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골목정원 구성요소의 만족도 분석 - 대구광역시 비산 2·3동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Satisfaction on Alley Garden's Components through Urban Regeneration - Focused on Bisan 2·3-dong in Daegu Metropolitan City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6, 2017년, pp.137 - 148  

장철규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황명란 (경북대학교 농업생명융합대학원 환경조경학전공) ,  신재윤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바람직한 도시재생 방안으로서 지역 주민의 의견을 수렴 분석하고, 골목환경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대구광역시 비산 2 3동 골목정원 조성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골목정원 구성요소의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에서는 '조명시설 설치', '하수 및 쓰레기 처리', 'CCTV 설치' 등 안전하고 청결한 환경과 관련된 항목들이 높은 중요도 값을 가지며, '조명시설 설치', '초화류의 양', '초화류의 종류' 등 주거환경 개선사업의 시행과 골목정원 조성으로 개선된 항목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IPA 분석결과, '빈집 정비', '벤치, 파고라 등 휴게시설', '주민교류 공간', '공용주차장' 등의 항목들이 중요도는 높지만 만족도가 낮아 중점개선이 필요한 항목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요인분석을 통해서 골목정원 구성요소들이 '안전 및 청결성', '녹음성', '미관정비', '교류 및 편의시설' 등 4개 요인으로 유형화되었다. 이를 토대로 4개 요인이 전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한 결과, 4개의 요인 모두 전체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며, '미관정비'와 '안전 및 청결성'이 각각 0.274, 0.235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골목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주민교류 공간 및 휴게시설 설치가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골목환경의 전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조형물 설치, 벽화 그리기 등과 같은 활동에 주민 참여를 유도하고, 안전벨, 범죄예방, 환경설계 등의 도입과 골목미화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opinions of residents for desirable urban regeneration and suggested an improvement plan for alley environment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 residents living in Alley Garden of Bisan 2,3-dong, Daegu Metropolitan City. In the analysis of the importanc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골목환경 개선하고, 지역 공동체를 회복하기 위한 도시재생사업인 골목정원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기 위해 골목 및 정원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았다. 골목은 사전적 의미로 큰 길에서 들어가 동네 안을 이리저리 통하는 좁은 길로 정의하고 있으며, 사회적 의미로는 주민들의 다양한 만남과 일상생활이 전개되는 교류의 공간, 통행이라는 고유의 특성을 넘어선 놀이의 장, 주민 공동체의 영역성을 가지는 소유의 공간 등으로 정의하고 있다(Min, 2011).
  •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 구성원들의 의사를 반영하여 도시재생 방향을 모색한 연구로서 지역 구성원에 의해 조성된 골목정원이 골목환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골목정원 구성요소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고, 골목 환경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구성요인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골목환경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골목 정원 구성요소의 중요도 및 만족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IPA분석1)을 수행하여 더 나은 골목환경 조성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사한 