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증과 수면변수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증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Sleep Apnea and Variables on Cognitive Fun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원문보기

수면·정신생리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24 no.2, 2017년, pp.86 - 96  

박경원 (예수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형욱 (예수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최말례 (예수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병조 (예수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태형 (예수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송옥선 (예수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은헌정 (예수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본 연구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수면무호흡지수, 수면관련척도, 기분관련척도, 그리고 인지기능간의 연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을 보이는 105명의 환자를 선정하였다. 수면무호흡지수로 RDI, AHI가 사용되었고, 수면관련척도로는 PSG에서 측정되는 TST, Duration N1, Duration N2, Duration N3, Duration R, Arousal Index, PLM Index, Snoring Index, Mean SpO2, Minimum SpO2와 설문지로 측정되는 PSQI, ESS, SIS (snoring index by scale)를 사용하였으며 기분관련척도로는 BDI, 인지기능관련 척도로는 Moca-K, MMSE-K, CDR을 사용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수면무호흡지수, 수면 및 기분관련척도와 인지기능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보이는 인지기능장애의 기전을 밝히고자 우울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 Duration N1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TST가 감소할수록 MOCA-K에 부적 인과관계를 나타내었다(p < 0.01). BDI와 Supine RDI가 증가할수록 MOCA-K에 부적 인과관계를 보였다(p < 0.01). PSQI가 증가할수록(p < 0.001) 그리고 MMSE-K가 감소할수록(p < 0.01) 또한 SIS가 증가할수록(p < 0.01) BDI에 정적 인과관계를 보였다.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나이가 MOCA-K에 미치는 영향에 BDI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 론 :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Duration N1, TST, BDI, Supine RDI가 인지기능과 연관성이 있었으며, 특히 BDI로 측정되는 우울증상이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인지기능저하에 부분적으로 매개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ausality among sleep apnea,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05 patients with sleep apnea and snoring who underwent overnight polysomnography (PSG). We analyzed various b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우울증상은 인지기능저하에 영향을 미치며, 우울증상과 인지기능 저하를 동반한 OSA환자의 경우 수면무호흡증의 심각도보다 우울증상과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 OSA 환자에서 발생하는 인지기능저하를 무호흡과 저호흡 증상의 심각도로만 설명할 수 없으므로 인지기능저하에서 우울증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에서 밝혀졌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과 관련된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저하를 다시 확인하고 그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인지기능저하에 대해 우울증상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밝히기 위해 수면다원검사의 수면변인과 수면무호흡증과 연관된 간이평가지수, 그리고 우울지수를 평가하였고 이러한 지수들과 인지기능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이전 연구결과들에서 확인되었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환자에서 동반되는 증상인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저하 증상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우울증상을 매개로 한 인지기능저하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단 1회의 검사로만 측정한 소규모 단면 연구의 한계점이 있어 향후 방법론적으로 보완된 장기간의 대규모 코호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수면무호흡의 정도와 우울증상과 인지기능 저하 사이에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보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OSA 환자의 인지기능 저하와 우울증과의 관련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에서 밝혀졌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과 관련된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저하를 다시 확인하고 그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인지기능저하에 대해 우울증상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이와 같이 수면장애, 우울증상, 그리고 인지기능저하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기전을 밝히기 위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대상으로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을 평가하였으며 이전 연구에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증상의 심각도와 인지기능 저하가 직접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없다는 결과에 근거하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인지기능저하가 우울증상을 매개하여 나타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그리고 매개효과 검정에서 이를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문제는? 1%의 유병률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Shin 2009).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에 발생하는 호흡장애를 특징으로 수면 중 빈번한 각성과 깊은 수면의 감소, 만성적인 수면박탈 상태에 이르게 된다. 그 결과로 환자는 두통, 기억력 및 집중력저하 등의 증상과 함께 과도한 주간졸림증(excessive daytime sleepiness, 이하 EDS)을 호소한다(Young 등 1997).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문제로 나타나는 결과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에 발생하는 호흡장애를 특징으로 수면 중 빈번한 각성과 깊은 수면의 감소, 만성적인 수면박탈 상태에 이르게 된다. 그 결과로 환자는 두통, 기억력 및 집중력저하 등의 증상과 함께 과도한 주간졸림증(excessive daytime sleepiness, 이하 EDS)을 호소한다(Young 등 1997). 이러한 OSA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이하 PSG)가 고유한 기본적인 검사방법이고 진단뿐 아니라 증상의 경중을 판단하고 수면의 구조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이하 OSA)은 상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혀서 수면 중에 무호흡(apnea)과 저호흡(hypopnea)이 되풀이하여 나타나는 질환으로 연구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보고되기는 하나 성인 남성에서 1.5~27.1%의 유병률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Shin 2009).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에 발생하는 호흡장애를 특징으로 수면 중 빈번한 각성과 깊은 수면의 감소, 만성적인 수면박탈 상태에 이르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6;51:1173-1182. 

