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초기여성의 섭식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경로 분석
A path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eating problem among young female adult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0 no.6, 2017년, pp.615 - 623  

차보경 (한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성인초기여성의 섭식장애를 설명하기 위해 가설적 모형을 구성하고, 영향요인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한 경로분석 연구이다. 2017년 8월, 약 1개월 동안 19세 ~ 29세 성인초기여성 193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자존감, 분노, 우울, 신체불만족 및 섭식장애를 자가보고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4.0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4.02세이었으며, 변수들의 평균은 섭식장애 8.99점, 신체불만족 92.05점, 우울 14.96점, 분노 18.99점, 자존감 32.17점이었다. 또한 섭식장애 점수 20점을 기준으로 구분하였을 때, 고위험 섭식장애 대상자는 9.8%이었다. 섭식장애는 신체불만족, 우울, 분노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존감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신체불만족은 우울, 분노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존감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우울은 분노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존감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수정모형의 적합도${\chi}^2$(p) 1.89 (p = 0.756), ${\chi}^2$/df 0.47, GFI 0.99, AGFI 0.99, NFI 0.99, SRMR 0.022, RMSEA 0.001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들이 섭식장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면, 자아존중감은 우울과 신체불만족을 매개한 간접효과와 총 효과가 유의하였다. 분노는 우울과 신체불만족을 매개한 간접효과와 총효과가 유의하였다. 우울은 신체불만족을 매개한 간접효과와 총효과가 유의하였다. 신체불만족은 직접효과 및 총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들 변수들에 의한 설명력은 46%이다. 따라서 성인초기여성의 섭식장애 개선을 위한 전략 수립에 신체불만족, 우울, 분노, 자존감을 주요요인으로 고려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eating problems among young female adults. Methods: Participants were 193 young female adults aged 19 ~ 29 years who were recruited in August 2017. Four variables related to eating problems in young female adults, including body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근거로, 성인초기여성의 섭식장애를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섭식장애와 영향 요인 간의 인과적 경로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성인초기여성의 섭식장애를 설명하기 위해 가설적 모형을 구성하고, 영향요인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한 경로분석 연구이다. 2017년 8월, 약 1개월 동안 19세~ 29세 성인초기여성 193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자존감, 분노, 우울, 신체불만족 및 섭식장애를 자가보고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 그동안 국내에서 수행된 섭식장애 관련 연구는 아동과 청소년, 여대생을 중심으로 한 실태조사, 섭식장애 관련 변수와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연구가 대부분으로, 성인초기여성에서 보고되는 부정적 정서요인과 신체불만족 및 섭식장애와의 관계를 포괄적으로 다룬 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섭식장애와 관련 요인을 확인하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성인초기여성의 섭식 장애를 설명하는 가설적 경로모형을 구축하고, 실제 자료 간의 적합도 검증을 통해 수정 경로모형을 제시하며, 섭식장애에 영향하는 요인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가설 설정

