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치위생(학)과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 운영 현황을 조사하고, 심층 분석한 결과 첫째, 임상치위생학 영역의 교과목 명칭은 전체 96개 과목으로 확인되었으며, 학교별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 교과목 중 60.5%가 임상치위생학 또는 임상치위생학 및 실습이라는 명칭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둘째, 임상치위생학 교과목 운영은 졸업시점까지 평균 21.1학점을 이수하고, 15주차 수업으로 평균 471.3시간 수업을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 1인당 학생 수는 21.4명을 담당하였으며, 3년제에 비해 4년제에서 더 많은 학점과 시간을 배정하여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임상치위생학의 교육주제와 내용에서는 감염관리, 치위생관리를 위한 기초 개념의 이해, 치위생사정, 중재 및 평가, 증례연구, 치주기구조작법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치위생관리과정의 개념, 치위생사정,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위험도 평가, 특별환자 관리, 전신질환자의 구강건강관리 등에 대한 수업운영내용은 3, 4년제 학제 간 차이가 컸으며, 사정과 수행 중심의 교육내용으로 운영되며, 학제 내에서도 교육운영내용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대상자 실습은 대상자 1인당 평균 2시간 소요되었고, 평균 1.9회 내원하도록 하여 실습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졸업시점까지 필수적으로 진행하는 대상자 실습은 3년제의 경우 평균 총 19개의 케이스를, 4년제의 경우 평균 26.6개 케이스를 실습하고 있었고, 가장 적게는 15개의, 많게는 35개 케이스를 실습하였고, 학생 1인당 대상자 실습에 참여하는 시간은 3년제의 경우 평균 38.0시간, 4년제에서는 평균 53.1시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부 치위생(학)과를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라 한계점은 있지만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의 전체적인 흐름과 운영방식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학제를 떠나 임상치위생학의 교육과정 표준화를 위해서는 교과목 명칭, 졸업생 수준에서 치과위생사로서 달성해야 할 역량에 기반한 최소한의 수업운영내용, 이론과 실습시간, 학생수 대비 지도 교수자의 수 등에 대한 치위생계 내 합의 또는 가이드라인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과정은 공적인 기관을 통해서 제도적 마련에 근거하여 변화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standardize the clinical dental hygiene curriculum, based on analysis of current clinical dental hygiene curricula in Korea. We emailed questionnaires to 12 schools to investigate clinical dental hygiene curricula, from February to March, 2017.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치위생(학)과의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 표준화를 위해서는 현재 국내 치위생(학)과의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현황을 파악하여 이를 근거로 향후 교육과정의 개선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치위생(학)과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에 대해 심층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국내 일부 치위생(학)과에서 운영하고 있는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에 대해 심층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에서는 임상치위생학 교육을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가? 미국에서는 표준화된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으로 치위생관리과정의 이론과 실무를 교육하고, 이러한 교육이 제대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관리 및 평가하기 위하여 교육기관인증제를 실시하고 있다6). 따라서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에서 치과위생사로서의 전문성과 자질을 갖추도록 임상영역과 관련된 표준 핵심역량과 세부역량을 제시하여 이를 졸업 전까지 반드시 달성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7).
임상치위생학은 어떤 과목인가? 임상치위생학(clinical dental hygiene)이란 임상 영역의 전공학문으로 치위생관리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치위생 사정, 판단, 계획, 수행, 평가를 위한 모든 이론과 실습을 교육하는 통합적인 개념의 교과목이다1). 특히 치위생 사정, 판단, 계획, 수행 평가 등은 치위생관리과정으로 인간욕구에기반하여 치과위생사가 대상자의 건강문제 및 구강과 관련된 욕구를 파악하는 데 필요한 핵심적인 틀이라고 할 수 있다2,3).
캐나다처럼 임상치위생학을 교육기관 인증 항목으로 지정해서 운영할 경우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또한 캐나다에서도 5개의 캐나다 치과위생사 조직(Canadi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CDHA]8), Commission on Dental Accreditation of Canada [CDAC]9), Dental Hygiene Educators Canada [DHEC]10), Federation of Dental Hygiene Regulatory Authorities [FDHRA]11), National Dental Hygiene Certification Board [NDHCB]12))이 공동논의하여 치위생관리과정에 근거하여 치위생학과를 졸업하는 데 필요한 임상역량을 제시하였고, 이를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을 통해 달성할 수 있도록 표준화하기 위해 교육기관 인증 항목으로 포함하여 평가하고 있다13). 이러한 제도적 장치는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이 표준화된 교육과정으로서 치과위생사 주도의 치위생관리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 역량중심의 통합적 사고를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여할 수있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an SY, Kim NH, Yoo JH, Kim CS, Chung WG: Current status of clinical dental hygiene education based on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J Dent Hyg Sci 9: 271-278, 2009. 

