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추성 수면 무호흡이 동반된 심부전 환자에서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 적용 1례
A Case of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herapy in a Patient with Central Sleep Apnea and Heart Failure 원문보기

수면·정신생리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24 no.2, 2017년, pp.118 - 123  

안지영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바오로병원 내과학교실) ,  김신범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바오로병원 내과학교실) ,  강현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바오로병원 내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반적으로 폐쇄성 수면 무호흡이 중추성 수면 무호흡보다 발생 비율이 높지만 심부전 환자에서는 체인-스토크스 호흡이 동반된 중추성 수면 무호흡이 흔하며, 실제로 심부전 환자에서 25~40%까지 중추성 수면 무호흡이 발생한다고 한다. 저자들은 호흡곤란으로 내원하여 심부전으로 진단된 환자가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하고 난 이후 추적 시행한 심초음파 결과에 비해 주관적인 호흡곤란이 해결되지 않은 경우, 의료진의 자세한 병력 청취를 통해 환자가 평소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이 심하다는 소견을 바탕으로 조기에 수면 다원검사를 시행했다. 환자는 체인-스토크스 호흡을 동반한 중추성 수면 무호흡으로 진단 되어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을 적용 후 호흡곤란 및 주간 졸림증이 호전 되었다. 심부전 환자에서 중추성 수면 무호흡이 동반된 경우, 피로감, 주간 졸림증 등과 같은 수면 무호흡의 일반적인 증상이 심부전 자체로 인한 증상으로 오인되어 중추성 수면 무호흡의 진단이 늦어 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환자의 예후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증례의 경우와 같이 심부전 환자의 치료 시 수면 무호흡을 의심할 만한 증상이 있는 경우 중추성 수면 무호흡의 동반 가능성을 염두해 두고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중추성 수면 무호흡을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증상 호전 및 예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entral sleep apnea (CSA) is a highly prevalent comorbidity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nd may present in 25 to 40 percent of heart failure patients.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is the primary therapeutic option and effective in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OSA). In hea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지속성 상기도 양압술이 중추성 수면 무호흡 환자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 되는 경우도 있어(Yu 등 2017) 현재까지 중추성 수면 무호흡 환자에서 지속성 상기도 양압술의 효과는 일정한 결론을 내리기 어려운 실정이다. 저자들은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및 적절한 약물치료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호흡곤란이 해결되지 않은 심부전 환자에서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중추성 수면 무호흡을 진단하였고,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을 적용하여 수면 중 중추성 무호흡 및 호흡 곤란을 성공적으로 치료하였던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호흡장애란 무엇인가? 수면호흡장애(sleep disordered peathing, SDB)는 수면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호흡 장애를 일컬으며, 중추성 수면 무호흡(central sleep apnea, CSA)과 폐쇄성 수면 무호흡(ob-structive sleep apnea, OSA)이 대표적이다(Sateia 2014). 심부전 환자에서 관찰되는 수면호흡장애는 중추성 수면 무호 흡과 관련성이 높으며, 심부전환자의 25~40%에서 중추성 수면 무호흡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edley 2003 ; Javaheri 등 1998 ; Sin 등 1999).
중추성 수면 무호흡이 동반된 심부전 환자에게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 적용 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인가?  비침습적 환기 치료 중에서 가장 흔하고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은 적정압력을 결정하여 흡기 시 일정한 압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현재까지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 적용 시 분당 환기량이 감소되면 혈액 내 이산화탄소가 증가되어 과호흡과 저탄산혈증(hypocapnia)을 줄여주어 심부전 환자의 상기도 불안정성을 보완 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padley 등 2005). 그 외에도 이단 상기도 양압술(bilevel positive airway pressure)을 통해 흡기압력과 호기압력, 흡기-호기 압력차를 설정 하여 호흡을 자연스럽게 유지하게 도와주는 치료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심부전 환자에서 관찰되는 수면호흡장애는? 수면호흡장애(sleep disordered peathing, SDB)는 수면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호흡 장애를 일컬으며, 중추성 수면 무호흡(central sleep apnea, CSA)과 폐쇄성 수면 무호흡(ob-structive sleep apnea, OSA)이 대표적이다(Sateia 2014). 심부전 환자에서 관찰되는 수면호흡장애는 중추성 수면 무호 흡과 관련성이 높으며, 심부전환자의 25~40%에서 중추성 수면 무호흡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edley 2003 ; Javaheri 등 1998 ; Sin 등 1999). 체인-스토크스 호흡(CheyneStokes respiration, CSR)은 호흡운동의 주기적인 증감을 동반한 중추성 수면 무호흡의 한 형태로 주로 심부전 환자에서 관찰되고, 이를 동반한 중추성 수면 무호흡의 경우, 교감 신경계 활성도가 증가되고 심혈관계 기능장애를 초래하여 심부전의 나쁜 예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aughton 등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radley TD, Floras JS. Sleep apnea and heart failure: Part II: central sleep apnea. Circulation 2003;107:1822-1866. 

  2. Bradley TD, Logan AG, Kimoff RJ, Series F, Morrison D, Ferguson K, et 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for central sleep apnea and heart failure. N Engl J Med 2005;353:2015-2033. 

  3. Cho YJ. Sleep-onset central apnea. J Kor Sleep Soc 2009;6:42-49. 

  4. Costanzo MR, Khayat R, Ponikowski P, Augostini R, Stellbrink C, Mianulli M, et al. Mechanisms and clinical consequences of untreated central sleep apnea in heart failure. J Am Coll Cardiol 2015;65:72-84. 

  5. Hall MJ, Xie A. Rutherford R. Ando S, Floras JS. Bradley TD. Cyclic length of periodic breathing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heart failure.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6;154:376-381. 

  6. Javaheri S. CPAP should not be used for central sleep apnea in congestive heart failure. J Clin Sleep Med 2006;2:399-402. 

  7. Javaheri S, Parker TJ, Liming JD, Corbett WS, Nishiyama H, Wexler L, et al. Sleep apnea in 81 ambulatory male patients with stable heart failure. Types and their prevalences, consequences, and presentation. Circulation 1998;97:2154-2159. 

  8. Khayat RN, Abrahan WT. Current treatment approaches and trials in central sleep apnea. Int J Cardiol 2016;206:S22-S27. 

  9. Kim WS. Cardiovascular impacts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Tuberc Respir Dis 2009;66:173-177. 

  10. Naughton MT, Benard DC, Rutherford R, Bradley TD. Effect of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on central sleep apnea and nocturnal PCO2 in heart failure.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4;150:1598-1604. 

  11. Naughton MT, Rahman MA, Hara K, Floras JS, Bradley TD. Effect of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on intrathoracic and left ventricular transmural pressure in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Circulation 1995;91:1725-1731. 

  12. Rowley JA, Badr MS. Central sleep apnea in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Sleep Med Clin 2017;12:221-227. 

  13. Sateia MJ.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third edition: highlights and modifications. Chest 2014;146:1387-1394. 

  14. Sin DD, Fitzgerald F, Parker JD, Newton G, Floras JS, Bradley TD. Risk factors for central and obstructive sleep apnea in 450 men and women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9;160:1101-1106. 

  15. White LH, Bradley TD. Role of nocturnal rostal fluid shift in the pathogenesis of obstructive and central sleep apnea. J Physiol 2013;591:1179-1193. 

  16. Yu J, Zhou Z, McEvoy RD, Anderson CS, Rodgers A, Perkovic V, et al. Association of positive airway pressure with cardiovascular events and death in adults with sleep apne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AMA 2017;318:156-1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