  • 특히, 가족 및 친구 등의 지지체제의 활용은 건강실천생활을 강화시키는 긍정적 피드백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둘째, 정서적 요인에 대한 개인의 취약성 정도를 파악해야 한다. 특히, 분노와 우울 수준이 높은 고위험군 선별과 이들에 대한 적합한 관리가 병행되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섭식장애의 선행요인으로 지목되는 것은? 섭식장애는 다양한 요인들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는데,5 섭식장애의 인지행동모델에서는 정서요인과 인지요인을 섭식장애의 선행요인으로 설명하고 있으며,11 낮은 자존감, 분노, 우울과 같은 부정적 정서와 왜곡된 신체인지로 인한 신체불만족이 주요 영향 요인으로 보고되어 왔다. 먼저, 낮은 자존감은 섭식 장애에서 흔히 확인되는데,11 선행연구에서 여대생을 섭식 장애의 정도에 따라 정상 집단, 저위험 집단, 고위험 집단으로 분류하였을 때, 정상 집단의 자존감이 유의하게 가장 높았고,12 성인 여성의 자존감이 낮을수록 우울 유병률이 높아져 우울의 예측요인으로 자존감이 확인된 바 있다.
성인초기여성의 섭식장애를 개선하기 위해서 어떤 노력을 해야하는가? 이미 전반적인 자기 평가가 몸매와 체중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고, 자신의 신체에 대한 불만족 수준이 높은 경우, 섭식장애에 미치는 정서적 요인의 영향력은 더욱 확대될 수 있다.5 그러므로 섭식장애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부정적 정서를 완화하는 다양한 시도와 신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신체에 대한 부정적 관심을 긍정적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19 또한 부정적 정서를 완화하는 방법은 사회적 맥락 내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가족과 친구의 적극적인 지지가 필요하며, 적정 체중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유도하는 국가적 차원의 지원도 중요하다.
섭식장애의 특징은 무엇인가? 섭식장애는 젊은 여성에서 발생빈도가 높고,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7 생식기능의 저하, 골밀도 감소, 무월경 등 여러 가지 질병을 유발하는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여, 신체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8 실증적 연구에서 성인초기여성의 콜레스테롤, 당화혈색소 등 대사성 증후군의 지표는 정상이었으나 저체중군과 정상체중군의 혈압은 저혈압에 가깝고, 빈혈 유병률은 높았으며,9 칼슘섭취량이 낮은 성인초기여성은 골밀도가 낮고, 영양섭취부족과 적은 신체활동으로 골건강이 취약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action plan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NCDs 2013-2020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cited 2017 Oct 1]. Available from: http://www.who.int/nmh/events/ncd_action_plan/en/.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Healthy plan 2020. Cheongw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3. Kwon SH. Status of under- and over-nutrition i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Public Health Wkly Rep 2014; 7(48): 1077-1080.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al year book 2015.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5. Lee SS, Oh KJ. The effect of shape and weight based self-evaluation and body dissatisfaction on disordered eating behavior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Clin Psychol 2004; 23(1): 91-106. 

  6. Seo J, Ma H, Kim S, Kim J, Shin M, Yang YJ. Effects of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body condition and body image perception on nutrient intake, weight control and mental health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16; 49(3): 153-164. 

  7. Cheon SH. A study on eating behavior, depression, anger, anger expression and BAS/BIS in adolescent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7; 13(4): 310-319. 

  8. Rierdan J, Koff E. Weight, weight-related aspects of body image, and depression in early adolescent girls. Adolescence 1997; 32(127): 615-624. 

  9. Jeong SR, Kim S, Yang YJ.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underweight women in their twenties: based on the 2010-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16; 49(2): 99-110. 

  10. Park YJ, Lee SJ, Shin NM, Shin H, Kim YK, Cho Y, Jeon S, Cho I. Bone mineral density, biochemical bone turnover marker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bone health in young Korean women. J Korean Acad Nurs 2014; 44(5): 504-514. 

  11. Cooper Z, Shafran R. Cognitive behaviour therapy for eating disorders. Behav Cogn Psychother 2008; 36(6): 713-722. 

  12. Lee KH, Kim SK, Chun KJ, Han SH. The relationship between eating disorder and self-esteem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3; 9(4): 390-399. 

  13. Son YJ, Kim G.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self-esteem and depressive symptoms of adult women in Korea. Korean J Obes 2012; 21(2): 89-98. 

  14. Jang MH, Lee G. Body image dissatisfaction as a mediator of the association between BMI,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in early adolescents: a multiple-group path analysis across gender. J Korean Acad Nurs 2013; 43(2): 165-175. 

  15. Son EJ. The influence of self-esteem, physical comparison, thin-ideal internalization, and body dissatisfaction on the eating disorder symptoms of college aged women. Korean J Couns Psychother 2008; 20(3): 885-901. 

  16. Kim GN, Kim YH. Factors related to eating disorder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Fam Environ Res 2004; 42(2): 83-97. 

  17. Truglia E, Mannucci E, Lassi S, Rotella CM, Faravelli C, Ricca V. Aggressiveness, anger and eating disorders: a review. Psychopathology 2006; 39(2): 55-68. 

