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 분석 -예비유아교사 및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The analysis of teaching perspective on good teaching for high school and higher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s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2, 2017년, pp.182 - 188  

고은현 (배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박혜림 (서울신학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수업이 지향해야 하는 가치에 대한 인식을 탐구하여 선행연구에서 밝혀왔던 좋은 수업의 세부 요소 및 특성들과 더불어 좋은 수업의 가치를 지향할 수 있는 수업의 우세 가치 유형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 유아교육과 재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좋은 수업에 대한 포괄적인 인식과 관점을 객관적으로 지표화한 TPI를 활용하여, 예비 및 현직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우세 가치 유형을 교차분석일원분산분석과 사후검증(Tukey의 HSD)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고등학교 수업의 우세가치는 학교유형과 관계없이 "양육" 관점으로, 대학교 수업은 "도제"관점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수업에 관한 연구결과는 "양육"이 우세 관점으로 나타났으며, 국내외 연구 결과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대학 수업의 경우 영미권에서는 도제 관점을 우세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국내 연구에서는 도제 관점이 우세하여 드러나 차이를 보였다. 또한 현직 유아교사가 실습경험 없는 예비교사보다 "도제" 관점을 우세하게 인식하였다. 국내외 연구와 본 연구 결과를 비교 고찰하여 좋은 수업의 가치를 논의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학교급과 전공을 세분화하여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한 분석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several factors of good instruction that have been studied by precedent studies as well as the dominated perspective of teaching that validates the value of good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the authors explore an understanding of the perspective that lessons ought to pursu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수업이 지향해야 하는 가치에 대한 인식을 탐구하여 선행연구에서 밝혀왔던 좋은 수업의 세부 요소 및 특성들과 더불어 좋은 수업의 가치를 지향할 수 있는 수업의 우세 가치 유형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현장실습 경험이 없는 예비교사보다 현직교사가 도제관점을 보다 우세한 가치로 인식하고 있었다. 일반대는 학문지향, 전문대는 직업훈련으로 그 목표가 달라 고등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우세 가치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 가정했다. 그러나 교원양성이라는 동일한 목표가 있어 우세 가치가 도제로 동일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 좋은 수업에 대한 연구는 크게 좋은 수업이 가져야 할 특징을 제시한 연구와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연구로 이루어져 왔다. 좋은 수업의 특징은 학교급 및 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다양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좋은 수업에 대한 연구 유형은 어떤것들인가? 좋은 수업에 대한 지원과 더불어 좋은 수업을 탐구하려는 연구도 이루어졌다. 장경원은 좋은 수업에 대한 연구 유형을 첫째, 이상적인 수업 요소 분석 둘째, 우수한 수업 특성 탐구 셋째, 학습자 및 교수자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 특징 도출로 구분하였다[1]. 좋은 수업은 이론가들의 이상적인 수업 모습 제시와 현실에서 인식되는 좋은 수업의 특성으로 개념화되고 있으나 연구마다 차이를 보이고 있다.
수업이란 무엇인가? 수업은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설계된 교수학습이 진행되는 의도적인 활동이다.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수업의 질 관리는 중요한 교육적 과제이며 교육현장에서는 교수법 연수, 수업컨설팅, 수업장학 등 교수자의 수업 능력 향상에 초점을 두고 좋은 수업을 위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시대에 따라 좋은 수업의 특징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좋은 수업의 특징은 시대에 따라서 속성이 달리 제시되기도 한다. 1976년 연구[2]는 교수자 중심의 수업운영 요소를 도출하고 있으나, 2000년대 이후의 연구에서는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소통을 강조하면서도 명확하고 유용한 사례 전달을 주요한 요소로 제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 G. Chang,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Using Appreciative Inquiry", Korean Education Inquiry, vol. 31, no. 1, pp. 137-160, 2014. 

