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난대성 상록활엽수 잠재서식지 분포 변화
Potential Impact of Climate Change on Distribution of Warm 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51 no.2, 2016년, pp.201 - 217  

박선욱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합연구실) ,  구경아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합연구실) ,  공우석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난대성 상록활엽수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분포 북방한계지가 중부해안인 난대성 상록활엽수 9종을 선정하고, 각 종의 분포 자료와 최한월최저기온, 겨울철강수량에 Generalized Additive Model(GAM)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종분포모형을 구축하였다. 종분포모형에 현재와 미래기후자료, 토지이용도를 적용하여 난대성 상록활엽수의 현재와 미래 잠재서식지를 예측하였다. 기후요소 분석 결과에서 최한월최저기온은 모든 종의 분포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만, 겨울철강수량은 종에 따라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9종은 잠재서식지의 분포 패턴에 따라 3개의 유형(중부해안형, 남서해안형, 중부경상내륙형)으로 분류되며 기후변화와 토지이용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토지이용을 고려했을 때 9종에서 60% 이상의 잠재서식지가 감소하며, 특히 중부경상내륙형에 속하는 종들은 다른 유형에 비해 높은 서식지 감소를 보였다. 9종 모두 기후변화에 따라 2050년과 2070년에 분포지가 북쪽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었지만, 분포 유형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포 유형별 기후변화 영향이 다른 것은 겨울철강수량의 시공간적 변화와 종별로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ccessed the climate change effects on the distributions of warm-evergreen broad-leaved trees (shorten to warm-evergreens below) in the Korean Peninsula (KP). For this, we first selected nine warm-evergreens with the northern distribution limits at mid-coastal areas of KP and climate variables,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을 대상으로 종분포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현재의 종별 잠재서식지와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잠재서식지의 변화추세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특히 잠재서식지를 고려함에 있어 토지이용을 고려하여 현재 기후조건 하에서 잠재서식지의 예측에 현실성을 높였으며, 인간의 간섭이 난대성 상록활엽수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남부와 해안도서에 주로 분포하며 분포 북한계지가 충남 태안반도보다 북쪽에 위치한 난대성 상록활엽수 9종(보리밥나무(Elaeagnusmacrophylla Thunb.), 보리장나무(Elaeagnus glabraThunb.), 마삭줄(Trachelospermum asiaticum(Siebold& Zucc.) Nakai), 줄사철나무(Euonymus fortunei var.radicans (Miq.) Rehder), 개산초(Zanthoxylum planispinum Siebold & Zucc.),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L.), 후박나무(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센달나무(Machilus japonica Siebold & Zucc.), 붉가시나무(Quercus acuta Thunb.))을 대상으로 종분포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현재의 종별 잠재서식지와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잠재서식지의 변화추세를 예측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남부에 주로 나타나는 난대성 상록활엽수의 분포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예측하였다. 이를 위해 분포지가 중부해안까지 나타나는 난대성 상록활엽수 9종의 분포 자료를 수집하였고 지점별 최한월최저기온과 겨울철강수량을 통해 GAM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종분포모형을 구축하고 잠재서식지를 추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종분포모형은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종분포모형(Species Distribution model, SDM)은종의 출현/비출현과 환경변수와의 관계를 통해 종의출현 가능성을 분석하는 모형으로, 생물종들의 서식지 환경에 대한 기후변화를 포함한 미래 환경변화의영향을 평가하는데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Austin, 2002). 종분포모형은 통계기법들을 이용한 상관모형(Correlative Model)(Guisan and Zimmermann,2000)부터 생태적인 과정을 기반으로 한 과정기반모형(Process-based model)(Kleidon and Mooney, 2000;Morin et al., 2007), 그리고 종분포와 환경변수들 사이의 역학적 작용들을 바탕으로 종의 분포를 예측하는 역학모형(Mechanistic Model)(Kearney and Porter,2009)으로 나누어진다.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종분포모형은 통계기법들을 기반으로 한 모형으로(Guisan and Zimmermann, 2000), 종의 출현/비출현과 환경변수들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종의 출현율을 예측한다.
종분포모형이란 무엇인가? 종분포모형(Species Distribution model, SDM)은종의 출현/비출현과 환경변수와의 관계를 통해 종의출현 가능성을 분석하는 모형으로, 생물종들의 서식지 환경에 대한 기후변화를 포함한 미래 환경변화의영향을 평가하는데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Austin, 2002). 종분포모형은 통계기법들을 이용한 상관모형(Correlative Model)(Guisan and Zimmermann,2000)부터 생태적인 과정을 기반으로 한 과정기반모형(Process-based model)(Kleidon and Mooney, 2000;Morin et al.
분포 유형별로 토지이용과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이 다른 것으로 추정 된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분포 유형별로 토지이용과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이 다른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것은 겨울철강수량의 시공간적 변화와 겨울철강수량의 종별로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인간활동에 의한 서식지 파괴는 기후변화에 의해 나타나는 난대성 상록활엽수의 서식지 확대를 감소시킬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기후변화에 따른 상록활엽수의 분포 변화를 예측함으로써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의 한반도 식생구조와 기능들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공우석, 1999, "한라산의 수직적 기온 분포와 고산식물의 온도적 범위," 대한지리학회지, 34(4), 385-393. 

