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대 남녀의 한복 착용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Method of Wearing Hanbok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19 no.4, 2017년, pp.139 - 155  

정상은 (건국대학교 의류학과) ,  이소영 (건국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dentified the values and awareness of Koreans in 20s regarding Hanbok, the traditional clothing of Korea, and proposed an approach to promote the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The subject of the survey were male and female Koreans in their 20s who wear modern street clothes in places peo...

주제어

참고문헌 (18)

  1. 국가기록원. (1951). 전시생활개선법. 법률 제225호(1951. 11. 18)로 공포된 문서. 

  2. 권수애, 최종명, 이은경. (1998). 한복의 착용실태와 구매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지, 7(1), 129-138. 

  3. 김선경, 조효숙, 정인희. (1999). 생활한복 착용경험자들의 소비 실태 및 의식 연구. 한복문화, 2(1), 121-134. 

  4. 김인정. (2016. 5. 16). 고궁 안에 한복이 반. 대한민국정책기자단. 자료검색일 2016. 9. 27, 자료출처 http://reporter.korea.kr/newsView.do?nid148814933 

  5. 김정현. (2016. 7. 15). 서울 도심 누비는 낯선 얼굴의 한복. 동아일보. 자료검색일 2016. 9. 27, 자료출처 http://news.donga.com/3/all/20160715/79206978/1 

  6. 문화체육관광부. (2008). 2007 한복진흥을 위한 기초실태조사. 

  7. 소황옥. (2009). 한목 문화의 활성화를 위한 한복행사에 관한 제언.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1(3), 143-151. 

  8. 유효순, 정미영. (2013). 소비자가 한복구매 및 대여 시 중점을 두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1), 74-79. 

  9. 윤양노. (2012). 차세대 한복 소통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15)1, 85-95. 

  10. 이영희. (1999). 성인여성의 생활한복 인식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이지원, 나수임. (2001). 생활한복 소비자의 가치체계와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복식, 8(51), 13-24. 

  12. 정인희, 최선형, 강순제. (1997). 한국 도시 여성의 한복 착용에 대한 의식. 복식, 35, 253-164. 

  13. 조우현, 박현정, 김문영, 김용문. (2009). 한복 진흥방안 모색을 위한 한복업체 기초실태분석. 복식, 59(3), 42-54. 

  14. 조효숙, 김선경, 이희승. (1998). 생활한복의 구매실태 연구. 한복문화, 1(2), 67-81. 

  15. 최민지, 정대연. (2016. 9. 27). 편하고, 예쁘고 "출근할 때도 입어요"...젊은층에 부는 '한복 바람'. 경향신문. 자료검색일 2016. 9. 27, 자료출처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9272309025&code940100 

  16. 최선형, 정인희, 강순제. (1998). 한국 도시 여성의 한복 착용 및 구매 실태. 복식, 37, 33-46. 

  17. 최정철. (2015. 10. 19). 한복의 날을 아십니까?. 동아일보. 자료검색일 2016. 11. 08, 자료출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20&aid0002881447 

  18. 황의숙. (1995). 한국여성 전통복식의 양식변화에 관한 연구. 복식, 26, 289-3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