  2. Bawden FC, Oliveira CA, Caramelli P. Impact of obstructive sleep apnea on cognitive performance. Arq Neuropsiquiatr 2011;69:585-589. 

  3. Beck AT.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arper & Row;1967. p.169-206. 

  4. Boland LL, Shahar E, Iber C, Knopman DS, Kuo TF, Nieto FJ. Measures of cognitive function in persons with varying degrees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the Sleep Heart Health Study. J Sleep Res 2002;11:265-272. 

  5. Breslin J, Spano G, Bootzin R, Anand P, Nadel L, Edgin J.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nd cognition in Down syndrome. Dev Med Child Neurol 2014;56:657-664. 

  6. Burt DB, Zembar MJ, Niederehe G. Depression and memory impairment: a meta-analysis of the association, its pattern, and specificity. Psychol Bull 1995;117:285-305. 

  7. Buysse DJ, Reynolds CF 3rd,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 1989;28:193-213. 

  8. Cho YW, Lee JH, Son HK, Lee SH, Shin C, Johns MW.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Breath 2011;15:377-384. 

  9. Choi SH, Na DL, Lee BH, Hahm DS, Jeong JH, Yoon SJ, et al. Estimating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expanded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Scale. J Korean Neurol Assoc 2001;19:585-591. 

  10. Cross N, Lampit A, Pye J, Grunstein RR, Marshall N, Naismith SL. Is Obstructive Sleep Apnoea Related to Neuropsychological Function in Healthy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Neuropsychol Rev 2017. https://doi.org/10.1007/s11065-017-9344-6. 

  11. Edwards C, Mukherjee S, Simpson L. Depressive symptoms before and after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men and women. J Clin Sleep Med. 2015;11:1029-1038. 

  12. Fariborz F, Fatemeh M, Soheila S, Hadi A, Fariba R. The correlation of anxiety and depression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J Res Med Sci 2014;19:205-210. 

  13. Ferre A, Poca MA, de la Calzada MD, Moncho D, Romero O, Sampol G, Sahuquillo J.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in Chiari malformation type 1: A prospective study of 90 patients. Sleep 2017 Jun 1;40. 

  14. Gais S, Born J. Low acetylchoine during slow-wave sleep is critical for declarative memory consolidation. Proc Natl Acad Sci USA 2004;101:2140-2144. 

  15. Kang YW, Park JS, Yu KH, Lee BC. A reliability validity, and normative study of the Korean-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K-MoCA) as an instrument for screening of Vascular Cognitive Impairment (VCI). Korean J Clin Psychol 2009;28:549-562. 

  16. Kwon YC, Park JH.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Part I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J Korea Neopsychiatr Assoc 1989;28-125-135. 

  17. Johns MW.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of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1992;15:376-381. 

  18. Jung YK. The utility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Korean version for the detection of Amnestic Mild Cognitive [Master's thesis]. Kwangju: Cheonnam National University;2010. 