  2. 공우석, 2005, "지구온난화에 취약한 지표식물 선정," 한국기상학회지, 41(2-1), 263-273. 

  3. 구경아, 2000, "한반도 상록활엽수의 지리적 분포와 기후요소와의 관계 -내장산 굴거리나무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국립기상연구소, 2012, IPCC 5차 평가보고서 대응을 위한 전지구 기후변화 보고서 2012 RCP 2.6/4.5/6.0/8.5 따른 기후변화 전망. 

  5. 국립수목원, 2004, 한반도 관속식물 분포도-남해안아구. 

  6. 국립수목원, 2005, 한반도 관속식물 분포도-남부아구(전라도 및 지리산). 

  7. 국립수목원, 2006, 한반도 관속식물 분포도-중.남부아구(충청도). 

  8. 국립수목원, 2007. 한반도 관속식물 분포도-중.남아구(경상북도). 

  9. 국립수목원, 2008, 한반도 관속식물 분포도-중부아구(경기도). 

  10. 국립수목원, 2009, 한반도 관속식물 분포도-중부아구(강원도). 

  11. 국립수목원, 2010a, 한반도 관속식물 분포도-남부아구(경상남도) 및 울릉도아구. 

  12. 국립수목원, 2010b, 한반도 관속식물 분포도-제주도아구. 

  13. 국립수목원, 2011, 한반도 관속식물 분포도-서남해안도서지역. 

  14.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2014,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15. 권혁수, 2014, "종분포모형의 불확실성 확인을 위한 앙상블모형 적용,"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22(4), 47-52. 

  16. 권혁수.류지은.서창완.김지연.임동옥.서민환, 2012,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히어리 서식지의 분포 특성 연구," 환경영향평가, 21(5), 735-743. 

  17. 기상청, 2014, 기상연보2014. 

  18. 김종원, 2005, "소나무재선충과 동해안 산불을 통해서 본 우리나라의 소나무,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생태학회지, 28(2), 113-120. 

  19. 김지연.서창완.권혁수.류지은.김명진, 2012,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한 종분포모형 연구," 환경영향평가, 21(4), 593-607. 

  20. 박종철.양금철.장동호, 2010, "기후변화에 따른 난온대 상록활엽수림대의 이동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기후연구, 5(1), 29-41. 

  21. 박현철.이정환.이관규.엄기증, 2015, "구상나무와 분비나무 분포지의 환경 특성 및 기후변화 민감성 평가," 환경영향평가, 24(3), 260-277. 

  22. 서민환.신영규.김정현.최태봉.노환춘.김태규.김기대, 2006, 한반도 기후변화 진단지표 생물종 조사, 국립환경과학원, 

  23. 서창완.박유리.최윤수, 2008, "위치자료의 종류에 따른 생물종 분포모형 비교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6(4), 59-64. 

  24. 송국만.강영제.현화자, 2014, "한라산 구상나무림의 사면별 식생구조와 치수발생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23(1), 39-46. 

  25. 신만석.장래익.서창완.이명우, 2015, "종풍부도와 세분화된 관리지역 비교 연구-보령시를 대상으로," 환경영향평가, 24(1), 35-50. 

  26. 윤종학.박찬호.이병윤.오경희, 2011,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난온대 상록활엽수의 잠재 생육지 변화 예측,"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4), 590-600. 

  27. 이용호.오영주.홍선희.나채선.나영은.김창석.손수인, 201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외래식물 실망초(conyza bonariensis)의 서식지 분포 예측," 한국기후변화학회지, 6(3), 243-248. 

  28. 이우철.임양재, 2002, 식물지리. 강원대학교 출판부. 

  29. 임종환.신준환, 2005, "지구온난화에 따른 산림식생대 이동과 식물계절 변화," 자연보존, 130, 8-17. 

  30. 환경부, 2000,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 100종. 

  31. Austin, M., 2002, Spatial prediction of species distribution: An interface between ecological theory and statistical modelling, Ecological Modelling, 157(2), 101-118. 

  32. BOX, E.O., CRUMPACKER, D.W. and HARDIN, E.D., 1993, A climatic model for location of plant species in Florida, USA, Journal of Biogeography, 20, 629-644. 

  33. CRUMPACKER, D.W., BOX, E.O. and HARDIN, E.D., 2001, Implications of climatic warming for conservation of native trees and shrubs in Florida, Conservation Biology, 15(4), 1008-1020. 

  34. Colwell, R. K., Brehm, G., Cardelus, C. L., Gilman, A. C., & Longino, J. T., 2008, Global warming, elevational range shifts, and lowland biotic attrition in the wet tropics, Science (New York, N.Y.), 322(5899), 258-261. doi:10.1126/science.1162547[doi]. 

