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유통 알부틴 함유 미백 기능성화장품 중 히드로퀴논 및 살균보존제 안전성 조사
Investigation on the Safety of Hydroquinone and Preservatives among Whitening Functional Cosmetics Containing Albutin in Korea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5 no.4, 2019년, pp.399 - 408  

조중희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의약연구부 약품분석과) ,  김지형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의약연구부 약품분석과) ,  엄선아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의약연구부 약품분석과) ,  강민정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의약연구부 약품분석과) ,  한영선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의약연구부 약품분석과) ,  허명제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의약연구부 약품분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백 성분으로 사용되는 알부틴피부질환발암물질로 알려진 히드로퀴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살균보존제는 화장품을 장기간 보관 및 사용 중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필수적이기는 하지만 독성 및 피부 자극 등 안전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온·오프라인으로 판매되는 알부틴 함유 미백 기능성화장품 40건을 대상으로 히드로퀴논과 살균보존제 21종에 대하여 함량 및 사용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히드로퀴논은 9건이 검출 되었으며, 이 중 7건에서 0.3 ~ 0.9 ppm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설정한 기준에 적합하였으나, 2건에서는 8.4 ppm, 50.5 ppm으로 검출이 되어 기준을 초과하였다. 살균보존제는 40건 중 20건에서 검출되었으며, 검출 항목 및 범위는 페녹시에탄올 0.1 ~ 0.7% (15건), 메틸파라벤 0.19 ~ 0.21% (2건), 클로르페네신 0.13% (1건), 클로르헥시딘 0.006%(1건), 프로필파라벤 0.06% (1건) 로 모두 기준 이내로 검출되었다. 또한 화장품 중 기능성 화장품의 경우 화장품법에 의하여 1차 또는 2차 포장에 기능성 화장품이라는 단어를 표기해야 하지만 40건 중 1건에서 표기가 되어 있지 않았다. 실험 결과 살균보존제는 안전하게 관리 되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히드로퀴논이 검출된 제품은 알부틴이 분해되어 생성되었다고 사료 되어 알부틴의 분해에 대한 추가적 연구 및 품질관리의 개선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butin, which is used as a whitening ingredient, can produce hydroquinone, known as causing skin disease and carcinogen. Preservatives are essential to prevent microbial contamination during long-term storage and use of cosmetics, but safety issues such as toxicity and skin irritation are being rai...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알부틴 함유 미백 기능성화장품을 대상으로 HQ 및 살균보존제의 함량을 확인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성화장품이란 무엇인가? 화장품법 제2조에 따르면 기능성화장품을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제품”, “피부의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제품”, “피부를 곱게 태워주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제품”으로 정의하였고,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 “기능성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그리고 “기능성화장품 심사에 관한 규정” 등을 통해 시대에 맞추어 화장품 산업의 정책과 제도 개선에 변화를 주고 있다.
알부틴 물질의 효과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미백 성분으로 많이 사용하는 물질은 나이아신아마이드, 닥나물추출물,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알부틴, 에칠아스코빌에텔, 유용성감초추출물 등으로 이 중 알부틴은 Figure 1과 같이 월귤나무(Arctostaphylos uvaursi (L) Spreng)에서 유래된 히드로퀴논(hydroquinone, HQ)에 당질화된 산물로서 화학명은 ρ-hydroxypheny1-β-D-glucopyranoside이다[3]. 이것은 항산화, 항균, 항염증, 항암 등과 같은 많은 생물학적 효과가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멜라닌 색소를 생합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여 멜라닌 세포의 성숙을 방해함으로써 피부에 멜라닌 색소가 침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뛰어난 물질이다[4-7]. 그러나 강산, 고온, 효소, 미생물 등에 의해 피부질환이나 발암물질 가능성이 있는 HQ로 쉽게 분해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관리 측면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8].
기능성을 가진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산업의 발달과 생활 수준의 향상 그리고 노령인구의 증가에 따라 연령과 성별을 불문하고 단순히 외적인 멋의 추구에서 벗어나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에 대한 요구로 바뀌면서 기능성을 가진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급부상하고 있다. 2016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화장품 산업 분석 보고서에 의하면 2016년도 기능성화장품은 4조 4천39억 원으로 전년 대비 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J. S. Song, Y. A. Kim, A study on the future market prospect of domestic functional cosmetics industry- Focused on the cosmeceutical products, JKSDC, 15(4), 258 (2009). 

  2. E. H. Kim, A study of whitening cosmetics from natural products, Asian J Beauty Cosmetol, 4(2), 195 (2006). 

  3. E. Skrzypczak-Pietraszeka, I. Kwiecien, A. Goldyn, and J. Pietraszek, HPLC-DAD analysis of arbutin produced from hydroquinone in a biotransformation process in Origanum majorana L. shoot culture, Phytochem. Lett., 20, 443 (2017). 

  4. N. Mustapha, I. Mokdad-Bzeouich, M. Maatouk, K. Ghedira, T. Hennebelle, and L. Chekir-Ghedira, Antitumoral, antioxidant, and antimelanogenesis potencies of Hawthorn, a potential natural agent in the treatment of melanoma, Melanoma Res., 26(3), 211 (2016). 