골목정원 구성요소들을 대표요인으로 통합하여 골목환경 전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공공주도의 도시재생사업이 아닌 지역 구성원들에 의해 조성되어진 골목정원에 대하여 주민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골목정원 구성요소의 중요도 및 만족도를 평가하고, 골목 환경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골목환경 개선 시 효율적인 개선방안 제시 및 타 지역의 도시재생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골목정원이 조성된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 2․3동 지역에서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 분석하여 골목환경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 구성원들의 의사를 반영하여 도시재생 방향을 모색한 연구로서 지역 구성원에 의해 조성된 골목정원이 골목환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골목정원 구성요소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고, 골목 환경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구성요인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의 외형적 발전은 어떻게 진행되었나 ?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과 산업화로 인해 도시의 인구집중 현상이 가속화되고, 도시의 양적 팽창과 외형적 발전이 이루어졌다. 도시의 외형적 발전은 도시외곽의 신시가지 개발을 중심으로 진행되면서, 기존 도심지역은 기반시설의 노후화, 교통 혼잡, 환경오염 등 많은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Lee and Dong, 2005; Choi, 2008; Lee and Shim, 2012; Ha et al., 2013).
도시재생이 등장한 배경은 ? 기존 재개발 사업과 같이 지역 정체성을 반영하지 못한 채 물리적 환경개선에만 중점을 둔 도시정비 사업의 대안으로 등장한 개념이 도시재생이다(Korea Planning Association, 2008). 도시재생은 물리적 환경개선뿐만 아니라, 사회적․문화적․경제적 측면까지 고려하여 도시기능을 회복하고, 도시 경쟁력 강화와 쇠퇴지역의 삶의 질 향상을 통해 도시를 활성화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Jeong et al.
도시재생사업인 골목정원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기 위해 제시된 골목과 정원에 대한 개념은 ? 골목환경 개선하고, 지역 공동체를 회복하기 위한 도시재생사업인 골목정원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기 위해 골목 및 정원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았다. 골목은 사전적 의미로 큰 길에서 들어가 동네 안을 이리저리 통하는 좁은 길로 정의하고 있으며, 사회적 의미로는 주민들의 다양한 만남과 일상생활이 전개되는 교류의 공간, 통행이라는 고유의 특성을 넘어선 놀이의 장, 주민 공동체의 영역성을 가지는 소유의 공간 등으로 정의하고 있다(Min, 2011). 즉, 골목은 단순한 통행 목적의 길이 아닌 지역 주민의 삶의 모습이 담긴 공간이며, 주민들 간의 소통과 화합의 장이라 할 수 있다(Jung, 2003; Lee, 2012). 다음으로 정원은 사전적 의미로 집안에 있는 뜰이나 꽃밭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Rou and Cho(2015)은 주택의 외부공간을 실용적․심미적 목적으로 조성한 뜰로 정의하고 있다. 정원은 헤브라이어(hebrew language)의 울타리, 둘러싸인 공간이나 행위를 의미하는 ‘gan’과 즐거움, 기쁨을 의미하는 ‘oden’의 합성어에서 유래되었다. 즉, 일정한 공간에 경계를 한정지어 즐거움을 얻기 위해 자연의 질서를 잡고 관리함으로써 미적인 공간으로 재탄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Jeon, 2006; Gwak, 2017). 이러한 정원의 개념은 20세기에 들어서 크게 변화하여 도시에서 생활하는 도시민에게 즐거움과 편리함 그리고 건강한 환경을 제공하는 옥외공간을 의미한다(Gwak,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Ahn, J. S.(2014) Regeneration of Urban Village through Using Shared Space: Focusing on Sansae-Village, Eunpyeong-gu, Seoul. M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 Cho, J. K., C. T. Hyun, Y. S. Yoon, R. Z. Jin and Y. W. Cha(2012) Risk factor classification and weight estimation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3(4): 89-99. 