  2. Lee SY, Cho YS: Review on theoretical background and components of dental hygiene process. J Dent Hyg Sci 5: 25-32, 2005. 

  3. MacDonald L, Bowen DM: Theory analysis of the dental hygiene human needs conceptual model. Int J Dent Hyg 15: e163-e172, 2017. 

  4. Michele LD, Margaret MW: Dental hygiene theory and practice. 3th ed. Saunders, St. Louis, pp.1-37, 2010. 

  5.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Dental hygiene diagnosis position paper.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Chicago, pp.1-6, 2010. 

  6. Communication on Dental Accreditation: Accreditation standards for dental hygiene education program. Commission on Dental Accreditation, Chicago, pp.15-29, 2016. 

  7. Choi DS, Kim SH, Kim JS: A comparative analysis of competencies American Dental Education Association and American Dental Hygiene Schools. J Korean Soc Dent Hyg 15: 547-553, 2015. 

  8. The Canadi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About CDHA. Retrieved June 30, 2017, from http://www.cdha.ca/cdha/About _folder/About_CDHA/CDHA/About/About_CDHA.aspx. 

  9. Commission on Dental Accreditation of Canada: Welcome to CDAC. Retrieved June 30, 2017, from https://www.cda-adc.ca/cdacweb/en. 

  10. Canadi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2016 educators' survey report. Retrieved June 30, 2017, from http://files.cdha.ca/profession/EducatorsSurvey2016.pdf(2016). 

  11. Canadian Dental Regulatory Authorities Federation: About C DRAF. Retrieved June 30, 2017, from http://cdraf.org/Home?len-us. 

  12. Joint Commission on National Dental Examinations: Examinations. Retrieved June 30, 2017, from https://www.ndhcb.ca/ndhce-policies. 

  13. Commission on Dental Accreditation of Canada: Accreditation requirements. Retrieved November 7, 2017, from http://www.cda-adc.ca/cdacweb/en/accreditation_requirements. 

  14. Choi YK, Lim KO, Han YK, et al.: Study on clinical dental hygiene in Korea based on analysis of clinical dental hygiene curriculum of Fones School in the United States. J Dent Hyg Sci 17: 123-133, 2017. 

  15. Kim SH, Kim MK, Oh SH, Mann NK: The implement status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in Korea and the comparison with the US ADA standard. J Korean Acad Dent Hyg Educ 9: 229-247, 2009. 

  16.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Standards for clinical dental hygiene practice.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Chicago, pp.3-15, 2008. 

  17. Bae SM, Shin SJ, Jang JH, Chung WG, Chin BM: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a dental hygiene scienc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dental hygienist competency. J Dent Hyg Sci 16: 173-183, 2016. 

  18. Park ES, Yang SO, Yang S, et al.: Analysis of the nursing curricula in graduate program in Korea. J Korean Acad Nurs 32: 100-113, 2002. 

  19. Lee HY: Nursing education system in Korea: now and then. J Nursing Query 15: 68-88, 2006. 

  20. Cho YS, Kim YJ, Ahn GS: An analysis of pre-dental hygiene curriculum of dental hygiene programs in USA and in Canada. J Dent Hyg Sci 6: 41-45, 2006. 

  21. Shin SJ, Kim MJ, Yang JY, Yu JS, Jeong AY, Shin MS: Study of clinical practice standardization in dental hygiene. J Dent Hyg Sci 17: 1-11, 2017. 

  22.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Press. Retrieved July 15, 2017, from http://www.kdha.or.kr/news/OldMagazineView.aspx(2016, April 1). 

  23. Korean Association of Dental Hygiene Professors: News of workshop 2017. Retrieved June 30, 2017, from http://www.kadhp.org/kadhp/board.php?boardkkknewsmain& config2 &commandbody&no298(2017, June 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