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사사진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 모바일 폰 앱의 나트륨 섭취 추정 타당성 연구
Validity of Estimating Sodium Intake using a Mobile Phone Application of 24-hour Dietary Recall with Meal Photo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5 no.4, 2020년, pp.317 - 328  

김서윤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상진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of a mobile phone application (app) that applies a 24-hour dietary recall with meal photos, as a means of being a more accurate method of estimating dietary sodium intake. Methods: Of the 203 subjects enrolled, 172 subjects (84 mal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아직까지는 나트륨 섭취량을 파악하는 데에 타당성이 가장 높은 방법은 24시간 소변분석이라고 볼 수 있고[15], 나트륨 섭취량이 1일 동안에 모두 배출되지 않는 점을 미루어 보아 여러 날의 24시간 소변 수집이 이루어져야 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1일 만의 24시간 식사 회상을 하였는데 24시간 식사 회상을 이용한 1일 음식섭취조사는 여러 날의 24시간 식사 회상보다 나트륨 섭취량을 저평가한다고 알려져 있고 개인내 변이 등을 고려하여 실제 개인의 평균적 나트륨 섭취량을 파악하려면 여러 날의 식이조사가 필요하다고 보고되고 있어 1일 섭취조사를 통해 섭취량 추정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것은 본 연구의 큰 제한점 중의 하나이다[40, 48, 49]. 또한 Katherine 등[50]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의 National Cancer Institute method(NCI method)를 사용하여 일상 영양소 섭취량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 방법을 위해서는 개인내 변이를 고려하기 위해 최소 2일 이상의 음식섭취조사가 필요하나 본 연구는 1일 음식섭취조사만 이루어졌고 대상자 수도 적고 무작위로 모집 하지 못하여 이를 적용하기 어려워 개인내 변이를 보정해 주지 못했고 이는 결과 해석에 많은 제한점으로 작용한다.
  • 본 연구에서는 면대면 24시간 식사 회상, 앱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 국물 섭취량을 고려한 면대면 24시간 식사 회상, 앱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과 음식섭취빈도지(DFQ73) 그리고 24시간 소변분석에 의해 측정된 나트륨 섭취량을 비교하여 앱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의 타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면대면 24시간 식사 회상, 앱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 국물 섭취량을 고려한 면대면 24시간 식사 회상, 앱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과 음식섭취빈도지(DFQ73) 그리고 24시간 소변분석을 이용해 측정된 나트륨 섭취량을 비교하여 앱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의 타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면대면 24시간 식사 회상, 앞서 개발한 앱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 국물 섭취량을 고려한 면대면 24시간 식사 회상과 앱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 음식섭취빈도지 그리고 24시간 소변 배설량을 이용해 추정된 나트륨 섭취량을 비교하여 앱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의 타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트륨의 과잉섭취는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나트륨(sodium, Na)은 한국인이 과잉 섭취하고 있는 영양소 중 하나로 나트륨의 섭취가 과다한 경우 고혈압과 위암, 골다공증,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등을 유발 또는 악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1-3]. 또한 나트륨과 고혈압의 관계는 오래전부터 연구되어왔는데 나트륨의 과잉섭취는 본태성 고혈압의 원인으로 혈액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혈관수축에 관여하는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켜 혈압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2-4]. 특히 나트륨 섭취량에 따라 혈압이 변화하는 소금민감성을 가진 사람들은 나트륨 섭취량에 주의해야 하는데 우리나라에서 소금민감성을 가진 사람의 비율은 정상혈압인 사람의 약 18%, 고혈압인 사람은 약 52% 라고 보고되고 있다[5].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량에 크게 기여하는 음식 군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Yon 등 [6]의 연구에 따르면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량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음식군에 김치류(24.5%), 면 및 만두류 (12.4%), 국 및 탕류(10.6%), 찌개 및 전골류(8.7%) 등으로 상위 약 56.2%의 음식이 국물이나 소스 등을 포함하여 나트륨 섭취량에 국물 음식이 높은 기여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트륨 섭취량 측정 방법에서 24시간 소변분석법은 어떤 단점이 있는가? 그 중에서도 24시간 소변분석법의 경우 나트륨 식이섭취량과의 상관관계가 높아 나트륨 섭취량을 파악하는 데에 타당성이 가장 높다고 알려져 있다[14, 15]. 그러나 24시간 동안 소변을 수집함에 따른 번거로움으로 인한 대상자의 부담이 높은 편이여서 많은 대상자에게 실시하기가 힘들고 섭취한 나트륨이 짧은 시간 내에 모두 배출되는 것이 아니므로 실제보다 섭취량이 저평가된다는 단점이 있다[13, 16, 17]. 식이섭취조사 중 하나인 식품섭취빈도지(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는 비교적 장기간의 습관적인 영양소 섭취의 평가가 가능하고 최소한의 인력으로 다수의 사람들에게 실시할 수 있어 비용이 적게 든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Wardener de HE, MacGregor GA. Harmful effects of dietary salt in addition to hypertension. J Human Hypertens 2002; 16(4): 213-223. 

