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헛개나무 추출물이 첨가된 영지버섯균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Anti-melanogenesis Effect of Ganoderma lucidum Mycelial Extract Supplemented with Oriental Raisin Tree (Hovenia dulcis) Extract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3 no.4, 2017년, pp.357 - 364  

김홍일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의생명화학과, 의료생명연구소) ,  정용운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의생명화학과, 의료생명연구소) ,  김종현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의생명화학과, 의료생명연구소) ,  최인호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의생명화학과, 의료생명연구소) ,  이준호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의생명화학과, 의료생명연구소) ,  이창수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의생명화학과, 의료생명연구소) ,  박영진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의생명화학과, 의료생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영지버섯 균사 배양 시 헛개나무 추출물의 첨가가 영지버섯의 가나도마난디올의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가나도마난디올은 트리터페노이드 계열의 물질이며 영지버섯의 주요한 생리효능을 가지는 물질 중의 하나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자들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가나도마난디올이 B16F10 멜라노마 세포의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 및 멜라닌 생합성 저해능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영지버섯 균사 배양 시 15% (v/v)의 헛개나무 추출물 첨가하면 영지버섯의 가나도마난디올 생합성이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HPLC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15%(v/v)의 헛개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영지균사 배양추출물의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 대한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이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영지버섯 균사 배양 시 헛개나무 추출물 첨가가 미백활성을 가지는 가나도마난디올 생합성 증가뿐 아니라, 액체 및 고체 배양시 균사의 생장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헛개나무가 영지버섯균사의 미백활성 물질인 가나도마난디올 생합성의 증가를 유도하고 이로 인한 영지버섯 균사의 미백 활성이 증가하는 유용한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venia dulcis (oriental raisin tree) extract on ganodermanondiol (GN) contents in Ganoderma lucidum (G. lucidum) mycelia. GN has a triterpenoid structure and is one of the major active components of G. lucidum. Furthermore, we previously prov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 헛개나무 추출물 첨가가 영지버섯 균사 생장에 미치는 영향

