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억에 기반한 조경설계의 개념 형상화 유형
Types of Concept Figuration in Landscape Design based on Memory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6, 2017년, pp.171 - 184  

안승홍 (한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설계가는 차원 높은 설계철학과 언어를 구사하기 위해 지식 축척과 통찰력 배양을 통해 사고의 폭과 깊이를 추구한다. 본 연구는 조경설계에서 설계가의 '기억'을 기반으로 한 개념 형상화 유형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계 아이디어는 설계가의 언어와 이미지 기억을 바탕으로 발상을 시작하여 대표적 의사소통 수단인 언어적 관점과 시각적 관점으로 형상 유형이 구성된다. 둘째, 조경설계의 언어적 개념 형상화는 2가지로 구성된다. '설계주제로서 제목의 상징적 언어'는 하나의 '구(句)'일 수 있으며, 위계를 두어 주(主)와 부(副)의 균형을 갖추어야 한다. '개념적 시나리오의 서술적 형상'은 서술적으로 개념을 표현하여 독자가 설계된 경관을 가상으로 경험하는 글이다. 셋째, 조경설계의 시각적 개념 형상화는 3가지로 구성된다. '다이어그램의 시각적 단순 형상'은 단순한 그래픽으로 상징물, 주석과 이미지, 키워드를 사용하여 쉽게 형상화된다. '개념스케치와 핵심 아이디어의 형상'은 초기 개념단계에서 물리적 요소와 공간에 대한 형태 속성 및 공간관계와 같은 아이디어의 핵심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이미지 조합으로 새로운 형상을 창조하는 콜라주와 몽타주'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재료와 이미지의 모음으로 경관 현상을 기록하여 아이디어를 압축적으로 묘사하는 도구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signers pursue the thoughtful and wide thinking through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and cultivation of insights for making use of high-level design philosophy and langu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concept figuration types based on designer's 'memory' i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관적 방법의 특징은 무엇인가? 조경설계에서 설계가의 지적 창작활동 유형은 직관적 방법(Black Box)과 합리적 방법(Glass Box) 2가지(Kim, 1999)가 있다. 직관적 방법은 개인적인 방법으로 설계 방법이나 과정이 타인에게 명확히 파악되지 않고 비논리적이다. 반면, 합리적 방법은 논리적 절차에 의한 방법이다.
조경설계에서 설계가의 '기억'을 기반으로 한 개념 형상화 유형 특성을 구명한 결과는 무엇인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계 아이디어는 설계가의 언어와 이미지 기억을 바탕으로 발상을 시작하여 대표적 의사소통 수단인 언어적 관점과 시각적 관점으로 형상 유형이 구성된다. 둘째, 조경설계의 언어적 개념 형상화는 2가지로 구성된다. '설계주제로서 제목의 상징적 언어'는 하나의 '구(句)'일 수 있으며, 위계를 두어 주(主)와 부(副)의 균형을 갖추어야 한다. '개념적 시나리오의 서술적 형상'은 서술적으로 개념을 표현하여 독자가 설계된 경관을 가상으로 경험하는 글이다. 셋째, 조경설계의 시각적 개념 형상화는 3가지로 구성된다. '다이어그램의 시각적 단순 형상'은 단순한 그래픽으로 상징물, 주석과 이미지, 키워드를 사용하여 쉽게 형상화된다. '개념스케치와 핵심 아이디어의 형상'은 초기 개념단계에서 물리적 요소와 공간에 대한 형태 속성 및 공간관계와 같은 아이디어의 핵심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조경설계에서 설계가의 지적 창작활동 유형은 어떤것이 있는가? 조경설계에서 설계가의 지적 창작활동 유형은 직관적 방법(Black Box)과 합리적 방법(Glass Box) 2가지(Kim, 1999)가 있다. 직관적 방법은 개인적인 방법으로 설계 방법이나 과정이 타인에게 명확히 파악되지 않고 비논리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4)

  1. Alexander, C.(1964) Notes on the Synthesis of Form.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2. Amoroso, N.(2012) Representing Landscapes: A Visual Collection of Landscape Architectural Drawings. New York: Routledge. 

  3. Amoroso, N.(2015) Representing Landscapes: Digital. New York: Routledge. 

  4. An, S. H.(2009) Characteristics of plastic concept of minimalism in comtemporary landscape desig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5): 64-77. 

