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재생사업의 평가요인 선정 및 적용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Factors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7 no.6, 2019년, pp.53 - 66  

장철규 (대구대학교 도시.조경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 선정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도시재생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여 평가지표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지표를 활용하여 도시재생사업이 시행 중인 원고개 마을의 주민의견을 수렴·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해당지역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도시재생 평가지표를 그 특성에 따라 '물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 '경제적 환경' 부문으로 구분하고, 1차 전문가 설문 및 MCB 분석을 통해 도시재생 평가요인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물리적 환경' 부문은 '교통 및 보행환경', '주거(주택) 환경', '안전 및 보안환경', '녹지 공간', '경관 개선', '공공 공간' 등 6개 요인이 선정되었으며, '사회적 환경' 부문은 '주민 참여', '공동체 활성화', '지자체 및 지원센터 역할', '주민 교육' 등 4개의 요인, '경제적 환경'부문은 '지역경제 활성화', '경제기반 환경조성', '일자리 창출' 등 3개의 평가요인이 선정되었다. 다음으로 선정된 평가요인을 2차 전문가 설문 및 AHP 분석을 수행하여 종합가중치를 도출하였다. 도시재생 평가요인 가운데 '주거(주택) 환경'이 0.108로 가장 높은 가중치 값을 가지며, 다음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주민참여' 가 높은 값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도시재생 평가요인을 활용하여 원고개 마을의 주민의식을 분석한 결과, '주차환경', '노후주택 및 생활환경 정비', '마을 및 사회적 기업을 조성할 수 있는 환경조성', '상가 및 업무환경 개선', '기존 상권 유지 및 활성화', '가내수공업, 부업 등 소규모 지역경제 활성화' 등이 종합중요도는 높지만 만족도는 낮아 중점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원고개 마을의 도시재생사업을 개선하기 위해선 공가 및 폐가, 유휴지 등을 활용하여 공용주차장을 조성하거나, 마을 내 위치한 학교운동장을 주민들에게 개방하는 등의 주차환경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협동조합과 연계하여 마을기업, 사회적 기업을 육성하고, 주민활동을 통해 생산된 제품을 주변시장에 판매하는 등의 경제적 활동을 장려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ndicator-based selection and improvement plans for evaluat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irst, we selected the indicators by conducting expert surveys and analysis of the responses received. Additionally, using the selected indicators, we analyzed the re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린재생형이 도시재생의 명확한 방향성을 담고 있는 사업인 이유는 무엇인가? kr). 이 중 근린재생형은 기존 주거지 정비방식이 한계에 직면하면서 노후 주거지를 개선하는데 있어 물리적 환경개선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환경개선을 통합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지향하는 등 도시재생의 방향성이 명확히 들어나는 사업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사업을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평가지표의 선정이 중요하다.
재개발과 같은 전면 철거방식의 도시개발 사업이 불러온 새로운 문제는 무엇인가? 이를 해결하고자 재개발 등과 같은 전면 철거방식의 도시개발 사업이 시행되었으나, 물리적 환경개발에 치중된 획일적인 개발로 인해 역사성, 장소성 등이 상실되어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Bae and Lee, 2014). 또한 개발이익을 둘러싼 주민들 간의 갈등을 유발시켜 지역 공동체가 붕괴되고 주택가격 상승 및 주거비 증가로 인해 원주민의 재정착률이 떨어지는 등 새로운 사회적·경제적 문제를 발생시켰다(Ahn, 2014; Jang, 2016; Jang et al., 2017).
도시재생이란 무엇인가? 최근 이러한 도심쇠퇴 현상과 인구감소, 고령화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의 기능을 재정립하고,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 하나로서 도시의 정체성 확보와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이라는 시대적 흐림에 맞춰 도시재생(urban regeneration)이라는 개념이 등장했다(Sang, 2010; Kim, 2016). 도시재생은 전면 철거 후 개발이 아닌 점진적으로 도시환경을 개선하는 방안으로써 물리적 환경의 개선뿐만 아니라, 주민들이 주체가 되어 문제를 해결하고 공동체를 회복하는 것을 의미한다(Jin, 2012; Ahn, 2014; Park et al.,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hn, J. G., H. C. Jeong, T. J. Kim and J. H. Lee(2014) A study on the planning factors and residents satisfaction of urban regeneration in large citie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9(3): 211-226. 

