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나무 자원의 평가를 위하여 GIS 기반의 인벤토리를 구축하고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대나무 자원의 일반현황, 임황 및 지황 정보, 입지토양 정보 등의 인자를 추출하고 현지표본점 조사를 통해 획득한 자료를 활용하여 면적 및 축적량을 산출하여 통합하였다. 구축된 인벤토리는 방치되어 있는 대나무 자원의 건강성 및 지속성 확보는 물론 대나무의 기능 증진을 위한 장기적인 목표와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ed an inventory, using GIS-based resource assessment, for assisting forest management planning. The major inventory contents were relationally integrated, using field sample plots, to extract and calculate attributes such as general status, forest stand condition, forest site con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방치되어 있는 대나무 자원의 기능 증진을 위한 장기적인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고 대나무 자원 조성 및 육성 관리 기술 개발을 위하여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GIS기반의 자원평가 인벤토리를 구축하였으며, 대나무 정책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평가 결과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방치되어 있는 대나무 자원의 국내외 정책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산림공간정보와 현지표본점 자료를 활용하여 자원 평가를 위한 인벤토리를 구축하였다. 산림공간정보 및 현지표본점 조사자료간의 데이터 유형 및 스키마를 정의하고 자원 평가를 위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나무의 특징은? 대나무는 나무와 풀의 성질을 모두 가진 다년생 벼목 화본과(Poaceae), 대나무아과(Bambusoideae)에 속하는 식물로 재생산이 매우 빠른 친자연적인 소재로서 왕성한 생장력과 번식력, 강인한 생명력 그리고 용도의 다양성으로 신비성과 불가사의한 힘을 가지고 있다(NIFOS, 2005). 대나무는 농경사회가 근본인 우리 민족의 생활에 대나무를 빼놓고 이야기 하는 것은 어려울 정도로 죽세가공에 의한 각종 생활용품, 농어업용 자재, 문방필기구, 조경소재, 식·약용 원료, 건강식 재료 등으로 대나무는 폭넓게 이용되어 왔다(Kong, 2001).
대나무 자원에 관련하여 인벤토리 구축이 되지 않아 발생한 문제는? , 2016)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나무 자원의 경우 이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가 없어 국내외 정책 수요에 대응한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실정이다.
대나무의 활용 분야는? 대나무는 나무와 풀의 성질을 모두 가진 다년생 벼목 화본과(Poaceae), 대나무아과(Bambusoideae)에 속하는 식물로 재생산이 매우 빠른 친자연적인 소재로서 왕성한 생장력과 번식력, 강인한 생명력 그리고 용도의 다양성으로 신비성과 불가사의한 힘을 가지고 있다(NIFOS, 2005). 대나무는 농경사회가 근본인 우리 민족의 생활에 대나무를 빼놓고 이야기 하는 것은 어려울 정도로 죽세가공에 의한 각종 생활용품, 농어업용 자재, 문방필기구, 조경소재, 식·약용 원료, 건강식 재료 등으로 대나무는 폭넓게 이용되어 왔다(Kong, 2001). 그러나 오늘날에는 경제적‧사회적 생활 여건의 변화와 더불어 각종 소재의 다양화로 옛날에는 노다지로 불리던 국내 대나무 관련 산업은 심각한 위기에 빠져 매우 어려운 현실에 직면해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Mertens, B., L. Hua, B. Belcher, M. Ruiz-Perez, F. Maoyi, and Y. Xiaosheng. 2008. Spatial patterns and processes of bamboo expansion in Southern China. Applied Geography 28(1):16-31. 

  2. Choi, S.Y., S.M. Gang, J.M. Kim, E.H. Oh, and M.H. Jo. 2014. A development plan for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to support decision making for disaster respons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4):179-188 (최수영, 강수명, 김진만, 오은호, 조명희. 2014. (재난대응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인벤토리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 방안.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7(4):179-188). 

  3. Choi, S.Y., S.M. Gang, Y.W. Jo, E.H. Oh, J.W. Park, and G.H. Kim. 2016. Development plan of facility importance, risk, and damage estimation inventory construction for assisting disaster response decision-ma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9(1):167-179 (최수영, 강수명, 조윤원, 오은호, 박재우, 김길호. 2016. 재난대응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시설물 중요도.위험도.피해액 산정 인벤토리 구축 방안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9(1):167-179). 

  4. Isagi, Y. and A. Torii. 1998. Range expansion and its mechanisms in an naturalized bamboo species, Phyllostachys pubescens in japan. Journal of Sustainable Forestry 6(1/2):127-141. 

  5. Jo, Y.W., H.W. Choi. S.Y. Choi, and M.H. Jo. 2014. Conceptual design of damage assessment inventory in response to disaster risk for infrastructures close to rive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1): 144-158 (조윤원, 최형욱, 최수영, 조명희. 2014 (수변구조물 재해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피해 평가 인벤토리 개념 설계.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7(1):144-158). 

  6. Okutomi, K., S. Shinoda, and H. Fukuda. 1996. Causal analysis of the invasion of broad-leaved forest by bamboo in Japan.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7:723-728. 

  7. Kong, W.S. 2001. Spatio-temporal distributional change of bamboo.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6(4):444-457 (공우석. 2001. 대나무의 시.공간적 분포역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36(4):444-457). 

  8. KFS(Korea Forest Service). 2016.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p.361. (산림청. 2016. 임업통계연보. 361쪽). 

  9. NIFOS(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05. Everything of bamboo. p.203. (국립산림과학원. 2005. 대나무의 모든 것. 203쪽). 

  10. NIFOS(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06. Construction of greenhouse gas inventory system in forest sector of for UNFCCC. p.218. (국립산림과학원. 2006. 기후변화협약 대응 산림부문 온실가스 통계체계 구축. 218쪽). 

  11. NIFOS(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1. 6th national forest inventory, survey of forest health monitoring. p.79. (국립산림과학원. 2011. 제6차 국가산림자원 조사 및 산림의 건강.활력도 조사. 79쪽). 

  12.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6. Distribution status of bamboo forest resources in Korea. p.17. (국립산림과학원. 2016. 우리나라 대나무 자원의 분포 현황. 17쪽). 

  13. Ohrnberger, D. 1999. The bamboos of the world. Elsevier. p.5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