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섭식장애의 발병과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
Parental Behavior Influence on the Onset and Severity of Anorexia Nervosa and Bulimia Nervosa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3 no.1, 2015년, pp.3 - 11  

이정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이정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행동과학연구소) ,  정영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박준영 (마음과 마음 클리닉) ,  남궁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박동화 (명성병원) ,  김경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한국에서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신경성 폭식증을 진단받은 환자 군에서 부모 양육태도의 차이와 각 아형에서 부모 양육태도의 차이가 발병 나이와 섭식장애 증상의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67명의 섭식장애 환자(신경성 식욕부진증, N=49 ; 신경성 폭식증, N=118)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가보고식 설문지인 부모 양육행동 척도(Parental Behavior Inventory, PBI)를 시행하여 환자가 인식하는 부모님의 양육행동을 측정하였으며, 섭식장애 검사 개정판(The Eating disorder Inventory-2, EDI-2)를 통하여 증상의 심각도를 평가하였다. 결 과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를 발병 나이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16세 이후에 발병한 군보다 16세 이전에 조기 발병한 경우 낮은 아버지의 애정, 높은 아버지의 합리적 설명, 낮은 어머니의 과잉간섭을 보고하였다. 섭식장애 증상의 심각도(EDI-2)는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신경성 폭식증에서 어머니의 애정, 합리적 설명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단계별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아버지의 애정, 어머니의 과잉기대와 합리적 설명이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발병 나이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두 집단에서 모두 어머니의 애정이 높을 수록 EDI-2의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섭식장애 환자의 평가 및 치료에서 가족의 기능과 인식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겠다. 본 연구 결과는 아버지의 양육방식이 섭식장애 발병나이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이제까지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평가되었던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뿐 아니라, 섭식장애 증상의 심각도와 어머니의 애정과의 관련성을 확인함으로써 가족 기능에 대한 평가가 치료에 필수적임을 입증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해석 및 적용을 위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parental behaviors on the onset and severity of eating disorders, this study compared aspects of perceived parental styles, according to eating disorder subtypes and age at onset in Korean women with eating disorders. Methods:One hundred and sixty-seven pat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AN과 BN 환자들이 인식하는 부모 양육방식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고,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AN과 BN에서 주관적으로 평가된 부모의 양육태도에 특정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주관적으로 평가된 양쪽 부모의 태도가 섭식장애 발병 나이와 증상의 심각도에 중요한 매개체로 작용함을 밝혀내어 치료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섭식장애 환자가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과 가족의 기능을 동양에서 연구한 최초의 논문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신경성 폭식증을 진단받은 환자 군에서 발병 나이와 섭식장애 정신병리의 심각도에 따라 부모 양육태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AN에서만 발병 나이와 부모 양육방식이 연관이 있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16세 이후에 AN이 발병한 후기 발병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조기 발병 집단에서 아버지의 애정, 어머니의 과잉간섭이 낮게 보고되고 아버지의 합리적 설명이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최근까지 모녀 관계에 대한 연구들은 다양하게 이루어졌으나 아버지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제까지 어머니의 애정 없는 통제(affectionless control pattern)가 주된 영향으로 평가되었던 것에 반하여, 본 연구는 양육에서 어머니뿐 아니라 아버지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근거가 되겠다. 현대사회의 가정에서 아버지의 역할이 바뀌고 있는 점을 고려했을 때, 적은 애정과 같은 아버지의 양육방식이 섭식장애의 발병 나이와 증상에 영향을 주는 것은 자연스러운 결과일 것이다.

