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물과 미래 : 한국수자원학회지 = Water for future, v.50 no.12, 2017년, pp.34 - 40
구태검 (인제대학교 환경공학과) , 송창근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 김영도 (인제대학교 환경공학과) , 서일원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이 없습니다.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하천공간의 특징은 무엇인가? | 하천공간은 크게 하도와 홍수터 그리고 제방으로 나눌 수 있으며, 국내 여건상 대다수 하천의 홍수터에 생태공원, 산책로, 체육시설 등을 설치하여 친수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구영훈 등, 2013). 하지만 여름철 호우사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홍수터 공간에서의 침식과 퇴적 현상은 친수시설의 파괴 및 친수공간 내 토사 퇴적 등과 같은 침수피해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하천 수질이 악화되고, 시설물 복구 및 유지관리 비용이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 |
여름철 호우사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홍수터 공간에서의 침식과 퇴적 현상은 어떠한 문제를 야기하는가? | 하천공간은 크게 하도와 홍수터 그리고 제방으로 나눌 수 있으며, 국내 여건상 대다수 하천의 홍수터에 생태공원, 산책로, 체육시설 등을 설치하여 친수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구영훈 등, 2013). 하지만 여름철 호우사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홍수터 공간에서의 침식과 퇴적 현상은 친수시설의 파괴 및 친수공간 내 토사 퇴적 등과 같은 침수피해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하천 수질이 악화되고, 시설물 복구 및 유지관리 비용이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친수공간에서는 인적이 드물어 활용빈도가 낮은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홍수기마다 반복적인 유지관리 비용이 투입되고 있기도 하다. | |
홍수터의 유지관리를 위한 현 상태는 어떠한가? | 또한 특정 친수공간에서는 인적이 드물어 활용빈도가 낮은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홍수기마다 반복적인 유지관리 비용이 투입되고 있기도 하다. 최근 이러한 불필요한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하고, 하천 수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 활용빈도가 낮고 방치된 친수공간에 대해서는 일몰하고자 하는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Ku, 2018). 홍수터 구간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친수공간 이용도 분석뿐만 아니라 수리적 안정성 평가를 통해 침식 및 퇴적 현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구간을 예측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
구영훈, 송창근, 김영도, 서일원 (2013). "2차원 부정류 모형을 이용한 둔치의 수리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Vol. 33, No. 3, pp. 997-1005.
구영훈, 김영도 (2014). "홍수시 둔치구간의 수리해석을 위한 2차원 모형 비교." 대한습지학회, Vol. 16, No. 1, pp. 93-102.
Alexander, M., Viavattene, C., Faulkner, H., and Priest, S. (2011). Methods for creating a flood risk assessment tool. Guideline report submitted to the Flood Risk Management Research Consortium (FRMRC2).
Beffa, C. (1998). "Two-Dimensional Modelling of Flood Hazards in Urban Areas." Proc. 3rd Int. Conf. on Hydroscience and Engineering, D-Cottbus.
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 (2005). Flood Risk Assessment Guidance for New Developments: Phase 2, R & D Technical Report FD2320/TR2.
Erdlenbruch, K., Gilbert, E., Grelot, F., and Lescoulier, C. (2008). "Une analyse cout-beneficespatialisee de la protection contre les inondations-Application de la methodedes dommages evites a la basse vallee de l'Orb." Ingenieries, Vol. 53, pp. 3-20.
HR Wallingford, Flood Hazard Research Centre and Risk and Policy Analysts Ltd (2006). Flood Risks to people, Phase 2, FD2321/TR2. Guidance document. Defra/Environment Agency Flood and Coastal Defence R&D Programme.
Ku, T. G. (2018). Development of Hydraulic Stability Assessment Technology for Advanced Floodplain Management. Ph. D. thesis, Inje University, Korea.
Priest, S., Tapsell, S., Penning-Orwsell, E., Viavattene, C., and Wilson, T. (2008). Task 10: Building models to estimate loss of life for flood events, Produced for FLOODsite, Report number T10-08-10.
Song, C. G., Ku, Y. H., Kim, Y. D., and Park, Y. S. (2016). "Stability analysis of riverfront facility on inundated floodplain based on flow characteristics," Journal of Flood Risk Management, Vol. 9, No. 1, DOI: 10.1111/jfr3.12233.
Song, C. G., Ku, T. G., Kim, Y. D., and Park, Y. S. (2017) "Floodplain Stability Indices for Sustainable Waterfront Development by Spatial Identification of Erosion and Deposition." Sustainability, Vol. 9, DOI: 10.3390/su9050735.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