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블루베리발효액이 식이유도 비만 Mice의 비만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ermented blueberry liquid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C57BL/6J mice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0 no.6, 2017년, pp.543 - 551  

전종희 (전북대학교 라이프스타일의학과) ,  김보경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문은경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차연수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유옥경 (전북대학교 부설 비만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발효시킨 블루베리액이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C57BL/6J mice에 미치는 항비만 효과 및 기전에 대해 평가하였다. 실험동물은 각 7마리씩 3군으로 나누어 고지방식이와 증류수를 섭취하는 HD군, 고지방식이와 블루베리액을 섭취하는 BHD군, 고지방식이와 블루베리발효액을 섭취하는 FBHD군으로 사육하였다. 경구투여량은 10 mg/kg BW/day로 설정하였고, 이는 12%의 블루베리액(2.5 g 블루베리 함유; 블루베리 함유 안토시아닌 함량은 약 3.75 mg, 총 폴리페놀은 약 10.3 mg 추정)을 나타낸다. 본 연구 결과, 블루베리액과 블루베리발효액은 체중 감소, 체지방량 감소, 간의 중성지방총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켰다. 그리고 혈중 LDL-콜레스테롤을 낮추고,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켰으며 ASTALT 농도를 감소시켰다. 또한 렙틴 농도가 낮아졌으며 지방 합성 유전자 발현에서는 SREBP-1c, ACC 발현 수준이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지방 산화 유전자 발현에서는 블루베리발효액의 ACOX 발현 수준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BHD군과 FBHD군이 항비만 효과를 나타냈었으며, 특히 FBHD군이 BHD군보다 간에서 총 콜레스테롤 20%, AST 9%, ALT 52%, 지방 합성 유전자 SREBP-1c 발현을 감소시켰고, 혈중 HDL-콜레스테롤 16.4%와 지방 산화 유전자 ACOX 발현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 블루베리는 고지방 섭취로 인한 콜레스테롤 및 지질변화에 감소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발효를 통해 기능성이 더욱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과정은 블루베리의 항비만 효과를 증진시키며 블루베리발효액은 기능성 식품으로서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fermentation can increase the protective effects of blueberry liquid in a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model. Methods: Male C57BL/6J mice were fed a high-fat diet (HD, 60% fat, w/w,), HD supplemented with 10 ml/kg BW/day of b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발효는 영양 성분들이 소화, 흡수되기 좋은 형태로 변환될 뿐 만 아니라 그 과정을 통해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게 되므로 기능성 식품이 된다.3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블루베리액의 항비만 효과 및 발효에 의한 효과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C57BL/6J mice에 블루베리발효액을 섭취시켜 효능을 검증하였다.
  • 그러나 대부분 블루베리발효액을 활용하기 위한 개발이며, 생체 내 효능 검증을 위해 동물실험을 통한 블루베리발효액의 생리활성 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C57BL/6J mice에 블루베리액의 섭취에 따른 항비만 효능을 평가하며, 특히 블루베리의 발효에 따른 효능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발효시킨 블루베리액이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C57BL/6J mice에 미치는 항비만 효과 및 기전에 대해 평가하였다. 실험동물은 각 7마리씩 3군으로 나누어 고지방식이와 증류수를 섭취하는 HD군, 고지방식이와 블루베리액을 섭취하는 BHD군, 고지방식이와 블루베리발효액을 섭취하는 FBHD군으로 사육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효시킨 블루베리액이 미치는 항비만 효과 및 기전에 대해 실험한 결과, 블루베리 액의 발효는 블루베리 액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나? 4%와 지방 산화 유전자 ACOX 발현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 블루베리는 고지방 섭취로 인한 콜레스테롤 및 지질변화에 감소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발효를 통해 기능성이 더욱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과정은 블루베리의 항비만 효과를 증진시키며 블루베리발효액은 기능성 식품으로서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발효가 진행되면 발효물은 어떤 특징을 갖는가? 따라서 건강한 삶을 살기 위해 자연 식품이나 맛과 영양성을 동시에 충족 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발효는 원료에 당 또는 효모, 유산균 등의 미생물 첨가를 통하여 진행되는데, 이때 원재료가 가지고 있는 여러 효소들이 활성화되면서 다양한 기능성 성분들이 생산되며, 원재료가 가지고 있는 영양 성분들이 소화, 흡수되기 좋은 형태로 변환된다.3 감귤 진피 추출물을 이용한 발효액 제조 및 Campylobacter jejuni에 대한 항균 활성,4 연근의 성분분석 및 연근 발효음료의 기능성 평가5등과 같이 다양한 천연 식재료의 발효와 이를 통한 건강에 유익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을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블루베리의 생물분류는 무엇인가? 그 중 블루베리는 진달래과 (Ericaceae) 산앵도나무속 (Vaccinium) 작물로 북아메리카 원산지이며 수관크기에 따라 하이부시 블루베리 (high bush blueberry, V. corymbosum)와 로우부시 블루베리 (low bush blueberry, V.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Hong SH. Obesity and subjective well-being. Korean J Health Econ Policy 2015; 21(1):31-49. 