가설 설정

  • 첫째, AN과 BN에서 주관적으로 평가된 부모의 양육태도에 특정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주관적으로 평가된 부모 양육태도가 증상의 심각도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셋째, 발병 나이에 따라 주관적으로 평가된 부모 양육태도에서 다른 점이 있을 것이다.
  • 둘째, 주관적으로 평가된 부모 양육태도가 증상의 심각도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셋째, 발병 나이에 따라 주관적으로 평가된 부모 양육태도에서 다른 점이 있을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AN과 BN 환자들이 인식하는 부모 양육방식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고,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AN과 BN에서 주관적으로 평가된 부모의 양육태도에 특정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주관적으로 평가된 부모 양육태도가 증상의 심각도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섭식장애 환자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유형은 무엇인가? 섭식장애의 병인에 대한 이전 연구들을 살펴보면, 섭식장애 환자를 둔 가족의 공통점으로 구속, 의사소통의 결핍, 과잉 보호, 경직성, 갈등 해결의 부재 등이 제시되고 있다.1) 16세까지의 과도한 통제, 부족한 보살핌이 섭식장애 환자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유형이며, 이후 부모님의 태도에서도 이와 비슷한 방식이 나타날 수 있다.
이전 연구로 알 수 있는 섭식장애 환자를 둔 가족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1-3) 물론 섭식장애는 여러 원인에 의해 발병하나 그 중 가족 환경은 결정적인 심리사회적 요소이며, 부모-자식 관계는 예방과 치료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섭식장애의 병인에 대한 이전 연구들을 살펴보면, 섭식장애 환자를 둔 가족의 공통점으로 구속, 의사소통의 결핍, 과잉 보호, 경직성, 갈등 해결의 부재 등이 제시되고 있다.1) 16세까지의 과도한 통제, 부족한 보살핌이 섭식장애 환자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유형이며, 이후 부모님의 태도에서도 이와 비슷한 방식이 나타날 수 있다.
섭식장애의 치료와 예후에 발병 나이가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섭식장애의 치료와 예후에 중요한 또 다른 요인은 발병 나이이다. 사춘기 이전에 식이문제가 시작되었을 경우 예후가 매우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7,18) 역학 조사에 따르면 청년층에서 AN과 BN의 발병 연령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19) Kotler 등20)에 의하면 청소년기에 식이 문제가 시작될 경우, 성인이 되었을 때 BN에 이환 될 확률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20배 가량 더 높았고, Steinhausen21)의 연구에 따르면 조기 치료를 받는 것은 섭식장애의 좋은 예후 인자와도 관련성이 있었다. Schmidt 등22)은 16세 이후에 발병한 BN 보다 16세 미만에 발병한 BN에서 부적절한 부모의 통제가 있다고 하였고, Fosson 등23)에 따르면 14세 이전에 발병한 AN의 가족에서 갈등 해결의 부재, 의사 소통 문제, 과잉보호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했을 때 정상군과 섭식장애, AN과 BN 뿐 아니라 발병 나이에 따라서도 부모 양육태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Minuchin S, Baker L, Rosman BL, Liebman R, Milman L, Todd TC. A conceptual model of psychosomatic illness in children. Family organization and family therapy. Arch Gen Psychiatry 1975;32:1031-1038. 

  2. Perry JA, Silvera DH, Neilands TB, Rosenvinge JH, Hanssen T.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bonding, self-concept and eating disturbances in Norwegian and American college populations. Eating Behaviors 2008;9:13-24. 

  3. Tetley A, Moghaddam NG, Dawson DL, Rennoldson M. Parental bonding and eating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Eating Behaviors 2014;15:49-59. 

  4. Wertheim EH, Martin G, Prior M, Sanson A, Smart D. Parent influences in the transmission of eating and weight related values and behaviors. Eat Disord 2002;10:321-334. 

  5. Kluck AS. Family influence on disordered eating: the role of body image dissatisfaction. Body Image 2010;7:8-14. 

  6. Holtom-Viesel A, Allan 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on family functioning across all eating disorder diagnoses in comparison to control families.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14;34:29-43. 

  7. Waller G, Calam R, Slade P. Eating disorders and family interaction.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89;28:285-286. 

  8. Treasure J, Sepulveda AR, MacDonald P, Whitaker W, Lopez C, Zabala M, Kyriacou O, Todd G. The assessment of the family of people with eating disorders. Eur Eat Disord Rev 2008;16:247-255. 

  9. Bulik CM, Sullivan PF, Fear JL, Pickering A. Outcome of anorexia nervosa: eating attitudes, personality, and parental bonding. Int J Eat Disord 2000;28:139-147. 

  10. Rorty M, Yager J, Rossotto E, Buckwalter G. Parental intrusiveness in adolescence recalled by women with a history of bulimia nervosa and comparison women. Int J Eat Disord 2000;28:202-208. 

  11. Gowers S, North C. Difficulties in family functioning and adolescent anorexia nervosa. Br J Psychiatry 1999;174:63-66. 

  12. Gillett KS, Harper JM, Larson JH, Berrett ME, Hardman RK. Implicit Family Process Rules in Eating-Disordered and Non-Eating-Disordered Families.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009;35:159-174. 

  13. Johnson C, Flach A. Family characteristics of 105 patients with bulimia. Am J Psychiatry 1985;142:1321-1324. 

  14. Leung N, Thomas G, Waller 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bonding and core beliefs in anorexic and bulimic women.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0;39:205-213. 

