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한 DSSAT 모델 기반 격자형 작물 생육 모의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gridded crop growth simulation system for the DSSAT model using script languages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20 no.3, 2018년, pp.243 - 251  

유병현 (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김광수 (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반호영 (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작물 생산량의 시 공간적 분석은 정책입안자와 이해관계자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공간적 기상자료를 처리하고 이에 맞추어 작물 모형을 구동할 수 있는 작업들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DSSAT (Decision Support System for Agrotechnology Transfer)을 기반으로 지역내 작물 생산성 자료를 생산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 시스템은 전문적인 컴퓨터 프로그래머가 아니더라도 사용가능한 R과 shell script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먼저, 격자형 기상자료의 각 격자에 해당하는 정보를 텍스트 형식의 기상 입력자료 형식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는 모듈을 작성하였다. 다음으로 R 패키지를 사용하여 GIS자료 처리와 병렬 처리기능이 구현된 R script을 작성하였다. 또한, 작물 모델을 자동으로 구동하는 기능을 shell script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사례 연구로, 미국 Illinois 주에서 콩의 최대 수량을 얻을 수 있는 재배관리 조건의 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도구를 통해 AgMERRA 자료로부터 Illinois 주의 1981 - 2005년 까지의 기상입력자료를 생산하였다. 해당 지역에서 1개의 CPU 코어를 사용하여 1년간의 자료를 처리하기 위해 7.38 시간이 걸렸으나, 병렬처리를 통해 16개의 CPU 코어를 사용하였을 때 처리 시간이 크게 줄어, 35분만에 처리가 가능하였다. 이렇게 생산된 기상 입력자료들을 작물 모형 자동 구동 시스템에 활용하여 해당 지역에서의 최대 수량과, 최대 수량을 가지는 성숙군 및 파종일 지도를 작성할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는 DSSAT 모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사용되는 다른 작물모델들에게 적용될 수 있어 공간적 작물 생산성 평가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ridded simulation of crop growth, which would be useful for shareholders and policy makers, often requires specialized computation tasks for preparation of weather input data and operation of a given crop model. Here we developed an automated system to allow for crop growth simulation over a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Linux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스크립트 언어와 R을 기반으로 전문적인 컴퓨터 프로그래밍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활용할 수 있는 대용량의 작물 생육 모의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작물 모델들의 소스코드를 변경하지 않고도 격자단위에서 작물 생육 모의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단일 워크스테이션에서도 활용 가능한 격자형 작물모형 구동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히, Linux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스크립트 언어와 R을 기반으로 전문적인 컴퓨터 프로그래밍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활용할 수 있는 대용량의 작물 생육 모의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자료 정리 모듈의 경우, 각 요소에 해당하는 값을 연도별로 지점과 재배관리를 행과 열로 정리하도록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 모 듈을 사용하여 각 요소별로 정리된 자료로부터 격자별 최대 수량과 이에 해당하는 성숙군과 파종일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단일 워크스테이션에서도 활용 가능한 격자형 작물모형 구동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히, Linux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스크립트 언어와 R을 기반으로 전문적인 컴퓨터 프로그래밍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활용할 수 있는 대용량의 작물 생육 모의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작물 모델들의 소스코드를 변경하지 않고도 격자단위에서 작물 생육 모의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SSAT은 무엇입니까? DSSAT은 과정 중심 모형으로 물리화학적 수식을 바탕으로 작물의 일별 생육을 모의하는 모형이다. DSSAT은 주요 식량 작물인 벼, 옥수수 등을 포함한 40여개의 작물에 대한 생육 모의를 지원하며, 기상, 토양, 재배관리 등의 입력 자료를 필요로 한다.
작물 생육 모델이 사용되어진 이유는 무엇입니까? 특정 지역내에서 이상기상 및 기후변화에 의한 작물 생산성의 변동을 추정하기 위해 작물 생육 모델들 이 사용되어 왔다. 특히, 지역 특이적인 기후변화 적응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작물모델을 이용하여 격자별로 작물의 공간적인 생산성 변동 양상들을 분석한다.
DSSAT을 기반으로 지역내 작물 생산성 자료를 생산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려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작물 생산량의 시 공간적 분석은 정책입안자와 이해관계자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공간적 기상자료를 처리하고 이에 맞추어 작물 모형을 구동할 수 있는 작업들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DSSAT (Decision Support System for Agrotechnology Transfer)을 기반으로 지역내 작물 생산성 자료를 생산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Elliott, J., D. Deryng, C. Muller, K. Frieler, M. Konzmann, D. Gerten, M. Glotter, M. Florke, Y. Wada, N. Best, S. Eisner, B. M. Fekete, C. Folberth, I. Foster, S. N. Gosling, I. Haddeland, N. Khabarov, F. Ludwig, Y. Masaki, S. Olin, C. Rosenzweig, A. C. Ruane, Y. Satoh, E. Schmid, T. Stacke, Q. Tang, and D. Wisser, 2014: Constraints and potentials of future irrigation water availability on agricultural production under climate chang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1(9), 3239-3244. 