  2. Ahn, J. S.(2014) Regeneration of Urban Village through Using Shared Space: Focusing on Sansae-Village, Eunpyeong-gu, Seoul. M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3. An, J. S.(2011)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for Historic Gardens Preservation Condition by Applying Delphi Technique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Ph.D.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4. Bae, W. K. and H. Y. Lee(2014) Effectiveness analysis on the lowrise housing regeneration program(before 'human town') in Seoul, Korea: Focused on the first pilot project area of Yeonnam-dong, Mapo-gu, Seoul, Korea.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5(4): 223-238. 

  5. Cho, H. J.(2008) Establishment of the Landscape Ecological Planning Model and Applying Standard. MS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6. Chu, H. S., T. Y. Baek and J. M. Kang(2018) Review of the physical evaluation factors of the campustown project: Focused on Seoul campustown proje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8(1): 149-157. 

  7. Choi, G. C.(2008) An Study on the Effects of Pattern Language in a Revitalization of the Old Downtown Area. MS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Korea. 

  8. Daegu metropolitan city(2016) 2025 Urban Renewal Report. 

  9. Daegu metropolitan city(2017) Daegu Statistical Annual Report in 2016. 

  10. Duke, C. R. and M. A. Persia(1996) Consumer-defined dimensions for the escorted tour industry segment: Expectations, satisfactions, and importance. Journal of Travel and Tourism Marketing 5(1/2): 77-99. 

  11. Ha, C. H., H. J. Kwak and H. S. Kim(2013) A study on utilization and making vegetable garden of vacant land and deserted house in deteriorated low-rise residential area for neighborhood regeneration: Focused on no-song low-rise residence district in Jeonju.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4(6): 81-93. 

  12. Ha, Y. S.(2016) An analyt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regeneration evaluation and civic consciousness: 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 of maul satisfaction. Journal of Public Society 6(4): 121-155. 

  13. Hammitt, W. E., M. D. Bixer and P. Francis.(1996) Going beyond important performance analysis to analyze the observance- influence of park impact. Journal of Park and Recreation Administration 14(1): 45-62. 

  14. Jang, C. K., M. L. Hwang, J. Y. Shin and S. G. Jung(2017) Analysis of satisfaction on Alley Garden’s components by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5(6): 137-148. 

  15. Jang, K. S.(2016) A study on promo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gram: Focusing on the experiences in the operation of Jeonju testbed project. Public Land Law Review 76: 25-44. 

  16. Jin, H. S.(2012) The meaning of Maeul mandeulgie and urban regeneration in the view of public.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56(6): 66-70. 

  17. Jung, S. G., K. J. Moon and K. J. Yoo(2016) A study on related party consciousness for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Concentrated on the Sanbok-doro renaissance urban regeneration area in Busan.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8(1): 131-140. 

  18. Kang, M. H., H. S. Song and M. H. Lee(2017)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s on major elements of urban regeneration between residents and experts: Focused on urban regeneration areas in Seoul.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8(3): 45-59. 

  19. Kim, A. L. and J. H. Koo(2014) A study on determinants of elderly residental satisfaction on the planned elements of the participatory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ing projects: Focused on the project of Yonnam-dong.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5(5): 125- 132. 

  20. Kim, K. S.(2014) The effect of urban regeneration on the village satisfaction and community spirit of the citizens of Seoul. Journal of Public Society 4(1): 66-92. 

  21. Kim. K. Y.(2016) An Analytical Study on the Urban Regeneration in Changwon and Proposals to Improve the Projects. Ph.D.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orea. 