  19. Lee JY, Lee DW, Cho SJ, Na DL, Jeon HJ, Kim SK, et al. Brief screening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elderly outpatient clinic: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J Geriatr Psychiatry Neurol 2008;21:104-110. 

  20. Lee YH, Song JY.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ournal of Clinial Psychology 1991;10:98-113. 

  21. Lim W, Bardwell WA, Loredo JS, Kim EJ, Ancoli-Israel S, Morgan EE, et al. Neuropsychological effects of 2-week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reatment and supplemental oxygen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J Clin Sleep Med 2007;3:380-386. 

  22. Macedo AC, Balouch S, Tabet N. Is Sleep Disruption a Risk Factor for Alzheimer's Disease? Alzheimers Dis 2017;58:993-1002. 

  23. Masaki N, Yusaku N, Toru N. Slow sleep spindle and procedural memory consolidation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Nat Sci Sleep 2016;8:63-72. 

  24. Molly EZ, Mark S. A Sleep-disordered breathing and cognition in older adults. Curr Neurol Neurosci 2012;12:537-546. 

  25. Morris JC. The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current version and scoring rules. Neurology 1993;43:2412-2414. 

  26. Nancy A, Steven P. Obstructive sleep apnea is linked to depression and cognitive impairment: evidence and potential mechanisms. Am J Geriatr Psychiatry 2016;24:496-508. 

  27. Pedro J, Jaime F. Depression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ncreases the risk of developing dementia of alzheimer type. Arch neurol. 2004;61:1290-1293. 

  28. Ravnkilde B, Videbech P, Clemmensen K, Egander A, Rasmussen NA, Rosenberg R. Cognitive deficits in major depression. Scand J Psychol 2002;43:239-251. 

  29. Reynolds CF, Kupfer DJ, Mceachran AB, Taska LS, Sewitch DE, Coble PA. Depressive psychopathology in male sleep apneics. J Clin Psychiatry 1984;45:287-290. 

  30. Saunamaki T, Jehkonen M. A review of executive functions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cta Neurol Scand 2007;115:1-11. 

  31. Shin C. Epidemiology and definition of sleep disordered breathing. Tuberc Respir Dis 2009;66:1-5. 

  32. Sforza E, Roche F. Chronic intermittent hypoxia and obstructive sleep apnea: an experimental and clinical approach. Hypoxia 2016;27:99-08. 

  33. Stefan S, Peter DB, Eleonore P, Nina M, Claudia S, Claus L, et al. Depressive Symptoms are the Main Predictor for Subjective Sleep Quality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A Controlled Study. PLoS One 2015;10:e0128139.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28139. 

  34. Terri B, Kristine Y, Sonia A, Susan R, Kristine EE, Marcia LS, et al. Associations of sleep architecture and sleep disordered breathing with cognition in older community-dwelling men:the MrOS sleep study. J Am Geriatr Soc 2011;59:2217-2225. 

  35. Thomas TS, Sigurdur S, Mark AB, Caroline LP, Palmi VJ, Jie D et al. Cerebral small vessel disease and association with higher incidence of depressive symptoms in a general elderly population: the AGES-Reykjavik Study. Am J Psychiatry 2015;172:570-578. 

  36. Tsapanou A, Gu Y, O'Shea DM, Yannakoulia M, Kosmidis M, Dardiotis E, et al. Sleep quality and duration in relation to memory in the elderly: Initial results from the Hellenic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Aging and Diet Neurobiol Learn Mem 2017;141:217-225. 

  37. Tschopp K, Thomaser EG, Staub C. Therapy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using the Velumount palatal device. ORL 2009;71:148-152. 

  38. Young T, Blustein J, Finn L, Palta M. Sleep-disordered breathing and motor vehicle accidents in a population-based sample of employed adults. Sleep 1997;20:603-613. 

  39. Won CY, Lee SH, So MA, Lee JS, Jeong DU.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leep parameters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Sleep Med Psychophysiol 2007;14:92-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