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들의 다이어트와 식생활관련 모바일 앱 활용과 개선을 위한 연구
Study for Utility and Improvement of Mobile Applications for Diet and Dietary Life of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7, 2018년, pp.231 - 241  

남혜원 (수원여자대학교 외식산업과) ,  명춘옥 (오산대학교 호텔조리계열) ,  박영심 (신한대학교 식품조리과학부(연세대학교 심바이오틱라이프텍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마트폰을 활용한 건강관리는 시간과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아 대학생들의 건강관리를 위한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이어트와 식생활관련 앱을 2주일간 사용하도록 한 후 앱 효능감과 평가를 통해서 앱 활용성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앱 효능감과 지속적인 사용의지가 낮아 현재 개발된 앱들이 다이어트와 식생활 개선의지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앱 평가점수는 $3.12{\pm}0.85$였으며, 앱 평가 요인 중 편리성과 콘텐츠에 비해 유용성과 커뮤니티요인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콘텐츠와 커뮤니티는 성별에 따라, 콘텐츠와 편리성은 BMI와 다이어트 경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앞으로 대학생의 니즈와 특성을 고려하여 앱의 유용성을 높이고 social networking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들이 더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ee from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diet management with smartphones can be highly useful for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utility of diet related apps by efficacy and app evaluation after using the apps for 2 weeks. Results showed that the intent for continuing use apps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스마트폰 활용이 높아짐에 따라 관련 앱들이 중요한 정보제공 및 교육수단이 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관심이 큰 다이어트와 식생활 관련 분야의 모바일 앱 이용자들의 특성과 이용현황을 분석하고 그들의 앱 평가를 통하여 효과적인 앱 개발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389명을 대상으로 실제로 관련 앱을 사용하게 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따라서 대학생들을 위한 건강관리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넘어 쉽게 접근이 가능하고 경제적이어야 하며, 스스로 자신의 건강에 책임이 있음을 인지하고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활용도가 높고 다이어트에 관심이 많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이어트와 식생활 관련 모바일 앱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조사하고, 직접 앱을 사용한 후 앱에 대한 평가를 통해 향후 대학생들의 건강관리를 위한 모바일 헬스 중재 프로그램에 최적화된 다이어트와 식생활 관련 앱을 개발하고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한국의 스마트폰 사용률은 얼마인가? 5%이었다[1].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한국은 전체 인구의 70% 이상이 스마트폰을 사용, 세계 보급률 6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서울은 스마트폰 보급률 순위에서 세계 500개 도시 중 2위에 올랐다[2]. 이는 우리 사회가 스마트폰과의 친밀도가 매우 높아졌음을 시사한다.
다이어트 관련하여 개발된 앱의 현실태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다이어트 관련하여 개발된 앱들은 음식의 열량과 영양 데이터베이스를 탑재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기록한 식사량 및 운동량을 분석해 주며, 목표체중을 설정하여 개인의 다이어트 일정을 관리해 주고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 이러한 앱들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거나 이용한 적이 있다 하더라도 일회성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건강행태를 개선하여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효용성은 아직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지 않다.
다이어트와 관련한 모바일 앱이 다수 개발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모바일기기의 건강 관련 활용은 향후 유망한 산업분야로 예측되고 있다[4]. 특히 식생활의 변화로 과체중 및 비만인구가 증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사회생활에서 외모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날씬한 몸매를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로 인하여[5] 다이어트와 관련한 모바일 앱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다이어트 관련하여 개발된 앱들은 음식의 열량과 영양 데이터베이스를 탑재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기록한 식사량 및 운동량을 분석해 주며, 목표체중을 설정하여 개인의 다이어트 일정을 관리해 주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inistry of Science and ICT,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8). 2017 Survey on the Internet Usage Summary Report. Seoul : Ministry of Science and ICT,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 J. P. Choi. (2017. 7. 1). Korea, 6th in smartphone penetration rate... Higher than US, China, and Japan. The Electronic Times. http://www.etnews.com/20170701000026?m1 

  3. M. Kakihara. (2016). Mobile Apps in APAC: 2016 Report. Google. https://www.thinkwithgoogle.com/intl/en-apac/trends-and-insights/mobile-apps-in-apac-2016-report/ 