  5. Boehm, G.(1995) Bildbeschreibung: Uber die Grenzen von Bild und Sprache. In: Beschreibungskunst - Kunstbeschreibung: Ekphrasis von der Antike bis zur Gegenwart/Gottfried Boehm, Helmut Pfotenhauer (Hrsg.). Munchen: 23-40. 

  6. Bono, E. de(1970) Lateral Thingking. Harper Colophon. 

  7. Brynie, F. H.(2009) Brain Sense: The Science of the Senses and How We Process the World Around Us. New York: AMACOM. 

  8. Ching, Francis D. K.(1989) Drawing: A Creative Process. New York: Wiley. 

  9. Cohen, S.(2015) The Inspired Landscape: Twenty-One Leading Landscape Architects Explore the Creative Process. Portland: Timber Press. 

  10. Dee, C.(2012) To Design Landscape: Art, Nature &Utility. Londom: Routledge. 

  11. DESIGNWORKSHOP(2016) Landscape Architecture Documentation Standards. New Jersey: Wiley. 

  12. Doosan Donga(1994) New Korean Language Dictionary. Seoul: Doosan Donga. 

  13. EBS(2011) The secret of Memory. Seoul: Miraen. 

  14. Encyclopedia Britannica(2008) The Britannica Guide to the Brain. London: Robinson Publishing. 

  15. Entwistle, T. and E. Knighton(2013) Visual Communication for Landscape Architecture. London: Fairchild Books. 

  16. Garnham, A. and J. Oakhill(1994) Thingking and Reasoning. Oxford: Blackwell. 

  17. Greenfield, S.(2000) Brain Story. BBC World. 

  18. Halprin, L.(1997) The Franklin Delano Roosevelt Memorial. San Francisco: Chronicle Books. 

  19. Heo, S. J. and H. K. Park(1997) A study on types and solutions of value conflicts in the architectural design decisions -Focused on the theory of the axiological absolutism-.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3(10): 91-102. 

  20. Hockett, C. D.(1960) The origins of speech. Scientific American 203: 89-96. 

  21. Hu, D. C.(1991) The Way of The Virtuous: The Influence of Art and Philosophy on Chinese Garden Design. Beijing: New World Press. 

  22. Hunt, J. D.(2000) Greater Perfections: The Practice of Garden Theory.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nsylvania Press. 

  23. Hwang, J. S., Y. Y. Choi and S. Y. Chae(2015) Basic Writing for University Students. Paju: Taehagsa. 

  24. Jeon, Y. I. and H. S. Lee(1997) Architectural Design Theory. Seoul: Gimundang. 

  25. Kim, D. G. and U. Y. Choe(2003) A study on memorial park design method.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 (3): 17-33. 

  26. Kim, G.(2005) Materialization of Modernist Art Language. Ko, Wigong. Text and Form: A Review for the Interdisciplinary Study of Art. Seoul: Art Culture. 

  27. Kim, I. H.(1998) A study on design creativity and design process mode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4(3): 125-132. 

  28. Kim, Y. I.(1998) A study on the property and the role of information and values in the desig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14(5): 141-152. 

  29. Kim, Y. A.(1998) A study on the concept based design solutions of students' work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14(11): 135-143. 

  30. Kim, Y. D.(1987) On the formation of concept in design process. Environmental Studies of Yeungnam University 6(2): 121-133. 

  31. Kim, Y. D.(1998) My Design Note. Landscape and Culture LOCUS 1. 

  32. Kim, Y. D.(1999) Understanding Landscape Design. Landscape Design Theory. Seoul: Munundang. 

  33. Kim, Y. M.(2014) Studio 201, Re-thinking Design: Loss of Concept. Environment and Landscape 309. 

  34. Kneller, G.(1965) Art and Science of Creativity. Holt, Rinehart & Winston. 

  35. Ko, W. G.(2004) Meeting of Literature and Art. Seoul: Art Culture. 

  36. Kolbanovsky and Smekhova(1934) Мышление и речь. 

  37.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1997) Understanding of Modern Psychology, Seoul: Hagmunsa. 

  38. Ku, B. D.(1989) Study on the form-generating process and the relevant techniques from the viewpoint of architectural design methodology. Ph.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Korea. 

  39. Ku, B. D.(1993) A case study on the architectural design concep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9(9): 103-108. 

  40. Ku, B. D.(1995) A study on the formulation of design concept and relevant methods in the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1(4): 135-146. 

  41. Ku, B. D.(2000)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form-generating process from the analysis of a student's design proces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16(5): 59-66. 