    영지버섯 균사 배양 시 헛개나무 추출물 첨가가 영지버섯의 가나도마난디올의 생합성을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잠재적 미백 기능성 제품으로써의 이용가능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에서 과연 영지버섯의 가나도마난디올의 생합성만을 증가시키는지 아니면 영지버섯의 생장에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헛개나무 추출물 첨가에 따른 영지버섯 균사의 생장률을 조사하였다. Figure 5에서 헛개나무 추출물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영지버섯 균사의 성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 이러한 티로시나제효소는 L-티로신의 수산화(hydroxylation)와 L-도파(L-3,4-dihydroxyphenylalanine)를 o-퀴논(dopaquinone)으로 산화시키는 효소이다[7]. 이로 인해 많은 연구자들이 멜라닌생합성과 멜라닌생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티로시나제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고자 경주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까지 다양한 소재가 보고되었으며, 여기에는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8], 레티놀(retinol)[9], 코직산(kojic acid)[10], 비타민 C[11], 그리고 알부틴(arbutin)[12] 등이 있다.
  • 그러나 이러한 천연소재의 발굴에는 부작용의 최소화를 위한 생물학적 활성 화합물의 동정 및 이들의 생리학적 기능을 과학적으로 규명해야 하는 중요한 도전이 따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유래 기능성 화장품 소재를 발굴하고자 헛개나물 추출물 및 영지버섯 균사를 그 대상으로 이들의 화장품 소재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HPLC분석에 의해 영지버섯 균사배양 시 헛개나무 추출물을 첨가하면 영지버섯의 미백기능성 물질인 가나도마난디올의 생합성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실제 헛개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영지버섯 균사 배양추출물이 B16F10 세포의 멜라닌 생합성을 유의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 그러나 본 연구진에 의해 최근 영지버섯 유래 미백기능성 유효성분의 분리와 동정이 이루어졌으며, 다양한 영지버섯 유래 물질 중 가나도마난디올이 티로시나제활성 저해 뿐 아니라 멜라닌 세포 내 멜라닌색소 생합성 경로에 중요한 인자들(MITF, pCREB, ERK, JNK 등)의 조절로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25]. 이와 관련된 후속연구로 본 연구진들은 영지버섯의 미백기능성 물질인 가나도마난디올의 생합성을 촉진하는 새로운 소재를 찾고자 하였으며, 이의 일환으로 영지버섯균사 배양 시 헛개나무(oriental rasin tree) 추출물을 첨가하여 가나도마난디올의 생합성 증대 여부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HPLC분석을 통하여 영지버섯 균사 배양 시 헛개나무(oriental rasin tree) 추출물을 첨가하면, 농도 의존적으로 영지버섯균사의 가나도마난디올 생합성이 증대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의 추출물을 B16F10 세포에 처리하여 멜라닌 생합성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멜라닌은 무엇인가? 멜라닌은 멜라노마세포에 의해 타이로신을 기질로 하여 생산되며, 피부와 모발의 색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다[1-6]. 이와 관련하여 티로시나제효소(EC1.
영지버섯의 효능은 무엇인가? 이러한 식물성 소재와 더불어 이미 오래전부터 다양한 버섯이 인간의 건강 증진을 위해 사용되었기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버섯에 대한 잠재적 효용성에 주목하고 있다[20]. 불로초라고도 알려진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은 한국, 중국, 일본을 포한한 아시아 국가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약용버섯이며, 오래전부터 항종양, 항산화, 항염 등의 다양한 생리적 활성을 있다는 것이 보고되었다[21,22]. 또한 영지버섯은 이미 건강기능성 식품소재뿐 아니라, 화장품 소재로써의 그 이용가치가 이미 보고된바 있다[23].
코직산, 비타민 C, 그리고 알부틴 등은 어떤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되었는가? 이와 관련하여, 현재까지 다양한 소재가 보고되었으며, 여기에는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8], 레티놀(retinol)[9], 코직산(kojic acid)[10], 비타민 C[11], 그리고 알부틴(arbutin)[12] 등이 있다. 이 중 대표적인 미백 효능 물질인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은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도파(DOPA)가 멜라닌색소로 전환되는 것을 방해하는데 효과적인 물질이나[13], 세포 독성 및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부작용을 초래한다는 것이 연구자들에 의해 보고되었다[14,15]. 또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로 코직산, 비타민 C, 그리고 알부틴 등이 있으나, 이들은 안정성문제로 인하여 그 사용이 제한적인 것으로 알려졌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 Slominski, D. J. Tobin, S. Shibahara, and J. Wortsman, Melanin pigmentation in mammalian skin and its hormonal regulation, Physiol. Rev., 2004, 84, 1155 (2004). 

  2. A. Slominski, J. Wortsman, P. M. Plonka, K. U. Schallreuter, R. Paus, and D. J. Tobin, Hair follicle pigmentation, J. Investig. Dermatol., 124, 13 (2005). 

  3. G. E. Costin and V. J. Hearing, Human skin pigmentation: Melanocytes modulate skin color in response to stress, FASEB J., 21, 976 (2007). 

  4. A. Slominski, M. A. Zmijewski, and J. Pawelek, L-Tyrosine and L-dihydroxyphenylalanine as hormone-like regulators of melanocyte functions., Pigment Cell Melanoma Res, 25, 14 (2012). 

  5. I. F. Videira, D. F. Moura, and S. Magina, Mechanisms regulating melanogenesis, An. Bras. Dermatol., 88, 76 (2013). 

  6. R. M. Slominski, M. A. Zmijewski, and A. T. Slominski, The role of melanin pigment in melanoma, Exp. Dermatol., 24, 258 (2015). 

  7. A. Sanchez-Ferrer, J. N. Rodriguez-Lopez, F. Garcia-Canovas, and F. Garcia-Carmona, Tyrosinase: A comprehensive review of its mechanism, Biochem. Biophys. Acta, 1247, 1 (1995). 

  8. K. Jimbow, H. Obata, M. A. Pathak, and T. B. Fitzpatrick, Mechanism of depigmentation by hydroquinone, J. Investig. Dermatol., 62, 436 (1974). 

  9. M. A. Pathak, T. B. Fitzpatrick, and E. W. Kraus, Usefulness of retinoic acid in the treatment of melasma, J. Am. Acad. Dermatol., 15, 894 (1986). 