  4. N. R. Kim. (2015). A study concerning the operation condition and direction of improvement of korean u-healthcare. Master dissertation.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5. S. Y. Park. (2018). The effect of subjective body type recognition on weight change in women with normal BMI. Jouornal of the Korean Convertence Society. 9(4), 313-320. DOI: 10.15207/JKCS.2018.9.4.313 

  6. J. W. Lee & M. S. Lee. (2012). A Group Social Diet Application Based on Motion Game. IEMEK Journal of Embedded Systems and Applications, 7(4), 181-186. DOI : 10.14372/IEMEK.2012.7.4.181 

  7. H. S. Kim. (2017). A study on development of service design for IoT health care product : focused on the service for diet and weight-control. Master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8. J. H. Cho & S. J. Kim. (2015). Factors of Leading the Adoption of Diet/Exercise Apps on Smartphones: Application of Channel Expansion Theory.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16(1), 101-108. DOI : 10.7472/jksii.2015.16.1.101 

  9. Y. J. Kim. (2014).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Application for Safe Dietary Life based on the Elementary School Parents' Recognition on Food Additives. Master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10. J. H. Cho. (2013). Development of an Application for Children's Dietary Education. Master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11. B. M. Hwang. (2014). Development of a Smartphone Application on Food Additiv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12. J. W. Kim & E. J. Lee. (2013). Current status of dietary education applications as a smart education material.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6(4), 81-110. 

  13. S. H. Hwang. (2016). Design of a Mobile Application for the Healthy Dietary Life of One-person Households : Centering on Employed Workers in Their 30s. Master dissertation.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14. U. E. Moon. (2018). A convergence study on factors affecting physical-health status of college students. Jouornal of the Korean Convertence Society, 9(1), 31-39. DOI: 10.15207/JKCS.2018.91.031 

  15. M. S. Kim & S. Y. Yun. (2017). Effects of eating habits and self-efficacy on students'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convergence era.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2), 111-117. DOI: 10.22156/CS4SMB.2017.7.2.111 

  16. Y. K. Lee. (2014). The utilization and content evaluation of mobile application on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care. Master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17. J. O. Song. (2016). Consumer recognition and current status of use of smartphone apps for cosmetics. Master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18. A. N. Yoon. (2016). A Study on the Usage and Preferences of cosmetics branded app and cosmetics app. Master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Chungju. 

  19. J. H. Rim. (2016). A study of kindergarteners parent's using dedicated smartphone apps and advantage effectiveness analysis and satisfaction. Master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Cheonan. 

  20. M. K. Gil, H. S. Jeong & J. Y. Yoon. (2014). Usage and satisfaction of food-related smartphone applications of office workers in seoul area. Korean J. Food Nutr, 27(6), 1096-1106. DOI : 10.9799/ksfan.2014.27.6.1.96 

  21. KCDC. (2018). 2016 National Health Statistics. Cheongju : KCDC. 

  22. S. Y. Kim. (2017).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adaptation, self-esteem and self-control of university students on smartphone addiction. Jouo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6), 103-111. DOI: 10.22156/CS4SMB.2017.7.6.103 

  23. B. R. Wang, J. Y. Park & I. Y. Choi. (2011). Influencing factors for the adoption of smartphone healthcare appli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10), 396-404. DOI : 10.5392/JKCA.2011.11.10.396 

  24. Hanyang Cyber University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The effects of healthcare initiatives using mobile app and wearable devicies. Seoul : Hanyang Cyber University, Sejong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5. E. Seo. (2015). Study on smart mobile healthcare UX design for persistent motivation. Master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Seoul. 

  26. M. A. Kang & S. K. Lee. (2017). Analysis of users' needs for developing mobile health based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metabolic syndrome in college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9), 429-442. 

  27. J. H. Cho. (2014). The investigation of factors of determining continuous use of health apps on smartphones. Journal of Public Relations, 18(1), 212-241. 

  28. Y. K. Lee. (2017). Status and development plan of mobile healthcare service in public health. Seoul :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