  15. Cook-Darzens S, Doyen C, Falissard B, Mouren MC. Selfperceived family functioning in 40 French families of anorexic adolescents: implications for therapy. European Eating Disorders Review 2005;13:223-236. 

  16. Woodside DB, Shekter-Wolfson L, Garfinkel PE, Olmsted MP, Kaplan AS, Maddocks SE. Family interactions in bulimia nervosa. I: Study design, comparisons to established population norms, and changes over the course of an intensive day hospital treatment program. Int J Eat Disord 1995;17:105-115. 

  17. Heebink DM, Sunday SR, Halmi KA. Anorexia nervosa and bulimia nervosa in adolescence: effects of age and menstrual status on psychological variable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5;34:378-382. 

  18. Bryant-Waugh R, Hankins M, Shafran R, Lask B, Fosson A. A prospective follow-up of children with anorexia nervosa.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996;25:431-437. 

  19. Lucas AR, Beard CM, O'Fallon WM, Kurland LT. 50-year trends in the incidence of anorexia nervosa in Rochester, Minn.: a population-based study. Am J Psychiatry 1991;148:917-922. 

  20. Kotler LA, Cohen P, Davies M, Pine DS, Walsh BT.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childhood, adolescent, and adult eating disorder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1; 40:1434-1440. 

  21. Steinhausen HC. The outcome of anorexia nervosa in the 20th century. Am J Psychiatry 2002;159:1284-1293. 

  22. Schmidt U, Hodes M, Treasure J. Early onset bulimia nervosa: who is at risk?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Psychological Medicine 1992;22:623-628. 

  23. Fosson A, Knibbs J, Bryant-Waugh R, Lask B. Early onset anorexia nervosa.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1987;62: 114-118. 

  24. Shaw H, Ramirez L, Trost A, Randall P, Stice E. Body image and eating disturbances across ethnic groups: more similarities than differences. Psychol Addict Behav 2004;18:12-18. 

  25. Garner DM. Eating disorder inventory-2: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Odessa;1991. 

  26. Lee JH, Shin MY, Jo HH, Jung YC, Kim JK, Kim KR.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ating Disorder Inventory-2: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ross-cultural comparison. Yonsei Med J 2012;53:1099-1106. 

  27.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2004;12:170-189. 

  28. Schaefer ES. A configurational analysis of children's reports of parent behavior. J Consult Psychol 1965;29:552-557. 

  29. Huh MY. A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ventory for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Adolescents. Korean J of Youth Counseling 2004;12:170-189. 

  30. 이민규, 이영호, 정한용, 최종현, 김승현, 김용구, 이수경. 원저: 한국판 Beck 우울증 척도 표준화 연구 2: 타당화연구. 정신병리학 1995;4:96-104. 

  31. 육성필, 김중술. 한국판 Beck Anxiety Inventory의 임상적 연구: 환자군과 비환자군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97; 16:185-197. 

  32. Fornari V, Wlodarczyk-Bisaga K, Matthews M, Sandberg D, Mandel FS, Katz JL. Perception of family functioning and depressive symptomatology in individuals with anorexia nervosa or bulimia nervosa. Compr Psychiatry 1999;40:434-441. 

  33. Kog E, Vandereycken W. Family characteristics of anorexia nervosa and bulimia: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Clinical Psychology Review 1985;5:159-180. 

  34. Ricciardelli LA, McCabe MP, Banfield S. Body image and body change methods in adolescent boys. Role of parents, friends and the media. J Psychosom Res 2000;49:189-197. 

  35. Field AE, Colditz GA. Frequent dieting and the development of obesit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Nutrition 2001;17: 355-356. 

  36. Botta RA, Dumlao R. How Do Conflict and Communication Patterns Between Fathers and Daughters Contribute to or Offset Eating Disorders? Health Communication 2002;14:199-219. 

  37. Jones CJ, Leung N, Harris G. Father-daughter relationship and eating psychopathology: the mediating role of core beliefs. Br J Clin Psychol 2006;45:319-330. 

  38. Fassino S, Amianto F, Abbate-Daga G. The dynamic relationship of parental personality traits with the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traits of anorectic and bulimic daughters. Compr Psychiatry 2009;50:232-239. 

  39. Elliott JC. Fathers, daughters, and anorexia nervosa. Perspectives in Psychiatric Care 2010;46:37-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