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ORYZA2000 모델에 기반한 격자형 벼 생육 모의 지원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Gridded Simulation Support System for Rice Growth Based on the ORYZA2000 Model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9 no.4, 2017년, pp.270 - 279  

현신우 (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유병현 (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박진유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김광수 (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적의 재배관리나 식량생산 관력 정책 수립의 위해 지역적인 작물 생산성 모의 정보들이 사용 될 수 있다. 국내 주요 작물인 벼의 생산성 예측을 위해 ORYZA2000 모델이 널리 사용되어 왔지만, 지역 규모에서 생산성을 예측하기 위한 격자별 작물 모델 구동 체계는 보고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격자형식의 입력자료를 사용하여 작물 모델을 구동하고 공간적인 생산성 예측자료를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입출력 처리 모듈과 격자별 모델 구동 모듈을 개발하였으며, 각각의 모듈은 C++와 R을 이용하여 구현되었다. 사례 연구를 위해 남한의 논 지역을 대상으로 2000년대에 대한 생산성을 모의하였다. 1km 및 12.5km 해상도의 격자형 기상자료로부터 13000여개의 기상입력자료가 생성되었다. 관행적인 재배관리 설정을 사용하여 격자별로 구동을 하였으며, 출력자료는 다시 netCDF 형태의 격자형 자료로 취합하였다. 모의된 벼 생산성의 공간적 분포는 실제 분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실제 생산성과는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이앙시기, 품종 등의 재배관리의 차이 또는 기상자료의 불확실성에 의해 생기게 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격자별 모델 구동 시스템을 통해 다른 작물 모델을 이용한 격자별 모의가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gional assessment of crop productivity using a gridded simulation approach could aid policy making and crop management. Still, little effort has been made to develop the systems that allows gridded simulations of crop growth using ORYZA 2000 model, which has been used for predicting rice yield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사량 자료가 사용될 수 없을 경우에는 Samani(2000)이 제안한 방식에 따라 최고온도와 최저온도 자료를 사용하여 일사량을 추정할 수 있는 함수를 격자형 입력자료 처리 모듈에 포함시켰다. 만일, 격자형 일사량 자료가 사용 가능할 경우, 이들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 CDSL의 경우 수치기상모델에서 널리 사용되는 NetCDF나 binary grid 파일 형식 자료를 읽을 수 있어, 다양한 격자자료 처리를 위해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CDSL을 기반으로 격자형 기상자료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격자형식의 입력자료를 사용하여 ORYZA 모델을 구동할 수 있는 모듈들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지역단위에서 벼 생산성을 추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이 사용될 경우, 특정 지점에서의 기상자료와 토양자료를 활용하여 해당 지점에 적절한 시비관리 방식을 추정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격자형식의 벼 생육을 예측하는것이 지니는 장점은 무엇입니까? 특히, 작물 생산성의 분포는 품종과 재배관리 조건의 공간적 변이가 큰 지역 내에서는 공간내삽의 기본적인 가정인 생산성이 공간적 연속성을 가진다는 가정을 충족시키기는 어렵다. 반면, 격자형식의 벼 생육을 예측할 경우, 단순히 수량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가별 최적의 재배관리 방식을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토지 이용의 최적화를 가능하게 한다.
작물 생육 모델들이 사용된 목적은 무엇입니까? 작물 생육 모델들은 주어진 기상 및 토양조건에 따른 작물 생산성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Kim et al., 2015; Lee et al., 2010; Xiong et al., 2008).예를 들어, Basso et al.
ORYZA2000 모델을 통해서 기후위험도 분석 외에 무엇을 파악할 수 있습니까? (2015)는 벼 재배 시 발생할 수 있는 기후위험도 분석을 위해 ORYZA2000 모델을 사용하였다. 또한, 예측된 작물 생산성의 변동양상을 파악하여 실제 포장실험을 거치지 않고도 해당 지역에서의 최적의 재배관리 방식을 파악할 수 있다(Royce et al.,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ngulo, C., R. Rotter, R. Lock, A. Enders, S. Fronzek, and F. Ewert, 2013: Implication of crop model calibration strategies for assessing regional impacts of climate change in Europe.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70, 32-46. 

  2. Basso, B., J. T. Ritchie, F. J. Pierce, R. P. Braga, and J. W. Jones, 2001: Spatial validation of crop models for precision agriculture. Agricultural Systems 68(2), 97-112. 

  3. Besharat, F., A. A. Dehghan, and A. R. Faghih, 2013: Empirical models for estimating global solar radiation: A review and case study.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21, 798-821. 

  4. Bouman, B. A. M., M. J. Kropff, T. P. Tuong, M. C. S. Wopereis, H. F. M. ten Berge, and H. H. van Laar 2001: ORYZA2000: modeling lowland rice (Vol. 1). IRRI. 

  5. Elliott, J., D. Kelly, J. Chryssanthacopoulos, M. Glotter, K. Jhunjhnuwala, N. Best, M. Wilde, and I. Foster, 2014: The parallel system for integrating impact models and sectors (pSIMS).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62, 509-516. 

  6. GLOBE Task Team and others (Hastings, D. A., P. K., Dunbar, G. M. Elphingstone, M. Bootz, H. Murakami, H. Maruyama, H. Masaharu, P. Holland, J. Payne, N. A. Bryant, T. L. Logan, J.-P. Muller, G. Schreier, and J. S. MacDonald), eds., 1999: The Global Land One-kilometer Base Elevation (GLOBE) Digital Elevation Model, Version 1.0.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325 Broadway, Boulder, Colorado 80305-3328, U.S.A. Digital data base on the World Wide Web (URL: http://www.ngdc.noaa.gov/mgg/topo/globe.html) and CD-ROMs. 

  7. Hyun, S., and K. Kim, 2016: Assessment of the angstrom-prescott coefficients for estimation of solar radiat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8(4), 221-232. 

  8. Kim, H. J., B. K. Shin, and W. Kim, 2014: A study on hydromorphology and vegetation features depending on typology of natural stream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8(2), 215-234. 

  9. Kim, J., C. K. Lee, H. Kim, B. W. Lee, and K. S. Kim, 2015: Requirement analysis of a system to predict crop yield under climate chang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7(1), 1-14. 

  10. Lee, C. K., J. Kim, and K. S. Kim, 201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weather data service client for preparation of weather input files to a crop model.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114, 237-246. 

  11. Lee, J. T., K. M. Shim, H. S. Bang, M. H. Kim, K. K. Kang, Y. E. Na, M. S. Han, and D. B. Lee, 2010: An analysis of changes in rice growth and growth period using climatic tables of 1960s (1931-1960) and 2000s (1971-2000).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3(6), 1018-1023. 

  12. Royce, F. S., J. W. Jones, and J. W. Hansen, 2001: Model -based optimization of crop management for climate forecast applications. Transactions of the ASAE 44(5), 1319pp. 

  13. Samani, Z., 2000: Estimating solar radiation and evapotranspiration using minimum climatological data.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126(4), 265-267. 

  14. van Oort, P. A. J., M. E. de Vries, H. Yoshida, and K. Saito, 2015: Improved climate risk simulations for rice in arid environments. PLoS ONE 10(3): e0118114.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18114. 

  15. Xiong, W., I. Holman, D. Conway, E. Lin, and Y. Li, 2008: A crop model cross calibration for use in regional climate impacts studies. Ecological Modelling 213, 365-380. 

  16. Yoo, B. H., and K. S. Kim, 2017: Development of a gridded climate data tool for the coordinated regional climate downscaling experiment data.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133, 128-1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