  3. Choi, G. C.(2008) An Study on the Effects of Pattern Language in a Revitalization of the Old Downtown Area. MS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Korea. 

  4. Daegu Metropolitan City(2016) 2025 Urban Renewal Report. 

  5. Daegu Metropolitan City(2017) Daegu Statistical Annual Report in 2016. 

  6. Gwak. Y. G.(2017) A Study on the Analysis of Importance on Residential Garden Components. MS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Korea. 

  7. Ha, C. H., H. J. Kwak and H. S. Kim(2013) A study on utilization and making vegetable garden of vacant land and deserted house in deteriorated low-rise residential area for neighborhood regeneration: Focused on no-song low-rise residence district in Jeonju.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4(6): 81-93. 

  8. Ha, Y. S.(2016) An analyt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regeneration evaluation and civic consciousness: 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 of maul satisfaction. Journal of Public Society 6(4): 121-155. 

  9. Hammitt, W. E., M. D. Bixer and P. Francis(1996) Going beyond Important performance analysis to analyze the observance- influence of park impact. Journal of Park and Recreation Administration 14(1): 45-62. 

  10. Han, R. Y.(2011)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edestrian Environment in the Seoul Green Parking Project. MS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Seoul, Korea. 

  11. Heo, S. Y and T. H. Moon(2011) Spatial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real crime and fear of crim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4): 194-207. 

  12. Jang, C. K., N. Ning, S. G. Lee and S. G. Jung(201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incheon waterfront using the IS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1): 1-15. 

  13. Jang, K. S.(2016) A study on promo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gram: Focusing on the experiences in the operation of Jeonju testbed project. Public Land Law Review 76: 25-44. 

  14. Jang. W. J. and S. B. Moon(2010) A study on possibility of social enterprise as a main participant in urban renaissan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business links.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2(2): 45-69. 

  15. Jeon, H. M.(2000)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Focus on the Physical Improvement Effect and Residents' Satisfaction. MS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16. Jeon. J. H.(2006) To Build with Garden: Based on Garden Concept of Luis Barragn. MS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Korea. 

  17. Jeon, W. S., N. D. Kim and H. Y. Hwang(2008) Project themes and promotions of community building with resident participation.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9(4): 131-148. 

  18. Jeong, D. H., K. Han, J. H. Lee and H. D. Jang(2012) Study on renewal direction of deteriorated hillside neighborhoods: Focused on the pre-redevelopment zone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Journal of Urban Policies 3(1): 45-63. 

  19. Jeong, J. H., T. O. Yoon, S. A. Sung and H. Y. Hwang(2015) Analysis on the effect of urban-regeneration market revitalization programs: Focused on Joong-ang dong, Cheongju.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9(1): 15-25. 

  20. Jin, H. S.(2012) The meaning of maeul mandeulgie and urban regeneration in the view of pu.lic.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56(6): 66-70. 

  21. Jung. S.(2003) Ally Design as Community Space. M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Korea. 

  22. Jung, S. G., K. J. Moon and K. J. Yoo(2015) A survey study on resident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Concentrated on the Sanbok-doro renaissance urban regeneration area in Busan.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7(5): 31-39. 

  23. Kim, A. L., J. H. Koo and J. L. Lee(2013) Environment improving projects : Focused on the project of Yonnam-dong.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4(6): 103-110. 

  24. Kim, D. C. and W. Y. Choi(2013) Study on selection attributes of fishing experience villages for the revitalization of eco experience touris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6): 29-42. 

  25. Kim, D. H.(2015a) Analysis of Residents' Satisfaction in the Urban Regeneration Using Village Art Project: Focused on Gamcheon Cultural Village, Hwasun Sung-an Village and Sinse-dong Mural Village. MS Dissertation, Younsei University. Korea. 

  26. Kim, G. H.(2015b) The Effect of Local Participation Regeneration Project on The Elderly's Project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A Case of the Jang-Su Maeul, Seongbuk-Gu, Seoul. MS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Korea. 

  27. Kim, H. C.(2003) The cognition of the decline in urban center and the approach of urban regeneration: The case of Daejeon metropolis.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16(2): 79-99. 

  28. Kim, H. C.(2013) Critical review on the conceptual scope and policy institution process in the Korean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6(3): 1-13. 

  29. Kim, H. J.(2011) The regeneration policy in connection with historic and cultural assets in local small city.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3(4): 123-148. 

  30. Kim, I. J.(2008) A Study on the Decline of Cheonan City Center due to New Urban Development Projects. MS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Seoul. Korea. 

  31. Kim, K. S.(2014) The effect of urban regeneration on the village satisfaction and community spirit of the citizens of Seoul. Journal of Public Society 4(1): 66-92. 

  32. Kim, K. Y.(2016a)An Analytical Study on the Urban Regeneration in Changwon and Proposals to Improve the Projects. Ph.D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orea. 

  33. Kim, M. J. and J. S. Jeong(2011) A study on the planning consideration for the realization of sustainable housing: In the aspect the residents' opinions at the pilot project 'Livable City Making' i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2(4): 103-112. 

