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지역 독거노인의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Stress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Urban Areas on the Quality of Life: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2, 2017년, pp.443 - 451  

김형기 (한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 독거노인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독거노인의 삶의 질 향상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10곳 노인복지관 이용노인 중, 만 65세 이상 독거노인 232명을 대상으로 약 2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도시지역 독거노인의 스트레스 중, 건강, 가족, 경제,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는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도시지역 독거노인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즉, 도시지역 독거노인의 건강, 가족, 경제, 심리사회적 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삶의 질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완충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일반노인이 아닌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것에 큰 의의가 있고, 독거노인은 일반노인보다 취약한 환경 속에서 더 많은 스트레스 상황에 놓일 뿐 아니라 그에 따른 삶의 질 수준도 현저히 낮은 상태이다. 이러한 독거노인들을 사회적 차원에서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되고, 독거노인을 위한 적극적인 관심과 차별화된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urban areas by identifying their stress,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as well as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factors. In this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도시지역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 마련 방안에 대하여 논의한 연구도 매우 미흡한 편이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 독거노인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많은 독거노인들이 집중되어 있는[9] 도시지역 독거노인의 삶의 질 향상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 1: 도시지역의 독거노인의 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2: 도시지역의 독거노인의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3: 도시지역의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4: 도시지역의 독거노인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거노인의 정의란? 독거노인이란 배우자나 자녀, 친척 등 노인 본인 이외에는 전혀 동거인이 없고, 일반가정에서 거주하는 노인 단독세대를 의미하는데, 일반노인에 비해 전반적으로 건강상태가 불량하고, 대부분이 질병을 가지고 있으며, 정서적 측면에서도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특성이 있다[3]. 특히 독거노인 중,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이 비율이 증가하고 있고, 혈연 및 지연 공동체가 해 체되고 있는 도시화 사회에서는 농촌에서 거주하는 노인보다 도시노인의 우울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4].
노인인구 수의 급속한 증가가 야기하는 문제점은? 8% 로 초고령화 사회(super-aged society)로 그 속도가 빠 르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1]. 이렇듯 노인인구 수의 급속한 증가는 사회적인 관심뿐만 아니라 노인의 건강문 제와 생계적인 문제로 이어져 사회적인 문제와 국가적인 부담을 야기시키고 있다[2].
독거노인의 경우 사회적 고립에 대한 가능성이 있는 이유는? 독거노인의 경우 그들의 상황을 점검할 인적자원의 취약성으로 인해 사회적 고립 또는 위험에 대한 가능성이 있다. 즉, 가족 및 친척의 역할이 미비한 독거노인의 경우 노년기에 새롭게 형성할 수 있는 친구관계가 매우 제한적이다. 채현탁(2006)의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 독거노인의 경우 비공식적 및 공식적 지지망으로부터 격리되어 매우 심각한 사회적 고립상황이라고 하였다[3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Statistical Office, Future population estimate for 2016. 2016.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Guide to health and welfare for the elderly in 2016. 2016. 

  3. G. T. Kim, B. K. Park, "Life satisfaction and socal support network of the elderly living alone",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vol. 20, no. 1, pp. 153-168, 2000. 

  4. I. K. Seo, Y. S. Lee, "Mediated Effects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esource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ir Suicidal Ideation: With a focus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elderly living alone in rural and urban area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71, no. 2, pp. 219-247, 2016. DOI: http://dx.doi.org/10.21194/kjgsw.71.2.201606.219 

  5. S. W. Kim, H. S. Cho, "Relationships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finance, health, psychology status of the middle aged and elderly who are living alone",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 5, no. 3, pp. 89-116, 2012. 

  6. S. S. Lee, S. H. Kim, "A study on the living conditions and social welfare needs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in the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Focused on the province of Jeollanamdo", Journal of Korea Regional Development, vol. 11, no. 1, pp. 23-60, 2011. 

  7. B. I. Nho, S. H. Mo, "The effect of levels and dimensions of social support on geriatric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 27, pp. 53-69, 2007. 

  8. K. M. Park, E. K. Ha, "Ability of self care and health promotion lifestyle for vulnerable elderly in urban community",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es, vol. 30, no. 1, pp. 96-103, 2004. 

  9. D. J. Kim, Verification of the correlation among the stress, self-respect and quality of life of single-elderlies : comparison between the urban and rural groups. Doctoral Thesis, Dongbang Culture University of Korea, 2016. 

  10. G. Y. Lim, Sense-making of physical activity for senior citizens who live alone.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of Korea, 2010. 

  11. J. W. Hwang, K. U. Lee, J. Y. Kim, D. H. Lee, D. W. Kim, "The Affection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Living Together and the Elderly Living Alone on Suicidal Ide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Relation", The Korean Academy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vol. 45, no. 1, pp. 36-62, 2017. DOI: https://doi.org/10.24301/MHSW.2017.03.45.1.36 

  12. K. S. Kim, "Effects of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their families: Using data from the 2014 community health surve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28, no. 1, pp. 78-87, 2017. DOI: https://doi.org/10.12799/jkachn.2017.28.1.78 

  13. J. K. Lee, J. H. Kim, "A study on the need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Seoul", Seoul Studies, vol. 14, no. 3, pp. 191-211, 2013. 