  2. Moriarty JP, Branda ME, Olsen KD, Shah ND, Borah BJ, Wagie AE, Egginton JS, Naessens JM. The effects of incremental costs of smoking and obesity on health care costs among adults: a 7-year longitudinal study. J Occup Environ Med 2012; 54(3): 286-291. 

  3. Kim RU.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oy yogurtforming lactic acid bacteria [dissertation]. B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0. 

  4. Chun JM, Bae JH. Preparation of fermented citrus peels extracts for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Campylobacter jejuni. Korean J Food Cult 2015; 30(4): 475-480. 

  5. Bae MJ, Kim SJ, Ye EJ, Nam HS, Park EM.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lotus root and functional evaluation of fermented lotus root drink. Korean J Food Cult 2008; 23(2): 222-227. 

  6. Jeong CH, Choi SG, Heo HJ.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commercial blueberry and raspber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8; 37(11): 1375-1381. 

  7. Su MS, Chien PJ. Antioxidant activity, anthocyanins, and phenolics of rabbiteye blueberry (Vaccinium ashei) fluid products as affected by fermentation. Food Chem 2007; 104(1): 182-187. 

  8. Lee DH, Hong JH.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torage stability of blueberry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ood Preserv 2015; 22(6): 796-803. 

  9. Yoon HH, Chae KS, Son RH, Jung JH. Antioxidant activity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wine using traditional yeas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5; 44(6): 840-846. 

  10. Choi SH.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bread prepared with substitutions of naturally fermented blueberry starter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3; 23(5): 546-560. 

  11. Friede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972; 18(6): 499-502. 

  12. Folch J, Lees M, Sloane Stanley GH.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e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1957; 226(1): 497-509. 

  13. Koppen A, Kalkhoven E. Brown vs white adipocytes: the PPAR ${\gamma}$ coregulator story. FEBS Lett 2010; 584(15): 3250-3259. 

  14. Ferre P. The biology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relationship with lipid metabolism and insulin sensitivity. Diabetes 2004; 53 Suppl 1: S43-S50. 

  15. Shin JH, Han SM, Kim AJ. The effects of mulberry extract consumption on the serum levels of oxidant and inflammatory factors in middle-aged women with rheumatoid factors. J Korea Acad Ind Coop Soc 2012; 13(8): 3561-3569. 

  16. Rodriguez-Mateos A, Rendeiro C, Bergillos-Meca T, Tabatabaee S, George TW, Heiss C, Spencer JP. Intake and time dependence of blueberry flavonoid-induced improvements in vascular function: a randomized, controlled, double-blind, crossover intervention study with mechanistic insights into biological activity. Am J Clin Nutr 2013; 98(5): 1179-1191. 