  35. Diaz-Varela, R. A., Colombo, R., Meroni, M., Calvo-Iglesias, M. S., Buffoni, A., & Tagliaferri, A., 2010, Spatio-temporal analysis of alpine ecotones: A spatial explicit model targeting altitudinal vegetation shifts, Ecological Modelling, 221(4), 621-633. 

  36. Dullinger, S., Gattringer, A., Thuiller, W., Moser, D., Zimmermann, N. E., Guisan, A., Mang, T., 2012, Extinction debt of high-mountain plants under twenty-first-century climate change, Nature Climate Change, 2(8), 619-622. 

  37. Feeley, K. J., 2012, Distributional migrations, expansions, and contractions of tropical plant species as revealed in dated herbarium records, Global Change Biology, 18(4), 1335-1341. 

  38. Feeley, K. J., Silman, M. R., Bush, M. B., Farfan, W., Cabrera, K. G., Malhi, Y., Saatchi, S., 2011, Upslope migration of andean trees, Journal of Biogeography, 38(4), 783-791. 

  39. Freeman, E. A., & Moisen, G., 2008, PresenceAbsence: An R package for presence absence analy-sis,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23(11), 1-31. 

  40. Guisan, A., & Zimmermann, N. E., 2000, Predictive habitat distribution models in ecology, Ecological Modelling, 135(2), 147-186. 

  41. Hijmans, R. J., Cameron, S. E., Parra, J. L., Jones, P. G., & Jarvis, A., 2005, Very high resolution interpolated climate surfaces for global land area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5(15), 1965-1978. 

  42. Jimenez-Valverde, A., & Lobo, J. M., 2007, Threshold criteria for conversion of probability of species presence to either-or presence-absence, Acta Oecologica, 31(3), 361-369. 

  43. Kearney, M., & Porter, W., 2009, Mechanistic niche modelling: Combining physiological and spatial data to predict species' ranges, Ecology Letters, 12(4), 334-350. 

  44. Kleidon, A., & Mooney, H. A., 2000, A global distribution of biodiversity inferred from climatic constraints: Results from a process-based modelling study, Global Change Biology, 6(5), 507-523. 

  45. Koo, K. A., Kong, W., Nibbelink, N. P., Hopkinson, C. S., & Lee, J. H., 2015, Potential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distribution of cold-tolerant evergreen broadleaved woody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PloS One, 10(8), e0134043. 

  46. Morin, X., Augspurger, C., & Chuine, I., 2007, Process-based modeling of specie's distributions: What limits temperature tree species range boundaries, Ecology, 88(9), 2280-2291. 

  47. Nakao, K., Higa, M., Tsuyama, I., Lin, C., Sun, S., Lin, J., Tanaka, N., 2014, Changes in the potential habitats of 10 dominant evergreen broad-leaved tree species in the taiwan-japan archipelago, Plant Ecology, 215(6), 639-650. 

  48. Nakao, K., Matsui, T., Horikawa, M., Tsuyama, I., & Tanaka, N., 2011, Assessing the impact of land use and climate change on the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of quercus acuta in japan, Plant Ecology, 212(2), 229-243. 

  49. Randin, C. F., Engler, R., Normand, S., Zappa, M., Zimmermann, N. E., Pearman, P. B., Guisan, A., 2009, Climate change and plant distribution: Local models predict high-elevation persistence, Global Change Biology, 15(6), 1557-1569. 

  50. Sakai, A., 1975, Freezing resistance of evergreen and deciduous broad-leaf trees in japa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ir distributions. Japanese Journal of Ecology (Japan). 

  51. Stocker, T., Qin, D., Plattner, G., Tignor, M., Allen, S., Boschung, J. Midgley, B., 2013, IPCC, 2013: Climate change 2013: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52. Swets, J. A., 1988, Measuring the accuracy of diagnostic systems. Science (New York, N.Y.), 240(4857), 1285-1293. 

  53. Thuiller, W., 2003, BIOMOD-optimizing predictions of species distributions and projecting potential future shifts under global change. Global Change Biology, 9(10), 1353-1362. 

  54. Uyeki, H., 1941, Northern distribution limit of korean evergreen broadleaved trees. Acta Phytotax.Geobot, 10, 89-93. 

  55. Wood, S., 2006, Generalized additive models: An introduction with R, CRC press. 

  56. Yun, J., Nakao, K., Tsuyama, I., Higa, M., Matsui, T., Park, C., Tanaka, N., 2014, Does future climate change facilitate expansion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 species in the human-disturbed landscape of the korean peninsula? Implication for monitoring design of the im-pact assessment, Journal of Forest Research, 19(1), 174-183. 

  57. Zimmermann, N. E., Jandl, R., Hanewinkel, M., Kunstler, G., Kolling, C., Gasparini, P., Ulmer, U., 2013, Potential future ranges of tree species in the Alps, Management Strategies to Adapt Alpine Space Forests to Climate Change Risks, InTech, 37-48. 

  58. Zweig, M. H., & Campbell, G., 1993,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ROC) plots: A fundamental evaluation tool in clinical medicine. Clinical Chemistry, 39(4), 561-5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