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공무원 및 도민의 인식 비교 분석 - 충청북도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f Climate Change Adaptation-related Recognition between Public Officials and Citizens - Focused on ChungCheongBukDo-Province -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3 no.4, 2017년, pp.19 - 28  

반영운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고인철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백종인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공무원 도민들 간의 인식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기후변화에 대한 두 집단 간의 인식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집단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두 집단의 적응 정책의 우선순위 및 분야별 기후변화 피해에 대한 체감도를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두 집단 간에는 기후변화 적응 정책에 대한 인식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후변화 적응정책은 정책 수립자와 수용자의 경계가 모호해질 때 정책적 효용성이 크므로, 본 연구는 인식차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집단의 특징을 분석하여 두 집단 간 인식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intended to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of climate change adaptation-related recognition between public officials and citizens in ChungCheongBukDo-Province, Korea. To reach this goal, we identified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y prioritizing target group's adaptation policie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정책을 수용하는 일반 도민과 정책을 집행하는 실무 공무원들이 기후변화를 받아들일 때는 차이를 보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집단의 기후변화 적응대책 분야 선호도와 적응정책에 중요한 요소인 기후변화 피해에 대한 체감도 분석을 통해 나타나는 특성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충청북도 도민 및 공무원의 기후변화 인지 현황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적응대책의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도청 및 각 시군별 시청에 속해있는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책 관련 공무원과, 도민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분야별 종합 체감도 및 세부 요인들에 대한 체감도, 기후변화 적응 정책 우선순위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수집 및 측정은 자기기입형 설문지를 활용한 실증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는데 공무원조사는 이전 계획인 제1차 충청북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에 따른 사업들을 직접적으로 담당하고 있는 전체실무자 138명을 대상으로 전자우편 방식으로 진행하였고, 도민조사는 각 시군 유동인구가 많은 버스터미널지역에서 개별면접방식으로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 단위로 적응정책이 시행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앞으로의 정책방향을 결정하는 데 기여하기 위해 정책수립 관련된 공무원 집단과 정책을 수용하는 일반 도민간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완화와 적응은 무엇인가?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은 완화와 적응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완화란 온실가스 저감을 통해 발생 원인을 억제하는 정책이고, 적응은 이미 일어난 피해 및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새로운 기회로 활용하는 정책이다(고재경, 2010). 초기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은 완화정책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 적응정책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의 변화는?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은 완화와 적응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완화란 온실가스 저감을 통해 발생 원인을 억제하는 정책이고, 적응은 이미 일어난 피해 및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새로운 기회로 활용하는 정책이다(고재경, 2010). 초기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은 완화정책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 적응정책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자체가 5년마다 수립하는 기후변화 적응대책 또한 좀 더 구체화되고, 지역 맞춤형 정책으로서 효율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도민/공무원에 대한 분야별 적응정책 우선순위 조사 결과는? 물관리 분야와 생태계 분야는 도민은 전 항목에 대해 영향력이 없다고 본 반면, 공무원은 전 항목에 대해 영향력이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두 집단 간의 인식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지자체 내 지역별, 계층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앞으로의 기후변화 대응에서 적응정책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 동향에 따라 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대책이 지역 맞춤형 정책으로서 효율성을 가지기 위해 한 발짝 더 나아가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고계성, 2011, 해양관광개발에 따른 관광지 지역주민의 관광영향 인식 차이 연구, 관광연구저널, 26(2), pp.41-54. 

  2. 고재경.최충익.김희선, 2010, 지방자치단체 기후변화 적응정책의 특성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2(6), pp.67-86. 

  3. 김서용.김선희, 2016, 기후변화 의식과 대응행동 결정요인 분석, 행정논총, 54(1), pp.179-206. 

  4. 김옥.김병빈.이진헌, 2014, 충청남도 일부 주민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도 조사 연구, 환경교육, 27(1), pp.69-82. 

  5. 김지현.고재경, 2012, 기후변화 적응에 관한 지자체 공무원 인식 특성 연구, GRI 연구논총, 14(1), pp.319-343 

  6. 박근아.상호.김명현, 2014, 기후변화에 대한 농업인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기후변화학회지, 5(1), pp.37-46. 

  7. 배민기.김보은, 2015, 충청북도의 기후 취약성기반 기후 변화 적응계획의 개선방향, 지역정책연구, 26(2), pp.103-124. 

  8. 안윤정.강영은.박창석 2016, 기후변화 적응 대책 특성 분석 및 개선 방향, 한국환경정책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45-46. 

  9. 이승한.윤순진, 2014, 한국인의 기후변화 인식 유형, 환경 사회학연구 ECO, 18(2), pp.119-167. 

  10. 정용재, 2011, '기후변화'에 대한 전형적 인식상황의 사례 연구,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2), pp.155-168. 

  11. 정윤지.하종식, 2015, 일반국민 및 이해관계자의 기후변화 적응 인식 비교 연구, 한국기후변화학회지, 6(2), pp.159-166. 

  12. 채희문.이상신.이현주, 2011, 기초지자체 기후변화 인식 조사를 통한 적응대책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1(6), pp.131-138. 

  13. 환경부, 2008, 기후변화 대응 대국민 인식도 조사(2차) 결과보고서. 

  14. 환경부, 2010,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에 따른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2011-2015). 

  15. 환경부, 2015, 제2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2016-2020). 

  16. Allman, L., Fleming, P. & Wallace, A., 2004, The progress of English and Welsh local authorities in addressing climate change, Local Environment, vol. 9, no. 3, pp. 271-283. 

  17. Grothmann, T., Patt, A., 2005, Adaptive capacity and human cognition:The process of individual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Global Environmental Change, 15, 199-203 

  18. IPCC, 2014, Climate Change 2014: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Part A: Global and sectoral aspect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19. Lee, T. M., Markowitz, E. M., Howe, P. D., Ko, C. Y., & Leiserowitz, A. A., 2015, Predictors of public climate change awareness and risk perception around the world, Nature climate change, 5(11), 1014-1020 

  20. N. A. Marshall, S. Park, S. M. Howden, A. B. Dowd, E. S. Jakku, 2013, Climate change awareness is associated with enhanced adaptive capacity, Agricultural Systems, 117, 30-34 

  21. T. T. Deressa, R. M. Hassan, C. Ringler, T. Alemu, M. Yesuf, 2009, Determinants of farmers' choice of adaptation methods to climate change in the Nile Basin of Ethiopia, Global Environmental Change, 19, 248-255 

  22. W. Neil Adger, 2001, Scales of governance and Environmental Justice for adaptation and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Journal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12, 921-9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