  22. Kim, T. D., S. A. Sung and H. Y. Hwang(2014) Comparative resident satisfaction studies between Changwon and Cheongju regeneration projects.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 22(2): 153-181. 

  23. Kim, S. W.(2012) A Study on Urban Regeneration Strategy of Old Downtown in Small-Medium Sized Cities Using the Concept of Compact City: Focus on Gumpo Railway Station Sphere Development District. Ph.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Korea. 

  24. Kuehl, R. O.(2000) Design of Experiments: Statistical Principles of Research Design and Analysis: 2nd Edition. Duxbury Resource Center, CA: Pacific Grove. 

  25. Lai, I. W. and M. Hitchcock(2015)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n tourism: A framework for researchers. Tourism Management 48: 242-267. 

  26. Lee, B. D and J. S. Shim(2012) A study on regeneration of derelict urban areas throughout resident's participation: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case studies from Japan, England and the US.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4(2): 183-206. 

  27. Lee, B, D and J. U. Dong(2005) A study on the improvement projects of resident environment in the poor residence for low income families in inner city. Journal of Korea Community Development Society 30(2): 91-103. 

  28. Lee, H. J., Y. J. Kim and J. G. Kim(2014) Assessment of the urban design elements in urban regeneration space of community business type.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5(6): 17-31. 

  29. Lee, I. H. and J. H. Lee(2011) A study on the urban planning elements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2(6): 101-114. 

  30. Lee, I. S.(1998) Analysis of consistency and accuracy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 using various ratio scales and simplified procedure.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3(3): 347-362. 

  31. Lee, J. K., R. H. Kim, H. J. Kim and S. S. Lee(2016) A study on the order of priority of evaluation?monitoring measure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ocused on 13 priority areas for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Urban Policies 7(1): 5-22. 

  32. Martila. J. A. and J. C. James(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1): 77-79. 

  33. McCarthy, J. and G. Lloyd(2007) Partnership, Collaborative Planning and Urban Regeneration. Urban and Regional Planning and Development Series. Hampshire: Ashgate Pub Ltd. 

  34. Park, D. K., D. W. Jeong and H. S. Kim(2009) Assessment of the downtown regeneration project based on the analysis of planning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2(3): 295-316. 

  35. Park, K. O, J. M. An, Y. B. Lee and A. Y. Cha(2016) Sustainable regeneration ways of the deteriorated downtown residential area: Focused on ‘Mural Village’, Suamgol in Cheongju. Journal of Human Ecology 20(2): 91-101. 

  36. Sang, N. K.(2010) Toward a Collaborative Implementation Model for Urban Regeneration in Seoul: With special reference to Se-Woon District.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Korea. 

  37. Saaty, T. L.(1977) A theory of analytical hierarchies applied to political candidacy. Behavioral Science 22(4): 237-246. 

  38. Saaty, T. L.(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aw-Hill, New York. 

  39. Saaty, T. L.(2003) Decision-making with the AHP: Why is the principal eigenvector necessary.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145(4): 85-91. 

  40. Shin, E. J., C. G. Yoo and S. J. Cho(2015) A study on local residents' evaluation of the planned indicator value for urban regeneration: Targeting local residents in Mokpo.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6(6): 71-81. 

  41. Shin, H. J. and M. G. Kang(2017) Level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 urban regeneration: Focusing on Haebangchon case, Yongsan-gu, Seoul.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9(3): 25-46. 

  42. Suh, J. H., H. S. Yang(2004) A study on framing techniques of landscape assessment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assessment on the landscape control poin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4): 94-104. 

  43. Tchah, C. Y. and K. R. Lim(2011)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 Utilization towards Urban Regener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Sejong: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44. Won, J. H. and H. S. Kim(2012) Factors affecting the evaluation of the resident-participatory community design: Focused on the residents’ perception about ‘the pilot project of human town in Seoul’.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3(6): 55-68. 

  45. www.law.go.kr 

  46. www.naver.com 

  47. www.seoguurc.or.kr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