  17. Mykkanen OT, Huotari A, Herzig KH, Dunlop TW, Mykkanen H, Kirjavainen PV. Wild blueberries (Vaccinium myrtillus) alleviate inflammation and hypertension associated with developing obesity in mice fed with a high-fat diet. PLoS One 2014; 9(12): e114790. 

  18. Tsuda T, Horio F, Uchida K, Aoki H, Osawa T. Dietary cyanidin 3-O- ${\beta}$ -D-glucoside-rich purple corn color prevents obesity and ameliorates hyperglycemia in mice. J Nutr 2003; 133(7): 2125-2130. 

  19. Vendrame S, Daugherty A, Kristo AS, Klimis-Zacas D. Wild blueberry (Vaccinium angustifolium)-enriched diet improves dyslipidaemia and modulates the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lipid metabolism in obese Zucker rats. Br J Nutr 2014; 111(2): 194-200. 

  20. Zheng W, Wang SY. Oxygen radical absorbing capacity of phenolics in blueberries, cranberries, chokeberries, and lingonberries. J Agric Food Chem 2003; 51(2): 502-509. 

  21. Prior RL, Wu X, Gu L, Hager TJ, Hager A, Howard LR. Whole berries versus berry anthocyanins: interactions with dietary fat levels in the C57BL/6J mouse model of obesity. J Agric Food Chem 2008; 56(3): 647-653. 

  22. Koca I, Karadeniz B. Antioxidant properties of blackberry and blueberry fruits grown in the Black Sea Region of Turkey. Sci Hortic (Amsterdam) 2009; 121(4): 447-450. 

  23. Coban J, Evran B, Ozkan F, Cevik A, Dogru-Abbasoglu S, Uysal M. Effect of blueberry feeding on lipids and oxidative stress in the serum, liver and aorta of guinea pigs fed on a high-cholesterol diet. Biosci Biotechnol Biochem 2013; 77(2): 389-391. 

  24. Wu T, Tang Q, Gao Z, Yu Z, Song H, Zheng X, Chen W. Blueberry and mulberry juice prevent obesity development in C57BL/6 mice. PLoS One 2013; 8(10): e77585. 

  25. Park SJ, Jeon YJ, Kim HJ, Han JS. Anti-obesity effects of Ishige okamurae extract in C57BL/6J mice fed high-fat diet.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3; 45(2): 199-205. 

  26. Gotto AM Jr, Farmer JA. Drug insight: the role of statins in combination with ezetimibe to lower LDL cholesterol. Nat Clin Pract Cardiovasc Med 2006; 3(12): 664-672. 

  27. Tall AR. Plasma high density lipoproteins. Metabolism and relationship to atherogenesis. J Clin Invest 1990; 86(2): 379-384. 

  28. Kalt W, Foote K, Fillmore SA, Lyon M, Van Lunen TA, McRae KB. Effect of blueberry feeding on plasma lipids in pigs. Br J Nutr 2008; 100(1): 70-78. 

  29. Johnson MH, Wallig M, Luna Vital DA, de Mejia EG. Alcohol-free fermented blueberry-blackberry beverage phenolic extract attenuates diet-induced obesity and blood glucose in C57BL/6J mice. J Nutr Biochem 2016; 31(31): 45-59. 

  30. Kim NY, Lee YD, Cho SC, Shin YC, Lee HY. Enhancement of anti-inflammation effect by fermentation process in Aronia melanocarpa (Michx.) Elliott extract. Korean J Med Crop Sci 2014; 22(6): 475-482. 

  31. Park JO, Jang HW. Effects of Sasa coreana Nakai on the lipid compositions of serum in high cholesterol diet rats. J Life Sci 2009; 19(8): 1145-1151. 

  32. Reed J. Cranberry flavonoids, atherosclerosis and cardiovascular health. Crit Rev Food Sci Nutr 2002; 42(3 Suppl): 301-316. 

  33. Castellani WJ. Metabolic and nutritional aspects of the atherogenic atypical lipoproteins: lipoprotein (a), remnant lipoproteins, and oxidized low-density lipoprotein. Nutr Res 2004; 24(9): 681-693. 