  42. Ku, B. D. and H. J. Yu(1987) A study on the aspects of creativity and the relevant elements in architectural desig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6): 103-112. 

  43. LaGro, J. and A. James(2001) Site Analysis - Linking Program and Concept in Land Planning and Design. New York: John Wiley & Sons. 

  44. Laseau, P.(1975) Graphic Problem Solving for Architects and Builders. Reed Business Information. 

  45. Laseau, P.(1980) Graphic Thinking for Architects and Designers. New York: John Wiley. 

  46. Lee, J. Y.(2012) State-diagram representation based on neuro linguistic programming for HCI.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57-163. 

  47. Lee, J. M.(2006) A study on the definition and the roles of design theme and design concept through the stage of architectural concept design. Architectural Research 22(8): 3-10. 

  48. Lee, S. K. and K. J. Zoh(2003) A study on environmental design method based on open narrative structure -A case of designing of Arirang Culture Park-.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2): 12-27. 

  49. Lund, N.(2003) Language and Thought. London: Routledge. 

  50. McGinty, T.(1979) Concept in Architecture. Snyder, J. C., A. J. Catanese Introduction to Architecture. New York: McGrauw-Hill Book Company. 

  51. Miyaudi, K.(2004) Open Design Brain : How to Create Architecture. Tokyo: Shokokusha. 

  52. Nakayama, M.(1980) Rediscovery of Wisdom. Tokyo: Kodansha. 

  53. Newquist, H. P.(2004) Great Brain Book: An Inside Look at the Inside of Your Head. Scholastic Reference. 

  54. Oh, C. S. and K. J. Zoh(2002) Environmental design methods based on the idea of fold: The re-design proposal of Do-San Park.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0(2): 50-62. 

  55. Oh, S. W. and Y. S. Cho(2001) A thinking process of conceptualization architectural design based on architectural schema. Proceedings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1(2): 665-668. 

  56. Richardson, T.(2015) Landscape and Garden Design Sketchbooks. London: Thames & Hudson. 

  57. Root, B., S. Robert and M. Michele(1999) Sparks of Genius: The Thirteen Thinking Tools of the World's Most Creative People. New York: Houghton Mifflin Harcourt Books. 

  58. Ryu, I. W. and M. H. Choi,(2004) Building design process based on weights of decision-making of design concept determinan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0(12): 3-12. 

  59. Monika, S. E.(1999) Das Visuelle Gedachtnis der Literatur: Allgemeine Uberlegungen zur Beziehung Zwischen Texten und Bildern. In: Manfred Schmeling, Monika S. E.(Hrsg.): Das visuelle Gedachtnis der Literatur - Wurzburg. 17-34. 

  60. Snyder, J. C. and A. J. Catanese(1979) Introduction to Architecture. 

  61. Song, I. S., H. S. Lee and Y. I. Jeon(1997) On the design values of the Korean architects in practic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3(12): 23-33. 

  62. Sullivan, C.(2004) Drawing the Landscape. New Jersey: Wiley. 

  63. Treib, M.(2008a) Drawing/Thinking Confronting an Electronic Age. New York: Taylor & Francis. 

  64. Treib, M.(2008b) Representing Landscape Architecture. New York: Taylor & Francis. 

  65. Vincent, J. D.(2007) Voyage Extraordinaire au Centre du Cerveau. Paris: Odile Jacob. 

  66. Vygotsky, L(1972) Thought and language. In P. Adams(ed.) Language and Thingking. Harmondsworth: Penguin Education. 

  67. Wu, H.(1995) Monumentality in Early Chinese Art and Architecture. Stanford: Stanford Univ Press. 

  68. Yang, Y. G.(2003) Analysis of Architectural form. Seoul: Kimoondang. 

  69. Yoo, B. R.(1998) Design note for Yeouido Park. Landscape and Culture LOCUS 1: 123-126. 

  70. Yoo, B. R.(1996) Some issues on monumentality in park design -Two case of 4.19 memorial park of SNU and Soecho Sculpture Park-.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3(4): 40-49. 

  71. Yoon, H. S.(1994) Linguistic Psychology. Seoul : Park Young Sa. 

  72. Zeki, S.(1998) Art and Brian. Daedalus 127: 71-103. 

  73. Zhou, S.(2005) Yuan Fun. Shanghai: Xue, L. Publishing House. 

  74. Zoh, K. J.(2000) Paranoia: Korean Com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in Meaning Excess. Landscape and Culture LOCUS 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