  18. Fassino S, Leombruni P, Piero A, Abbate-Daga G, Giacomo Rovera G. Mood, eating attitudes, and anger in obese women with and without Binge Eating Disorder. J Psychosom Res 2003; 54(6): 559-566. 

  19. Choi MS, Cheon SH. Internalization of the sociocultural attitudes, body shape satisfaction, anger and eating attitudes in college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7; 13(4): 327-335. 

  20. Yom YH, Lee KE. Factors affecting eating attitude of female undergraduates in regard to BMI. J Korean Acad Nurs 2010; 40(5): 676-685. 

  21. Park YR, Wee H, Kim SJ. Lifestyle, depressio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women in Jeju province.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0; 21(2): 148-155. 

  22. Cha BK.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undergraduate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3; 20(4): 400-409. 

  23. Cho JH, Han SN, Kim JH, Lee HM. Body image distortion in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may lead to stress, depression, and undesirable dieting behavior. Nutr Res Pract 2012; 6(2): 175-181. 

  24. Lim SA, You S. Effects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abnormal eating behavior among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mediating role of body dissatisfaction. J Child Fam Stud 2017; 26(1): 176-182. 

  25. Berg KC, Crosby RD, Cao L, Peterson CB, Engel SG, Mitchell JE, Wonderlich SA. Facets of negative affect prior to and following binge-only, purge-only, and binge/purge events in women with bulimia nervosa. J Abnorm Psychol 2013; 122(1): 111-118. 

  26. Sarwer DB, Wadden TA, Foster GD. Assessment of body image dissatisfaction in obese women: specificity, severity, and clinical significance. J Consult Clin Psychol 1998; 66(4): 651-654. 

  27. Kim HY, Lee MH, Bae JN, Kim CE, Yoo HJ, Lee JS. Anger assessment using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in middle-school students in Korea and association with depression.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5; 26(4): 288-294. 

  28. Moon SH, Chung Y, Kim JH. The relation of anger and anger expression to eating disorders in late school-age children.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2009; 15(2): 127-135. 

  29. Kang MH, Choue R. Relationships of body image, body stress and eating attitude, and dietary quality in middle school girls based on their BMI. Korean J Nutr 2010; 43(3): 285-293. 

  30. Yu JP.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uation model.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2012. 

  31. Garner DM, Olmsted MP, Bohr Y, Garfinkel PE. The eating attitudes test: psychometric features and clinical correlates. Psychol Med 1982; 12(4): 871-878. 

  32. Cooper PJ, Taylor MJ, Cooper Z, Fairbum CG.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body shape questionnaire. Int J Eat Disord 1987; 6(4): 485-494. 

  33.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34. Jon BJ.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974; 11(1): 107-130. 

  35. Chon KK, Hahn DW, Lee CH, Spielberger CD.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anger and blood pressure. Korean J Health Psychol 1997; 2(1): 60-78. 

  36. Radloff L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 Psychol Meas 1977; 1(3): 385-401. 

  37. Kang HC. Discussions on the suitable interpretation of model fit indices and the strategies to fit model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J Korean Data Anal Soc 2013; 15(2): 653-668. 

  38. Park JY, Baek SY, Kim HS, Lim JH, Kim TH. Testing the biobehavioral family model in understanding the eating problems of adolescent girls. Child Health Nurs Res 2013; 19(3): 228-237. 

  39. Junne F, Zipfel S, Wild B, Martus P, Giel K, Resmark G, Friederich HC, Teufel M, de Zwaan M, Dinkel A, Herpertz S, Burgmer M, Tagay S, Rothermund E, Zeeck A, Ziser K, Herzog W, Lowe B. The relationship of body image with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patients with anorexia nervosa during outpatient psychotherapy: results of the ANTOP study. Psychotherapy (Chic) 2016; 53(2): 141-151. 

  40. Mayer B, Muris P, Meesters C, Zimmermann-van Beuningen R. Brief report: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 of risk factors with eating behavior problems in late adolescent females. J Adolesc 2009; 32(3): 741-7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