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월군 시멘트공장 주변지역 주민건강영향조사 결과보고서
Environmental health effects survey on residents living near the cement factory in Yeongwol County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연구책임자 유승도
참여연구자 박경화 , 이지영 , 유시은 , 이철호 , 정순원 , 이민정 , 임종한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7-12
주관부처 환경부
사업 관리 기관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등록번호 TRKO201200011563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가. 지역주민 설문조사
시멘트 공장이 위치하고 있는 강원도 영월군 서면(조사지역)과 시멘트 공장에서 20㎞ 이상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영월군 중동면과 하동면(대조지역)의 주민 3,407명(서면 1,687명, 대조지역 1,720명)을 대상으로 주요 환경성질환 및 만성질환의 증상, 진단 및 치료 경험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나. 초등학생 건강영향조사
강원도 영월군 서면의 신천초등학교(55명), 쌍용초등학교(51명)와 대조지역으로 선정된 중동면의 녹전초등학교(52명), 영월초등학교 연상분교(16명), 하동면의 옥동초등

Abstract

Objectives
Suspended particles in Yeongwol-Gun, where the world largest cement facilities are located, has become of significant public concern. Air and soil around cement facilities have been more polluted than others, since they have used diverse wastes as fuels and side-raw materials for cemen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요약문 ... 3
  • 목차 ... 9
  • 표목차 ... 14
  • 그림목차 ... 21
  • Abstract ... 24
  • I. 서론 ... 29
  • II. 연구내용 및 방법 ... 32
  • 1. 대상지역 및 대조지역 선정 ... 32
  • 가. 영월군 서면지역 개황 ... 32
  • 나. 대조지역 개황 및 선정 ... 34
  • 2. 연구의 추진체계 ... 35
  • 3. 지역주민 설문조사 ... 36
  • 가. 대상지역 ... 36
  • 나. 대상자 ... 36
  • 다. 설문조사 ... 37
  • 4. 초등학생 건강영향조사 ... 37
  • 가. 대상자 ... 37
  • 나. 설문조사 ... 38
  • 다. 건강검진 ... 38
  • 라. 피부단자 검사 ... 39
  • 마. 폐기능 검사 ... 40
  • (1) 폐활량 측정 ... 40
  • (2) 자료 분석 ... 41
  • 바. 기관지 과민성 검사 ... 42
  • 사. 혈중 납 분석 ... 42
  • 5. 주민건강검진 및 생체지표 조사 ... 43
  • 가. 대상자 ... 43
  • 나. 설문조사 및 건강검진 ... 44
  • 다. 폐기능 검사 ... 45
  • 라. 생체시료 분석 ... 45
  • (1) 중금속 분석 ... 46
  • (2) 산화손상지표 검사 ... 51
  • (3) 요중 cotinine 분석 ... 52
  • 6. 분자 세포독성 검사 ... 52
  • 가 In vitro 실험에 사용될 대상 세포주의 선정 ... 52
  • 나. In vitro 실험에 사용할 분진 시료 준비 ... 52
  • 다. MTT assay 방법을 이용한 분진의 세포독성(cell viability) 평가 ... 53
  • 라. 인간 폐섬세포주 및 지역주민 혈액시료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 54
  • (1) Total RNA 추출 ... 54
  • (2) cDNA 합성 및 Radioactive cDNA 제작(합성) ... 55
  • (3) Microarray Data 처리 ... 56
  • III. 연구결과 ... 58
  • 1. 지역주민 설문조사 결과 ... 58
  • 2. 초등학생 건강영향조사 ... 84
  • 가. 조사 대상의 특성 ... 84
  • 나. 초등학생 건강검진 검사 결과 ... 85
  • 다. 설문조사에 의한 초등학생 천식 및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 ... 88
  • (1) 성별에 따른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 ... 88
  • (2) 지역에 따른 알레르기 질환 유병률 ... 89
  • (3) 거주지와 시멘트공장과의 거리에 따른 알레르기 질환 유병률 ... 92
  • 라. 알레르기 검사 ... 93
  • (1) 기관지 과민성 검사 ... 93
  • (2) 현증 천식 양성률 ... 94
  • (3) 피부단자 검사 ... 94
  • (4) 거주기간과 알레르기와의 관련성 ... 95
  • 3. 주민건강검진 및 생체지표 조사 ... 98
  • 가. 지역주민의 건강 실태 조사 ... 98
  • (1) 연구 참여자들의 일반적 특성 ... 98
  • 나. 지역주민 건강진단 검사 결과 ... 100
  • (1) 신체계측 및 일반 혈액검사 ... 100
  • (2) 흉부 방사선 검사 결과 ... 103
  • 다. 건강영향 설문 분석결과 ... 105
  • (1) 만성질환 비교 ... 105
  • (2) 호흡기 증상 비교 ... 107
  • (3) 과거 분진노출 작업 직업력 ... 108
  • 라. 폐활량 검사 결과 ... 108
  • 마. 중금속 분석 결과 ... 111
  • (1) 전체조사 참여자 분석 ... 111
  • (2) 비흡연자를 대상으로 한 분석 ... 126
  • (3) 흡연자와 분진노출 작업 직업력자를 제외한 분석결과 비교 ... 130
  • 바. 산화손상지표 ... 132
  • (1) 전체 대상 분석 ... 132
  • (2) 비흡연자를 대상으로 한 분석 ... 134
  • (3) 흡연자와 분진노출 작업 직업력자를 제외한 분석결과 비교 ... 136
  • 사. 생체노출 지표 및 폐활량 검사의 상관관계 ... 137
  • 4. 분진 세포독성 검사 ... 140
  • 가. 시멘트 분진의 세포독성(Cytotoxicity) 평가 ... 140
  • 나. 시멘트공장 인근 분진이 인간 폐세포주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 141
  • 다. 영월지역 혈액 시료에서의 microarray 실험 결과 보고 ... 145
  • (1) 분진작업을 하지 않은 대조지역과 쌍용 지역의 혈액샘플 비교 결과 ... 147
  • (2) 분진작업을 하지 않은 대조지역과 신천 지역의 혈액샘플 비교 결과 ... 151
  • (3) 대조지역 남성과 쌍용리 남성의 혈액 시료에서 유전자 발현 패턴 비교 ... 154
  • (4) 대조지역 남성과 신천 지역 남성의 혈액샘플 비교 결과 ... 156
  • (5) RT-PCR 방법과 Western blot 방법을 이용한 유전체 연구 결과의 검증 ... 159
  • IV. 고찰 ... 162
  • 1. 지역주민 설문조사 ... 162
  • 2. 초등학생 건강영향조사 ... 165
  • 3. 주민건강검진 및 생체지표 조사 ... 166
  • 가. 주민건강상태 및 폐활량 조사 ... 166
  • 나. 중금속 및 산화손상 지표 ... 169
  • 4. 분진 세포독성 검사 ... 171
  • IV. 결론 ... 181
  • 참고문헌 ... 183
  • 부록 ... 189
  • 부록 1. 지역주민 설문지 ... 190
  • 부록 2. 어린이 종합건강검진 안내 및 신청서 ... 195
  • 부록 3. 어린이 생활환경 및 건강에 관한 설문지 ... 198
  • 부록 4. 영월지역 주민 건강조사 설문지 ... 213
  • 부록 5. 강원도 영월군 서면 암발생 및 암사망 자료 분석결과 ... 227
  • 부록 6. 중금속 생체기준 및 참고치 ... 238
  • 부록 7. 중금속 분석 정도관리 결과 ... 241
  • 부록 8. 쌍용, 신천, 영월지역 대기 중 분진 중금속 분석 결과 ... 247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