  5. Y. H. Jin, S. J. Lee, M. H. Chung, J. H. Park, Y. I. Park, T. H. Cho, and S. K. Lee. Aloesin and arbutin inhibit tyrosinase activity in a synergistic manner via a different action mechanism, Arch. Pharm. Res., 22(3), 232 (1999). 

  6. K. Maeda, M. Fukuda, Arbutin: mechanism of its depigmenting action in human melanocyte culture, J. Pharmacol. Exp. Ther., 276(2), 765 (1996). 

  7. J. S. Jeon, B. H. Kim, S. H. Lee, H. J. Kwon, H. J. Bae, S. K. Kim, J. A. Park, J. H. Shim, A. M. Abd El-Aty, and H. C. Shin,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rbutin and its decomposed product hydroquinone, in whitening cream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photodiode array detection: Effect of temperature and pH on decomposition, Int J Cosmet Sci, 37(6), 567 (2015). 

  8. S. H. Bang, S. J. Han, and D. H. Kim, Hydrolysis of arbutin to hydroquinone by human skin bacteria and its effect on antioxidant activity, J Cosmet Dermatol, 7(3), 189 (2008). 

  9. M. Matsumoto, H. Todo, T. Akiyama, M. Hirata-Koizumi, K. Sugibayashi, Y. Ikarashi, A. Ono, A. Hirose, and K. Yokoyama, Risk assessment of skin lightening cosmetics containing hydroquinone, Regul. Toxicol. Pharmacl., 81, 128 (2016). 

  10. G. B. Park and S. G. Le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parabens in cosmetics by LC/MS, Anal. Sci. Technol., 23(1), 54 (2010). 

  11. H. S. Ahn, J. E. Nah, J. E. Lee, Y. S. OH, and M. C. Gye, Toxicity and endocrine disrupting effect of parabens, Korean J. Environ. Biol., 27(4), 323 (2009). 

  12. H. Mizuno, H. Hirai, S. Kawai, and T. Nishida, Removal of estrogenic acitivity of iso-butylparaben and n-butylparaben by laccase in the presence of 1-hydroxybenzotriazole, Biodegradation, 20(4), 533 (2009). 

  13. N. Veldhoen, R. C. Skirrow, H. Osachoff, H. Wigmore, D. J. Clapson, M. P. Gunderson, G. V. Aggelen, and C. C. Helbing. The bactericidal agent triclosan modulates thyroid hormone-associated gene expression and disrupts postembryonic anuran development, Aquat. Toxicol., 80(3), 217 (2006). 

  14. H. D. Lim, Master's Thesis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 Cheongju, Korea (2015). 

  15. S. H. Kim, Master's Thesis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 Cheongju, Korea (2015). 

  16. S. J. Kim, J. W. Hwang, J. R. Park, Y. G. Lee, J. H. Chung, Y. H. Jeong, S. J. lee, J. W. Junh, J. Y. Jung, Y. S. Lee, and K. S. Kang, Assessment of pubertal development to parabens-induced estrogenic effect in male mice, J. Food Hyg. Saf., 21(4), 197 (2006). 

  17. M. Bruze, M. Isaksson, B. Gruvberger, K. E. Andersen, M. Goncalo, A. Goossens, J. D. Johansen, H. I. Maibach, T. Rustemeyer, C. J. Le Coz, and I. R. White, Patch testing with methylchloroisothiazolinone/methylisothiazolinone 200 ppm aq. detects significantly more contact allergy than 100 ppm. A multicentre study within the European Environmental and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Contact Derm., 71(1), 31 (2014). 

  18. M. H. Oh, S. S. Kim, D. J. Kim, H. J. Kim, S. W. Shin, M. S. Choi, D. S. Kim, and B. K. Choi, Studies on analytical methods of chlorhexidine gluconate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Int. J. Pharm., 7(1), 7 (2012). 

  19. E. S. Agorku, E. E. Kwaansa?Ansah, R. B. Voegborlo, P. Amegbletor, and F. Opoku, Mercury and hydroquinone content of skin toning creams and cosmetic soaps, and the potential risks to the health of Ghanaian women, Springerplus, 5, 319 (2016). 

  20. W. X. Tong, J. X. Li, and D. H. Liu, Effects of basic environmental conditions of cosmetic matrix on the stability of ${\beta}$ -arbutin, Deterg. Cosmet., 33, 15 (2010). 

  21. J. S. Jeon, S. H. Lee, H. J. Kwon, H. J. Bae and B. H. Kim, The report of Gyeonggi-do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Gyeonggi-do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27, 25, Gyeonggi-do, Gyeonggi-do (2015). 

  22. J. H. Park, J. P. Kim, J. A. Kim, K. W. Seo, E. S. Kim, and J. M. Seo, Survey of preservatives and UV filter ingredients of distributed sunblock products in Korea, J. Cosmet. Sci. Korea, 43(4), 381 (2017). 

  23. A. Schnuch, G. Mildau, E. M. Kratz, and W. Uter, Risk of sensitization to preservatives estimated on the basis of patch test data and exposure, according to a sample of 3541 leave-on products, Contact Derm., 65(3), 167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