  2. Feldman, K. A., "The Superior College Teacher from the Student's view",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vol. 5, pp. 243-288, 1976. DOI: https://doi.org/10.1007/BF00991967 

  3. K. H. Seo, "The Perspectives and Conceptions about Good Instructional Practice: An interview Study of Teachers and Student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vol. 22, no. 4, pp. 165-187, 2014. 

  4. S. S. Lee, Y. N. Lee, "Comparison of the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 on 'Good Instruction'",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vol. 18, no. 3, pp. 27-47, 2008. 

  5. H. J. Lee, S. H. Choi, W. G. Kim, C. T. Yun, M. G. Jeong, G. W. Choi,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for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Korean Middle school Classrooms - in the Subject Areas of Korean Language & Mathematics",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01. 

  6. M. K. Chung, "Pre-teacher's Perception of Good College Instructional Practice in The Teacher Education",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vol. 25, no. 3, pp. 247-264, 2007. DOI: https://doi.org/10.15708/kscs.25.3.200709.010 

  7. E. H. Lee, H. Y. Kim, "Defining a "Good Instruction": The Qualitative Study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The Journal of Educational Idea, vol. 22, no. 1, pp. 123-146, 2008. DOI: https://doi.org/10.17283/jkedi.2008.22.1.123 

  8. M. J. Park, "Students' Perceptions of Good Teaching in Higher Education-An Essay-Review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Humanities Studies, vol. 35, no. 3, pp. 229-253, 2008. 

  9. E. l. J, "Perceptions by teachers and students of good teaching at colleg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vol. 22, no. 3, pp. 25-44, 2010. 

  10. Zirnitat, C., "First year student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good teaching: Not all things are equ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vol. 29, pp. 386-392, 2006. 

  11. Borich, G. D., Effective teaching method. (4th ed.). New Jersey: Prentice Hall, 2000. 

  12. Farmer, J. F., Frenn., "Teaching Excellence: What Great Teachers Teach U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vol. 25, no. 5, pp. 267-272, 2009. DOI: https://doi.org/10.1016/j.profnurs.2009.01.020 

  13. Meyer. H., Was ist guter Unterricht? Berlin, 2004. 

  14. Zemelman, S., Daniels, H., & Hyde, A., Best practice: New Standards for Teaching and Learnig; in America's schools(second ed.), Portsmouth, NH: Heinemann., 1998. 

  15. H. W. Lee, H. S. Kang, Y. S. Jung, & E. Heo, "Analysis on Evaluation Inquiry of Lectures for the Improvement on University Lecture Quality - Focused on Liberal Art Courses of Engineering and Science Schools at SNU",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ol. 8, no. 4, pp. 52-63, 2005. 

  16. Pratt, D. D., Collins, J. B., Selinger, S. J., "The Teaching Perspectives Inventory", Proceedings of the 41st Adult Education Research Conference, Vancouver, BC, 2001. 

  17. Collins, J. B., & Pratt, D. D., "The Teaching Perspectives Inventory at 10 Years and 100,000 Respondent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Teacher Self-Report Inventory", Adult Education Quarterly, vol. 61, no. 4, pp. 358-375, 2011. DOI: https://doi.org/10.1177/0741713610392763 

  18. Collins, J., Selinger, S., & Pratt. D., "Development and Use of the Teaching Perspectives Inventory(TPI)", Proceedings of the 42nd AERA. London, 2001. 

  19. Y. W. Kee, "Assessing the Teaching Perspectives of Teacher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vol. 20, no. 3, pp. 39-61, 2003. 

  20. H. L. Roh, & M. N. Choi, "Analysis of Teaching Perspectives in a Faculty of University",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vol. 10, pp. 195-218, 2005. 

  21. S. H. Park, "Analysis of the Perspectives about Good Teaching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Korea, vol. 20, no. 1, pp. 173-191, 2016. 

  22. Pratt, D. D., & Collins, J. B., Teaching Perspectives Inventory, Retrieved From http://www.teachingperspectives.com., February, 15,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