  34. Kim, M. K.(2016b) A Study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Settlement of Touristified Residence after Village Regeneration: Focused on Ehwa Village, MS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Korea. 

  35. Kong, K. Y.(2006) Evaluation of leisure activity using the IPA method.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0(3): 285-303. 

  36. Korea Planning Association(2008) Urban Development, Seoul: Bosunggak. 

  37. Kwon, D. H.(2003)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Center City in Local Cities: Case Study on Jeon-ju City. MS Dissert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38. Lee, B. D. and J. S. Shim(2012) A study on regeneration of derelict urban areas throughout resident's participation: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case studies from Japan, England and the US.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4(2): 183-206. 

  39. Lee, B. D. and J. U. Dong(2005) A study on the improvement projects of resident environment in the poor residence for low income families in inner city. Journal of Korea Community Development Society 30(2): 91-103. 

  40. Lee. B. O.(2012) Representation of Placeness for Documentation. MS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41. Lee, H, R.(2005)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Banquet Service in Hotels. MS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Korea. 

  42. Lee, J. D.(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Index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Governance Relations: Focused on Changwon and Jeonju Test-bed. Ph.D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orea. 

  43. Lee, J. H. and J. H. Song(2009) A study on the method of urban catalyst for urban regeneration: Focused on urban catalytic projects in Milwaukee, United Stat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5(1): 233-244. 

  44. Lee, S. M., W. S. Kim and J. A. Kim(2015) Statistical Analysis for Social Sciences Using SPSS, Paju: Hanulbooks. 

  45. Lee, W. K., S. H. Jung and N. S. Ji(2013) Characteristics and activity types of neighborhood-making communities: Focusing on the cases of Incheon neighborhood-making networks.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7(4): 427-442. 

  46. Lim, B. H., K. H. Lee and N. S. Ji(2015)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 district and the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district in Daejeon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8(1): 31-51. 

  47. Martila. J. A. and J. C. James(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1): 77-79. 

  48. Min. H. S.(2011) Maintenance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alleys in the downtown of Seoul: Focused on the inner block area of Jongno-3g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7(2): 145-156. 

  49. Oh. K. S. and J. H. Song(2013) Physical environmental elements in alleys causing fear of crime for women: Focused on the redevelopment district. Journal of Community Safety and Security by Environmental Design 4(3): 31-57. 

  50. Park, C. B. and D. S. Oh(2004) A study on the policies and institutions for downtown regeneration of foreign country.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9(5): 25-38. 

  51. Park, K. O., J. M. An, Y. B. Lee and A. Y. Cha(2016) Sustainable regeneration ways of the deteriorated downtown residential area: Focused on 'Mural Village', Suamgol in Cheongju. Journal of Human Ecology 20(2): 91-101. 

  52. Park, S. H., H. S. Chun and S. J. Jeon(2009) Participatory governance analysis in community planning: An institutional approach.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4(3): 207-220. 

  53. Rho, H. J.(2001) Surveying and Statistical Analysis by SPSS, Seoul: Hyungseul Publishing Co. 

  54. Roberts, P., H. Syker and R. Granger(2016) Urban Regeneration: A Handbook. London: SAGE Publications Ltd. 

  55. Rou. Y. J. and D. G. Cho(2015) A study on comparing traditional garden and modern garden for developing garden culture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0(5):113-124. 

  56. Song, H. J.(2007a) The Study for Analyzing a Declining Reason and a Reviving Plan of Downtown. MS Dissertation, Dongshin University. Korea. 

  57. Song, S. Y.(2007b)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Causes of Declining and the Plan for the Urban Regeneration of Non Growing Type Cities in Korea. Ph.D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58. Won, J. H. and H. S. Kim(2012) Factors affecting the evaluation of the resident-participatory community design: Focused on the residents' perception about 'the pilot project of human town in Seoul'.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3(6): 55-68. 

  59. www.daegu.go.kr 

  60. www.dgs.go.kr 

  61. www.law.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