  2. Nagata C, Takatsuka N, Shimizu N, Shimizu H. Sodium intake and risk of death from stroke in Japanese men and women. Stroke 2004; 35(7): 1543-1547. 

  3. Kurosawa M, Kikuchi S, Xu J, Inaba Y. Highly salted food and mountain herbs elevate the risk for stomach cancer death in a rural area of Japan. J Gastro Hepa 2006; 21(11): 1681-1686. 

  4. Blaustein MP, Hamlyn JM. Role of natriuretic factor in essential hypertension: an hypothesis. Ann Intern Med 1983; 98(5pt2): 785-792. 

  5. Shin SJ, Lim CY, Rhee MY, Oh SW, Na SH, Park Y et al. Characteristics of sodium sensitivity in Korean populations. J Korean Med Sci 2011; 26(8): 1061-1067. 

  6. Yon M, Lee J, Koh E, Nam E, Shin H, Kang BW et al. Major sources of sodium intake of the Korean population at prepared dish level: based on the KNHANES 2008 & 2009.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4): 473-487.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Cheongju: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8. Kim HH, Lee YK. Analysis of presumed sodium intake of office workers using 24-hour urine analysis and correlation matrix between variables. Korean J Nutr 2013; 46(1): 26-33. 

  9. Park YH. Analysis of sodium and potassium contents in Korean soup and stew (liquid-based dishes) from home meal, school meal and eat-out. [Masters dissertation]. Kookmin University; 2016. 

  10. Loria CM, Obarzanek E, Ernst ND. Choose and prepare foods with less salt: dietary advice for all Americans. J Nutr 2001; 131(2): 536-551. 

  11. Shin EK, Lee HJ, Lee JJ, Ann MY, Son SK, Lee YK. Estimation of sodium intake of adult female by 24-hour urine analysis, dietary record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55). Korean J Nutr 2010; 43(1): 79-85. 

  12. Kawano Y, Tsuchihashi T, Matsuura H, Ando K, Fujita T, Ueshima H. Report of the working group for dietary salt reduction of the Japanese society of hypertension:(2) Assessment of salt intake in the management of hypertension. Hypertens Res 2007; 30(10): 887-893. 

  13. Colin-Ramirez E, Arcand J, Ezekowitz JA. Estimates of dietary sodium consump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J Card Fail 2015; 21(12): 981-988. 

  14. Liu K, Cooper R, McKeever J, McKeever P, Byington R, Soltero I et al. Assessment of the association between habitual salt problems. AM J Epidemiol 1979; 110(2): 219-226. 

  15. Kim HH, Shin EK, Lee HJ, Lee NH, Chun BY, Ahn MY et al. Analysis by delphi survey of a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for a salt reduction project. Korean J Nutr 2009; 42(5): 486-495. 

  16. Son SM, Huh KY. Salt intake and nutritional problems in Korean.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3): 381-390. 

  17. Son SM, Park YS, Lim WJ, Kim SB, Jeong Y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alidity of short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for estimation of habitual sodium intake for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6): 838-853. 

  18. Willett WC, Sampson L, Stampfer MJ, Rosner B, Bain C, Witschi J et al. Reproducibility and validity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m J Epidemiol 1985; 122(1): 51-65. 

  19. Cade J, Thompson R, Burley V, Warm D. Development, validation and utilisation of food-frequency questionnaires - a review. Pubilc Health Nutr 2002; 5(4): 567-587. 

  20. Dwyer JT, Krall EA, Coleman KA. The problem of memory in nutritional epidemiological research. J Am Diet Assoc 1987; 87(11): 1509-1512. 

  21. Willet W. Nutritional epidemiology. 3r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p. 51. 

  22. Krall EA, Dwyer JT, Coleman KA. Factors influencing accuracy of dietary recall. Nutr Res 1998; 8(7): 829-841. 

  23. Nelson M, Atkinson M, Darbyshire S. Food photography II: use of food photographs for estimating portion size and the nutrient content of meals. Br J Nutr 1996; 76(1): 31-49. 

  24. Turconi G, Guarcello M, Berzolari FG, Carolei A, Bazzano R, Roggi C. Evaluation of a colour food photography atlas as a tool for quantifying food portion size in epidemiological dietary survey. Eur J Clin Nutr 2005; 59(8): 923-931. 

  25. Ovaskainen ML, Paturi M, Reinivuo H, Hannila ML, Sinkko H, Lehtislo J et al. Accuracy in the estimation of food servings against the portions in food photographs. Eur J Clin Nutr 2007; 62(5): 674-681. 

  26. Kim SY, Chung SJ. Development and User Satisfaction of a Mobile Phone Application for Image-based Dietary Assessment. Korean J Community Nutr 2017; 22(6): 485-494. 