  14. K. M. Nam, J. E.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older adults' daily life stress and their successful aging: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57, pp. 85-112, 2012. DOI: http://dx.doi.org/10.21194/kjgsw..57.201209.85 

  15. The Elderly Welfare Act, Law no. 13646, 2015. 

  16. Y. O. Lim, H. S. Yoon, "Process of old age stress leading to suicidal ideation: Focus on mediator of social support, mastery,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72, no. 1, pp. 123-149, 2017. DOI: http://dx.doi.org/10.21194/kjgsw.72.1.201703.123 

  17. I. K. Seo, H. C. Cho, "Mediation effects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A comparative study on people who live alone and those who live with family",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61, pp. 135-162, 2013. DOI: http://dx.doi.org/10.21194/kjgsw..61.201309.135 

  18. K. P. Ha, S. H. Song,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daily stress and social support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elderl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3, no. 7, pp. 278-289, 2013. DOI: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278 

  19. M. Y. Jung, M. Y. Shim,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participating social welfare using facilities: Focused on the program's participa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vol. 29, no. 4, pp. 1539-1557, 2009. 

  20. A. Sarvimaki, B. Stenbock-Hult, "Quality of life in old age described as a sense of well­being, meaning and valu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32, no. 4, pp. 1025-1033, 2000. DOI: https://doi.org/10.1046/j.1365-2648.2000.01568.x 

  21. E. H. Kim, J. W. Lee,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ho visited a senior center: With activity of daily living, quality of sleep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vol. 29, pp. 425-440, 2009. 

  22. S. S. Back, K. S. Kim, "A study about depression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2, no. 5, pp. 2555-2566, 2010. 

  23. J. N. Yang, E. J. Chop, H. S. Kim, J. Y. Sim, " A study of elders experience on ageism in urban and rural areas in Korea : Focused o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 34, pp. 207-229, 2010. 

  24. S. K. Bae, T. Um, E. J. Lee, "A Study of the Effect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Quality of Life of Lone Senior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2, no. 4, pp. 5-30, 2012.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2.32.4.5 

  25. G. B. Kim, S. H. Seok,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 20, no. 2, pp. 146-155, 2008. 

  26. J. S. Norbeck, "Social support: A model for clinical research and application", Advances in Nursing Science, vol. 3, no. 4, pp. 43-60, 1981. DOI: https://doi.org/10.1097/00012272-198107000-00006 

  27. J. S. House,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California: Adis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981. 

  28. H. J. Kang, The effects of elders' stress on successful aging: Moderating effects of selection, optimization, compensation coping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Doctoral Thesis, Kyunggi University of Korea, 2013. 

  29. W. S. Kim, A study o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s in young Deung Po district. Ma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3. 

  30. H. T. Chae, The Strengthening Plan of Social Support Network for the Aged Living Alone with Community Members as the Central Figure: Focused on Intervention of Volunteer Connection. Doctoral Thesis, Daegu University of Korea, 2006. 

  31. S. J. Kim, "Path Analysis of Religious Activity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33, pp. 29-50, 2006. DOI: http://dx.doi.org/10.21194/kjgsw..33.200609.29 

  32. K. S. Ahn,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and Social Support of Married Couples and Single Households Elderly",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vol. 25, no. 1, pp. 209-223, 2005. 

  33. K. M. Kim, E. K. Jung, "The Influence of Social Activity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Elderly Women Living alone on Their Quality of Lif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Death-Anxiety",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52, pp. 325-348, 2011. DOI: http://dx.doi.org/10.21194/kjgsw..52.201106.325 

  34. O. S. Shim, "Effects of stres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patients on renal dialysi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2, no. 2, pp. 95-107, 2010. 

  35. H. S. Yoon, B. M. Koo,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61, no. 2, pp. 303-324, 2009. DOI: https://doi.org/10.20970/kasw.2009.61.2.012 

  36. H. H. Yoon. Stress causing factors and coping behavior of the elderly.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of Korea, 2007. 

  37. Y. H. Jang,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s and socio-psycholocial factors of the elderly in urban area on quality of life. Doctoral Thesis, Chosun University of Korea, 2013. 

  38. Y. H. Park, E. M. Noh, " A study o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the elderly peopl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Health and Welfare for Elderly, vol. 7, no. 1, pp. 37-48, 2015. 

  39. S. J. Choi,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asuring scale of he concep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 Culture Research Institute, vol. 49, pp. 233-256, 1986. 

  40. S. Y. Son, Model construction of the quality of life in the rural elderly. Doctoral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2006. 

  41. R. M. Baron,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no. 6, pp. 1173-1182, 1986.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2. M. S. Son, The Effect of the elderly's life stress on Resilience. Doctoral Thesis, Honaml University of Korea, 2012. 

  43. J. E. Bae, H. H. Kim, M. K. Yang, H. J. Kim, J. H. Kim, H. H. Lim, "Stress and Management Strategies in Korean Elderly", Crisisonomy, vol. 9, no. 3, pp. 175-194, 2013. 

  44. K. M. Nam, E. K. Jung, "The Influence of Social Activity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Elderly Women Living alone on Their Quality of Lif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Death-Anxiety",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52, pp. 325-348, 2011. DOI: http://dx.doi.org/10.21194/kjgsw..52.201106.325 

  45. H. J. Kang, "Theoretical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Social Support upon Successful Aging", Social Work Practice & Research, vol. 8, no. 1, pp. 1-16, 20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