  2. Giltrap, D. L., C. Li, and S. Saggar, 2010: DNDC: A process-based model of greenhouse gas fluxes from agricultural soils. Agriculture, Ecosystems & Environment 136, 292-300. 

  3. Hijmans, R. J., and J. van Etten, 2014: raster: Geographic data analysis and modeling. R package version 2, 15. 

  4. Hoogenboom, G., J. Jones, P. Wilkens, C. Porter, K. Boote, L. Hunt, U. Singh, J. Lizaso, J. White, and O. Uryasev, 2015: Decision Support System for Agrotechnology Transfer (DSSAT) Version 4.6. 1.0 (www.DSSAT.net) DSSAT Foundation, Prosser, Washington, USA. 

  5. Kim, H.-Y., J. Ko, S. Jeong, J.-H. Kim, and B. Lee, 2017: Geospatial delineation of South Korea for adjusted barley cultivation under changing climate.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20(5), 417-427. 

  6. Kim, K., M. kang, H. Jeong, and J. Kim, 2013: Comparison of crop growth and evapotranspiration simulations between Noah multi physics model and CERES-Rice model.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5(4), 282-290. 

  7. Lee, C.-K., K.-S. Kwak, J.-H. Kim, J.-Y. Son, and W.-H. Yang, 2011: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follow-up cropping season shift on growing period and temperature in different rice maturity types.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56(3), 233-243. 

  8. Mourtzinis, S., and S. P. Conley, 2017: Nass (National Agriculture Statistic Service). 2017: Quick stats (https:// quickstats.nass.usda.gov) Delineating soybean maturity groups across the United States. Agronomy Journal 109, 1397pp. 

  9. NASS (National Agriculture Statistic Service), 2017: Quick stats (https://quickstats.nass.usda.gov) 

  10. Olesen, J. E., T. R. Carter, C. H. Diaz-Ambrona, S. Fronzek, T. Heidmann, T. Hickler, T. Holt, M. I. Minguez, P. Morales, J. P. Palutikof, M. Quemada, M. Ruiz-Ramos, G. H. Rubæk, F. Sau, B. Smith, and M. T. Sykes, 2007: Uncertainties in projected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European agriculture and terrestrial ecosystems based on scenarios from regional climate models. Climatic Change 81, 123-143. 

  11. Palmer, T. N., A. Alessandri, U. Andersen, P. Cantelaube, M. Davey, P. Delecluse, M. Deque, E. Diez, F. J. Doblas-Reyes, H. Feddersen, R. Graham, S. Gualdi, J. F. Gueremy, R. Hagedorn, M. Hoshen, N. Keenlyside, M. Latif, A. Lazar, E. Maisonnave, V. Marletto, A. P. Morse, B. Orfila, P. Rogel, J. M. Terres, and M. C. Thomson, 2004: Development of a European Multimodel Ensemble System for Seasonal-to-Interannual Prediction (Demeter).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5, 853-872. 

  12. Analytics, R., and S. Weston, 2014: doSNOW: Foreach parallel adaptor for the snow package. R Package version 1, 12. 

  13. Rosenzweig, C., J. Elliott, D. Deryng, A. C. Ruane, C. Muller, A. Arneth, K. J. Boote, C. Folberth, M. Glotter, N. Khabarov, K. Neumann, F. Piontek, T. A. M. Pugh, E. Schmid, E. Stehfest, H. Yang, and J. W. Jones, 2014: Assessing agricultural risks of climate change in the 21st century in a global gridded crop model intercomparis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1(9), 3268-3273. 

  14. Ruane, A. C., R. Goldberg, and J. Chryssanthacopoulos, 2015: Climate forcing datasets for agricultural modeling: Merged products for gap-filling and historical climate series estimation.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00, 233-248. 

  15. Li, T., O. Angeles, M. Marcaida III, E. Manalo, M. P. Manalili, A. Radanielson, and S. Mohanty, 2017: From ORYZA2000 to ORYZA (v3): An improved simulation model for rice in drought and nitrogen-deficient environment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37-238, 246-256 

  16. Yoo, B. H., and K. S. Kim, 2017: Development of a gridded climate data tool for the COordinated Regional climate Downscaling EXperiment data.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133, 128-140. 

  17. Zender, C. S., 2008: Analysis of self-describing gridded geoscience data with netCDF Operators (NCO).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23, 1338-13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