  27. Satoh M, Tanno Y, Hosaka M, Metoki H, Obara T, Asayama K et al. Salt intake and the validity of a salt intake assessment system based on a 24-h dietary recall method in pregnant Japanese women. Clin Exp Hypertens 2015; 37(6): 459-462. 

  28. Rangan AM, O' Connor S, Giannelli V, Yap ML, Tang LM, Roy R et al. Electronic Dietary Intake Assessment (e-DIA): Comparison of a mobile phone digital entry app for dietary data collection with 24-hour dietary recalls. JMIR mHealth and uHealth 2015; 3(4): e98. 

  29. Yoon YO, Kim ES, Ro HK. Potassium intakes of some industrial workers. Korean J Nutr 1991; 24(4): 344-349. 

  30. Dawn K. Effect of potassium on blood pressure in salt sensitive and salt resistant black adolescents. Hypertension 1999; 34(2): 181-186. 

  31. Ban DE. Survey in sodium intakes and dietary behavior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Seoul [Masters dissertation]. Kookmin University; 2014. 

  32. Lazarte CE, Encinas ME, Alegre C, Granfeldt Y. Validation of digital photographs, as a tool in 24-h recall, for the improvement of dietary assessment among rural popula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Nutr J 2012; 11(1): 1-14. 

  33. Williamson DA, Allen HR, Martin PD, Alfonso AJ, Gerald B, Hunt A. Comparison of digital photography to weighed and visual estimation of portion size. J Am Diet Assoc 2003; 103(9): 1139-1145. 

  34. Seo JS, Lee JH, Yun JD, Cho SH, Choi YS. Nutritional assessment. 3rd ed. Seoul: Powerbook; 2008. p. 112 

  35. Lee HJ, Lee JS. Supporting sustainable food logging by adjusting the degree of data input structure. Proceeding of HCI KOREA; 2016 Jan 27; Kangwon: p. 677-679. 

  36. Kim OS. BMI, body attitude and dieting among college women. J Korean Acad Adult Nurs 2002; 14(2): 256-264. 

  37. Six BL, Schap TE, Zhu FM, Mariappan A, Bosch M, Delp EJ et al. Evidence-based development of a mobile telephone food record. J Am Diet Assoc 2010; 110(1): 74-79. 

  38. Ingwersen LA, Raper NR, Anand J, Moshfegh AJ, Food Surveys Research Group. Validation study shows importance of probing for forgotten foods during a dietary recall. J Am Diet Assoc 2004; 104: 13. 

  39. Sasaki S, Yanagibori R, Amano K. Validity of a selfadministered diet history questionnaire for assessment of sodium and potassium. Jpn Circ J 1998; 62(6): 431-435. 

  40. Espeland MA, Kumanyika S, Wilson AC, Reboussin DM, Easter L, Self M et al. Statistical issues in analyzing 24-hour dietary recall and 24-hour urine collection data for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Am J Epidemiol 2001; 153(10): 996-1006. 

  41. Son SM, Huh KY. Salt intake and nutritional problems in Korean.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3): 381-390. 

  42. Kirkendall AM, Connor WE, Abboud F. The effect of dietary sodium chloride on blood pressure, body fluids, electrolytes, renal function and serum lipids of normotensive man. J Lab Clin Med 1976; 87(3): 411-434. 

  43. Pietinen P. Estimating sodium intake from food consumption data. Ann Nutr Metab 1982; 26(2): 90-99. 

  44. Kim YS, Paik HY. Measurement of Na intake in Korean adult females. Korean J Nutr 1987; 20(5): 341-349. 

  45. Liu K, Stamler J. Assessment of sodium intake in epidemiological studies on blood pressure. Ann of Clin Res 1983; 16(43): 49-54. 

  46. Rhee MY, Kim JH, Shin SJ, Gu N, Nah DY, Hong KS et al. Estimation of 24-hour urinary sodium excretion using spot urine samples. Nutrients 2014; 6(6): 2360-2375. 

  47. Peng Y, Li W, Wang Y, Chen H, Bo J, Wang X et al. Validation and assessment of three methods to estimate 24-h urinary sodium excretion from spot urine samples in Chinese adults. PLoS One 2016; 11(2): e0149655. 

  48. Caggiula AW, Wing RR, Nowalk MP, Milas NC, Lee S, Langford H. The measurement of sodium and potassium intake. Am J Clin Nutr 1985; 42(3): 391-398. 

  49. Basiotis PP, Welsh SO, Cronin FJ, Kelsay JL, Mertz W. Number of days of food intake records required to estimate individual and group nutrient intakes with defined confidence. J Nutr 1987; 117(9): 1638-1641. 

  50. Overwyk KJ, Zhao L, Zhang Z, Wiltz JL, Dunford EK, Cogswell ME. Trends in blood pressure and usual dietary sodium intake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3-2016. Hypertension 2019; 74(2): 260-2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