M]. London: Stationery Office, 1993:203. 

  23. Mi, F., J. Y. Li, D. H. Zhang and N. Li(2006) Quantitative estimation of forest tree loss in Beijing: Discussion on the computation method of measuring the loss of antique and rare trees' scientific culture values. Journal of Beijing Forestry University 28(2): 141-148. 

  24. Michael, E. S.(1987) Tree health management: Evaluating trees for hazard[J]. Journal of Arboriculture 13(12): 285-293. 

  25. Paine, L. A.(1978) Coding hazardous tree failures for a data management system: Note PSW-29 R. Pacific Southwest Forest Range and Experiment Station, US Forest Service. 

  26. Paul, B., F. K. David and J. S. Brain(1985)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ree health in New York city[J]. Journal of Arboriculture 11(6): 185-189. 

  27. Qian, Q. L.(2002) Discussion on index of tree flush and its application in urban ecological environment quality assessment-taking JILIN city as an example[J]. Natural Sciences Journal of Harbin Normal University 18(1): 105-108. 

  28. Seo, S. B.(2016) A Study on Assessment of Potential Hazards of Trees of Sanglim Forest in Hamyang, Korea. Master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orea. 서석봉(2016) 함양상림수목의잠재위험요인평가에관한연구. 경상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29. Seong, T. J. and G. J. Si(2014) Research Methodology. Hakjisa. 성태제. 시기자(2014) 연구방법론. 학지사. 

  30. Shin, H. S.(2017) Study on the Growth Condition and Potential Risks of Old Trees. Ph. D.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orea. 신현수(2017) 노거수의생육현황및잠재적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Su, Z. Y.(2003) Discussion of methods to protect ancient trees and famous trees. Journal of Southwest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2): 67-70. 

  32. USDA Forest Service(1992) Urban Tree Risk Management. USDA. 

  33. Wang, X. H.(2011) Ecological Monitoring and Assessment on the Ancient Trees in Beijing. Master's Thesis, Beijing Forestry University. China. 

  34. Weng, S. F., C. M. Li and R. J. Pang(2009) Establishment of landscaping tree health assessment model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J]. Journal of Northwest Forestry University 24(1): 177-181. 

  35. Xia, T. T. and T. H. Kang(2017) The evaluation indexes' selection of the degree of danger from old tre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5(4): 54-61. 시아티엔티엔, 강태호(2017a) 노거수 위험도 평가지표 선정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5(4): 54-61. 

  36. Xia, T. T. and T. H. Kang(2017)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health evaluation indicators of old-growth and giant tre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5(6): 149-159. 시아티엔티엔, 강태호(2017b) 노거수의건강위험도평가요소간상대적중요도 및 우선순위. 한국조경학회지 45(6): 149-159. 

  37. Xiong, H. P.(1999) Study of the rejuvenation of the ancient and famous trees in south. Journal of Wuhan Urban Construction Institute 16(2): 6-10. 

  38. Xu, H.(2013)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valuation System and Improvement Plan for Effective Management of World Cultural Heritage. Ph. D.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Korea. 서환(2013) 세계문화유산의 효과적 관리를 위한 평가체계의 구축 및 개선방안연구: 경주역사유적지구를중심으로. 동국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39. Yang, Y. B.(2006) Relationship between tree health and garden plant diversity in Street Gardens. Forestry Science &Technology 31(4): 64-65. 

  40. Ye, Y. H., Y. N. Yu, S. L. Peng and X. Y. Shen(2009) Evaluation of tree health in Songshan Park, Macao[J]. Journal of Tropical and Subtropical Botany 17(2): 131-136. 

  41. Yoo, S. H.(2001) Soil Dictionary. Seoul University Press. 류순호(2001) 토양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42. Zhao, J. H.(2014) A preliminary study on the cause of decay and death of ancient tree. Journal of Green Science and Technology 4: 119-120. 

  43. Zhu, L. H., Y. P. Tao, H. Zeng and X. C. Wang(2008) The growth condition and environment of old Pinus tablaeformis in Dongling, Shenyang[J]. Shandong Forestry Science and Technology 2008(3): 34-35. 

  44. http://soil.rda.go.kr 

  45. http://www.baike.com/wiki 

  46. http://www.bjyl.gov.cn 

  47. https://baike.baidu.com/item/李克特量表 

  48. www.kma.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