  34. Yu EJ, Lim HS. Effect of egg yolk supplementation to Korean-diet on human serum cholesterol. Korean J Nutr 1988; 21(4): 260-267. 

  35. Jang JY, Lee MK, Kim MJ, Cho SY. Effect of fiber on serum lipid metabolism in rats with diet-induced cholesterolem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8; 27(6): 1211-1216. 

  36. Wang Y, Cheng M, Zhang B, Nie F, Jiang H. Dietary supplementation of blueberry juice enhances hepatic expression of metallothionein and attenuates liver fibrosis in rats. PLoS One 2013; 8(3): e58659. 

  37. Kim EJ, Kim YE, Kim GY. The anti-obesity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and Gastrodia elata on the obesity rats induced high-fat diet. J Exerc Nutr Biochem 2007; 11(2): 61-68. 

  38. Cnop M, Havel PJ, Utzschneider KM, Carr DB, Sinha MK, Boyko EJ, Retzlaff BM, Knopp RH, Brunzell JD, Kahn SE. Relationship of adiponectin to body fat distribution, insulin sensitivity and plasma lipoproteins: evidence for independent roles of age and sex. Diabetologia 2003; 46(4): 459-469. 

  39. Weyer C, Funahashi T, Tanaka S, Hotta K, Matsuzawa Y, Pratley RE, Tataranni PA. Hypoadiponectinemia in obesity and type 2 diabetes: close association with insulin resistance and hyperinsulinemia. J Clin Endocrinol Metab 2001; 86(5): 1930-1935. 

  40. Im DY, Lee KI.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of the dendropanax morbifera leaf extract ferment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Korean J Pharmacogn 2016; 47(1): 18-23. 

  41. Bae CR, Kwon DY, Cha YS. Anti-obesity effects of salted and unsalted Doenjang supplementation in C57BL/6J mice fed with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3; 42(7): 1036-1042. 

  42. Yang Y, Morin PJ, Han WF, Chen T, Bornman DM, Gabrielson EW, Pizer ES. Regulation of fatty acid synthase expression in breast cancer by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1c. Exp Cell Res 2003; 282(2): 132-137. 

  43. Gervois P, Torra IP, Fruchart JC, Staels B. Regulation of lipid and lipoprotein metabolism by PPAR activators. Clin Chem Lab Med 2000; 38(1): 3-11. 

  44. Park MJ. Recent advances in regulating energy homeostasis and obesity. Korean J Pediatr 2005; 48(2): 126-137. 

  45. Benn T, Kim B, Park YK, Wegner CJ, Harness E, Nam TG, Kim DO, Lee JS, Lee JY. Polyphenol-rich blackcurrant extract prevents inflammation in diet-induced obese mice. J Nutr Biochem 2014; 25(10): 1019-1025. 

  46. Lefebvre P, Chinetti G, Fruchart JC, Staels B. Sorting out the roles of $PPAR{\alpha}$ in energy metabolism and vascular homeostasis. J Clin Invest 2006; 116(3): 571-580. 

  47. Murakami K, Tobe K, Ide T, Mochizuki T, Ohashi M, Akanuma Y, Yazaki Y, Kadowaki T. A novel insulin sensitizer acts as a coligand fo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alpha (PPAR-alpha) and PPAR-gamma: effect of PPAR-alpha activation on abnormal lipid metabolism in liver of Zucker fatty rats. Diabetes 1998; 47(12): 1841-1847. 

  48. Zmuda-Trzebiatowska E, Oknianska A, Manganiello V, Degerman E. Role of PDE3B in insulin-induced glucose uptake, GLUT-4 translocation and lipogenesis in primary rat adipocytes. Cell Signal 2006; 18(3): 382-390. 

  49. Harness E. The effect of polyphenol-rich black currant extract on lipogenic and inflammatory gene expression in diet induced obesity mice [dissertation]. Storrs (CT): University of Connecticut;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