  10. J. Cabanes, S. Chazarra, and F. Garcia-Carmona, Kojic acid, a cosmetic skin whitening agent, is a slow-binding inhibitor of catecholase activity of tyrosinase, J. Pharm. Pharmacol., 46, 982 (1994). 

  11. T. S. Chang, An updated review of tyrosinase inhibitors, Int. J. Mol. Sci., 10, 2440 (2009). 

  12. K. Maeda and M. Fukuda, Arbutin: Mechanism of its depigmenting action in human melanocyte culture, J. Pharmacol. Exp. Ther., 276, 765 (1996). 

  13. A. Palumbo, M. d'Ischia, G. Misuraca, and G. Prota, Mechanism of inhibition of melanogenesis by hydroquinone, Biochim. Biophys. Acta, 1073, 85 (1991). 

  14. A. P. Decaprio, The toxicology of hydroquinone-Relevance to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exposure, Crit. Rev. Toxicol., 29, 283 (1999). 

  15. D. McGregor, Hydroquinone: an evaluation of the human risks from its carcinogenic and mutagenic properties, Crit. Rev. Toxicol., 37, 887 (2007). 

  16. S. Parvez, M. Kang, H. S. Chung, and H. S. Bae, Naturally occurring tyrosinase inhibitors: Mechanism and applications in skin health, cosmetics and agriculture industries, Phytother. Res., 21, 805 (2007). 

  17. T. Aburjai and F. M. Natsheh, Palnts used in cosmetics, Phytother. Res., 17, 987 (2003). 

  18. K. H. Wang, R. D. Lin, F. L. Hsu, Y. H. Huang, H. C. Chang, C. Y. Huang, and M. H. Lee, Cosmetic applications of selected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s, J. Ethnopharmacol., 106, 353 (2006). 

  19. L. S. Joshi and H. A. Pawar, Herbal cosmetics and cosmeceuticals: an overview, Nat. Prod. Chem. Res., 3, 170 (2015). 

  20. S. T. Chang and P. G. Miles, Mushrooms: cultivation, nutritional value, medicinal effect, and environmental impact, 11, CRC Press, Boca Raton, FL, USA (2003). 

  21. S. Wachtel-Galor, J. Yuen, J. A. Buswell, and I. F. F. Benzie, Ganoderma lucidum (Lingzhi or Reishi), eds. I. F. F. Benzie, and S. Watchel-Galor, Herbal medicine: biomolecular and clinical aspects, 1, CRC Press, Boca Raton, FL, USA (2011). 

  22. B. Boh, M. Berovic, J. Zhang, and L. Zhi-Bin, Ganoderma lucidum and its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Biotechnol. Annu. Rev., 13, 265 (2007). 

  23. B. S. Sanodiya, G. S. Thakur, R. K. Baghel, G. B. Prasad, and P. S. Bisen, Ganoderma lucidum: a potent pharmacological macrofungus. Curr. Pharm. Biotechnol., 10, 717 (2009). 

  24. C. C. Chien, M. L. Tsai, C. C. Chen, S. J. Chang, and C. H. Tseng, Effects on tyrosinase activity by the extracts of Ganoderma lucidum and related mushrooms, Mycopathologia, 166, 117 (2008). 

  25. J. W. Kim, H. I. Kim, J. H. Kim, O. C. Kwon, E. S. Son, C. S. Lee, and Y. J. Park, Effects of ganodermanondiol, a new melanogenesis inhibitor from the medicinal mushroom Ganoderma lucidum, Int. J. Mol. Sci., 17, 1798 (2016). 

  26. S. Chen, J. Xu, C. Liu, Y. Zhu, D. R. Nelson, S. Zhou, C. Li, L. Wang, X. Guo, Y. Sun, H. Luo, Y. Li, J. Song, B. Henrissat, A. Levasseur, J. Qian, J. Li, X. Luo, L. Shi, L. He, L. Xiang, X. Xu, Y. Niu, Q. Li, M. V. Han, H. Yan, J. Zhang, H. Chen, A. Lv, Z. Wang, M. Liu, D. C. Schwartz, and C. Sun, Genome sequence of the model medicinal mushroom Ganoderma lucidum, Nat. Commun., 3, 913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